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기증
프랑크 틸리에 지음, 박민정 옮김 / 은행나무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혹 그럴 때가 있다. 자다가 설핏 눈을 떴는데 주변이 낯설게 여겨질 때. 방 안의 가구가, 벽에 걸린 사진이 눈에 익지 않아서 내가 잠든 곳이 과연 어딘지 생각하다가 다시 잠들기도 하고 오히려 잠에서 깰 때도 있다. 무의식과 의식, 그 사이의 언저리에서 벌어지는 혼동이나 착각 같은 거라고 생각하는데. 만약 그런 게 아니면? 착각이나 혼동, 악몽이 아니라면?

 

사방이 어둠에 잠겨 있다.…… 이곳은 대체 어디란 말인가?

 

50세의 조나탕 투비에. 그가 기억하는 것은 병원에 입원한 아내 프랑수와즈의 병실에 있다가 집으로 돌아와 너무나 익숙한 침대에 누워 잠이 들었다는 것. 아, 몸이 안 좋아서 역한 맛이 나는 시럽을 마셨다. 이것이 전부였다. 이후 어딘지 알 수 없는 빙하의 동굴에서 잠에서 깬 그가 맞닥뜨린 것은 오른손에 채워진 족쇄였다. 자신이 기르는 체코슬로바키아 울프독 포카라가 함께 있어 잠시 위안이 되긴 했지만 머리에 철가면을 쓴 남자, 미셸 마르퀘를 만나면서 혼돈에 빠진다. 두 사람의 등에 ‘누가 도둑일 것인가?’ ‘누가 거짓말쟁이일 것인가?’라고 적힌 천 조각이 붙어 있는데다 철가면에는 폭발물이 장전되어 있어서 서로 50미터 이상 떨어지면 폭발한다는 내용의 편지가 발견된 것이다.

 

자신들이 왜 이 낯선 곳으로 끌려와 갇혀 있는지 알 수 없어 혼란스러운 가운데 그들은 또 한 사람을 만나게 된다. 오른쪽 발목에 족쇄가 채워진 남자, 파리드 후마드. 그의 등에 적힌 문구는 ‘누가 살인자일 것인가?’였다. 족쇄가 채워진 두 사람과 철가면을 쓴 사람. 제한된 장소에서 벌어지는 의문투성이의 사건들. 그들은 자신들이 처한 상황에 분노하면서도 살아남기 위한 투쟁을 시작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서로를 의심하기 된다. 급기야 감추었던 비밀이 하나씩 드러나면서 상황은 더욱 파국으로 치닫는데.....

 

어느날 갑자기 극한 상황에 처했을 때 인간은 어떻게 할 것인가. 오로지 생존하기 위해, 살아남기 위해 인간이 취할 수 있는 최악의 모습을 만날 수 있었다.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 스스로에게 끝없이 질문을 던지고 또 선택을 강요하는 그래서 다소 불편한 소설이었다. 프랑크 틸리에의 작품은 <현기증>이 처음이다. 그의 다음 이야기를 기다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