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나라의 조건 - OECD 선정 '가장 행복한 13개국'에게 배운다
마이케 반 덴 붐 지음, 장혜경 옮김 / 푸른숲 / 2016년 8월
평점 :
절판


지난달에 주민세를 내면서 깜짝 놀랐습니다. 고지서의 금액이 이전보다 두 배 이상 인상된 거예요. 혹시 연체를 했나 싶어 살펴보니 그게 아니더군요. 제가 사는 지역의 주민세가 인상이 된 거였어요. 그것도 작년부터. 인상된 금액에 한 번, 작년엔 미처 모르고 지나쳤다는 점에서 또 한 번. 연이은 충격에서 정신을 차릴 즈음 의문이 들었습니다. 세금은 이렇게 해마다 늘어나는데, 그럼 살기가 좋아져야 하는 거 아냐? 왜 오히려 힘들고 팍팍해지지? 왜 행복하지 않은 거야? 내가 내는 세금, 다 어디로 가는 거냐고!

 

 

“행복한 나라에 조건이란 게 있을까?”하는 의문에 펼쳐든 책 <행복한 나라의 조건>. 네덜란드인 아버지와 독일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네덜란드와 멕시코에서 살았던 이력을 지닌 저자에겐 이런 고민이 있었다고 합니다. 세계 2차 대전의 패전국에서 부유한 나라로 탈바꿈한 나라, 독일. 경제적인 기반이나 여건에서 어느 나라에도 뒤지지 않는데도 행복도 지수 조사에서는 항상 독일이 밑바닥 수준이라는 거지요. 독일 사람들은 왜 행복하지 않은 걸까? 오랫동안 고민하다가 마침내 결심합니다. 행복한 나라로 알려진 곳에 직접 찾아가서 그 나라 사람들에게 행복의 비결이 뭔지 물어봐야겠다고.

 

 

저자는 OECD에서 선정한 ‘가장 행복한 13개국’을 9개월에 걸쳐 다니면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행복한 삶의 비결’에 대해 일일이 취재하기에 이릅니다. 각자 경제적 수준이나 교육 수준이 다르고 삶의 방식도 달랐는데요. 한 가지 공통되는 부분을 찾자면 자신만의 것을 고집하기보다는 ‘조화’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같더군요, 이를테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부자나라로 통하는 노르웨이에서는 ‘얀테 법칙’이란 게 있다고 합니다. 돈이 아무리 많아도 절대 자랑하지 않는 것이 문화로 자리잡았다고 하구요. 사람들간의 신뢰도도 높아서 자동차의 시동을 켠 채 세워둔다는 점이 놀라웠습니다. 수입의 절반을 세금으로 내는 덴마크 사람들이 엄청난 세금에도 불구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은 살면서 발생할 수 있는 많은 문제들에서 국가의 보호를 받고 있다는 점을 행복의 비결로 꼽았구요. 캐나다 사람들은 크고 거장한 꿈이나 이상보다 단순하면서도 서로가 조화롭게 살아가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사람들간에 서로 배려하는 것이 일상에 녹아들어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코스타리카, 덴마크, 스웨덴, 스위스, 핀란드,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파나마, 룩셈부르크, 멕시코, 콜롬비아. 자긴 이 중에 어느 나라가 궁금해? 어디서 살고 싶어?” 휴일날, 늦은 아침을 먹고 한가로울 때 남편에게 물었습니다. 난데없는 질문에 남편은 황당해했지만 이내 북유럽의 몇몇 나라를 대더군요. 이유가 뭐냐고 재차 물어보니 복지제도가 잘 되어 있고 사회전반에서 기회가 고르게 주어지는 것 같다는 대답을 했는데요. 사실 저도 비슷한 생각을 갖고 있었습니다. 불과 얼마전까지는요. 하지만 이 책을 읽고 조금 달려졌어요. 어떤 점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콕 짚을 순 없지만 좀 더 고민이 필요한 것만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