1. 사과
고등학교 다닐 때만 해도 아침 식사로 밥은 아니지만 빵이나 오믈렛 등을 먹었던 기억이 나는 것을 보니까, 아마 그 이후에 생긴 습관인 것 같다. 아침에 일어나면 5분 이내에, 아니 3분 이내에 사과를 입에 물어야 한다. 그래야 잠이 깬다. 그래야 하루 일을 시작할 수 있다. 사과를 한 개 (아주 큰 사과의 경우엔 반 개) 물에 씻어 껍질 째 아삭아삭 먹기 시작해서 거의 다 먹어갈 무렵이 되어야 나는 비로소 내가 된다. 사과만 먹어도 정신은 깨어나지만, 그것으로 끝내긴 심심하니까 이어서 마실 것을 한잔 만들어 먹게 되는데 이건 변천사가 있다. 코코아였을 때도 있고, 녹차에 우유타서 먹었을 때도 있고, 지금은 커피를 마신다 (물론 설탕, 우유 다 넣어서).
이것으로 나의 아침 식사는 끝.
어디 여행가서 숙박을 하고 와야할 경우에 나는 사과를 챙겨서 간다. 사과를 못먹고 시작하는 하루란, 아침 굶고 시작하는 하루처럼 생각만해도 히스테릭 해지므로. 지금도 친정에 가서 자고 온다고 하면 부모님은 다른 것은 몰라도 사과가 냉장고에 있는지 보시고, 없으면 일부러 사다놓으신다. 이 정도면 중독이라 부를 수 있겠지.
내가 사과를 좋아하는 것을 아는 사람들은 어느 종류의 사과를 좋아하느냐고 가끔 묻는데, 그런게 어디있나? 사과라고 이름 붙은 것은 뭐든 상관없다. 아오리, 홍옥, 부사, 가정용 사과, 제수용 사과, 꼬마 사과, 기스난 사과...안가린다.

2. 편지
이건 예전에 중독되었던 것이고 지금은 아니다. 중학교 때였는데, 편지 쓰는 것을 너무나 좋아했다. 학교에서 매일 보는 친구, 작년에 같은 반이었던 친구, 재작년에 같은 반이었던 친구, 선생님, 사촌 언니, 심지어 군인아저씨께 의무적으로 써야했던 위문편지마저도 즐거워라 썼으니까. 저녁 먹고 책상에 앉으면 우선 오늘은 누구에게 편지를 쓸까 부터 생각했다. 편지를 한장 쓰고 나야 공부가 되었다. 편지를 쓰다쓰다 더 이상 쓸 상대가 없으면? ㅋㅋ 방송국에 엽서라도 썼다. 노래 신청하고, 사연 쓰고.
이 버릇은 고등학교에 가서 비관적, 자학적 일기를 써대는 것으로 대치되었다.
3. 커피
나는 중학교 입학전, 초등학교 졸업을 앞둔 겨울 방학 때부터 커피를 마시기 시작했다. 커피를 즐기시던 아버지께서 당신 커피를 타시면서 내 것도 한 잔 타주시기 시작한 그 날부터 시작해서 곧 나는 하루도 커피를 안마시고 못배길 정도로 커피를 즐기게 되었다. 그렇다고 하루에 커피를 많이 마시는 것도 아니다. 하루에 한 잔으로 시작했고 대학생이 되면서 하루에 두잔 마시는 날도 가끔 있었다. 실험실에서 오래 지내는 날이 많아지면서 하루에 석 잔. 지금까지도 하루에 그 이상을 마시는 날은 없다. 그 이하를 마시는 날도 거의 없다. 하루 석 잔.
아이를 가지면 커피가 마시고 싶어 어떻하나 걱정을 했었는데, 너무나 신기한 일은 아이를 가지고부터 커피를 마시기는 커녕 냄새도 못맡겠는거다. 수퍼마켓의 상품 진열대 사이를 지나다가도 커피 진열대 옆을 지나가면 속이 울렁울렁해졌을 정도이니까. 그러다가 아이를 낳고 수유를 마치고 나니 다시 커피가 마시고 싶어졌다. 정말 인체의 신비, 특히 여자 몸의 신비란 설명 안되는 부분이 참 많다.

4. 중독까지는 아니지만
요즘 생긴 새로운 습관으로 뻥튀기와 어떤 라디오 프로그램이 있다.
과자류를 잘 먹는 편은 아닌데, 어쩌다 뻥튀기를 먹게 된 이후로 그날 이후 거의 매일 뻥튀기를 한봉지씩 (하나가 아니라 한 봉지) 먹고 있다. 파편을 온 방안에 다 날려가면서.
또 하나 내게 생기고 있는 습관은 어떤 라디오 프로그램. DJ가 처음 듣는 목소리, 처음 듣는 이름인데 알아보니 가수라네. 약간 건조한 목소리에, 어딘가 배철수 스타일을 닮은 것 같기도 하고, 선곡되어 나오는 음악도 뭐, 괜찮고. 거의 매일 듣고 있다. 시계 보고 시간이 되면 나도 모르게 라디오를 켜게 되는. 되도록이면 그 시간에 라디오 앞에 앉아 있고 싶어지는.
그런데 이게 새벽 4시에 하는 프로그램이라는거지 ㅋㅋ
뭔가에 중독되어 있다는 것은,
재미있다. 취향이 살아있다는 것이니까.
크게 내 몸을 축내거나 민폐를 끼치는 일이 아니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