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 이야기 샘터 외국소설선 8
존 스칼지 지음, 이원경 옮김 / 샘터사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이제야 밝히지만 난 존 스칼지란 인물을 몰랐어. 저자의 이름이 낯설어서 그의 데뷔작이자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소개된 작품인 <노인의 전쟁>은 제목부터 끌리지 않더라고. ‘노인이 전쟁은 무슨...?’ 그저 그런 소설일거라 생각했지. 근데 존 스칼지의 <노인의 전쟁>을 읽은 지인은 달랐어. 어우, ‘보기 드문 SF소설’이라면서 입에 침이 마를 정도로 극찬을 아끼지 않더라니까. “읽어봐. 첫 페이지, 첫 문장에서부터 확 끌어당긴다니까!” “아악, 어떤 내용인지 말해줄 수도 없고. 답답해 죽겠네. 일단 읽어봐. 알았지?” 줄거리를 말하고 싶어 입이 근질근질하다 못해 머리를 쥐어뜯고 싶어할 정도로 안타까워하는 그를 보니까 나도 슬며시 호기심이 생기더라. 그래서 <노인의 전쟁>을 책장으로 모셔두는 데 성공! 뭐? 읽었냐고? 아니, 내 말 뭐로 들었나? ‘모셔두는’ 데만 성공했다니깐. 거기서 더 이상 진척이 없어. 안타깝게도. 뭔가 계기가 있어야 저 책을 읽을텐데...그러는 사이에 시간이 흐르고 <노인의 전쟁> 시리즈가 막을 내리네? 아뿔싸!


그런데! 세상에 이런 일이! 반가운 소식이 들리더라구. 존 스칼지의 <노인의 전쟁> 시리즈가 끝났지만 완전히 끝난 게 아니란 거야. 또 다른 이야기, 외전이 있는데 그게 이번에 나왔다는 거야. 뭣이라? 당연히 내 귀가 솔깃해지지 않겠어? 내 이번에야말로 놓지지 않으리, 앞뒤 가리지 않고 덤벼들었지. 그게 바로 <조이 이야기>야.


‘오! 사! 삼! 이! 일!’ 이천 명의 사람들이 모여 카운트다운 하는 거로 소설은 시작돼. 그들은 화면을 예의주시하고 있었어. 까만 화면에 뭔가 나타나기만을 기다리면서. 그러다 드디어 보게 된 거지. 초록과 파랑으로 이뤄진 세계! 그들이 애타게 바라던 세상이었지. 그들은 그 새로운 세상, 고향을 ‘로아노크’라고 불렀어. 자신들이 그 아름다운 땅에 발을 딛는 최초의 사람들, 개척민이 될 거라는 사실에 감격했지. ‘올드랭사인’을 부르며 너나없이 서로 얼싸안고 입을 맞추며 새로운 시작을 기념했지.


우리의 주인공, 조이는 남자친구 엔조와 함께 기쁨을 나누었어. 십대의 어린 연인들이 이쯤 어떤 행동을 할지...알지? 영화에도 자주 나오잖아. 오붓한 장소를 찾아나서는 거. 그들은 자신들만의 자축의 시간을 갖기 위해 마젤란 호의 승무원 전망대 라운지로 향했어. 약간은 위험했지만 그다지 큰 문제는 없을 거라고 생각했거든. 그런데 그게 아니었어. 당연히 비어있을 거라 여겼던 라운지에는 승무원 네 명이 있었는데 다행히 그들은 조이 일행을 신경쓰지 않았어. 왜냐면 그들은 그들만의 이야기에 빠져 있었거든. 바로 마젤란 호가 향하는 곳이 원래 예정됐던 곳이 아니라 ‘엉뚱한 곳’이라는 거야.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는 걸 직감한 조이는 아빠에게 연락을 시도하지만 뜻대로 되지 않고 이런 저런 소문만 무성하게 떠돌았어. 그런 가운데 호출이 왔어. 마젤란 호의 승무원은 물론 승객들 모두 모이라고. 개척 행성 지도자이자 조이의 아빠인 존 페리. 그는 수많은 사람들의 시선이 자신에게 쏠리는 걸 느끼면서 이렇게 말했어. 길을 잃었다고.


자세히 얘기하고 싶지만 아~주 일부, 프롤로그만 얘기한 거야. 어때? 재밌을 것 같지? 길을 잃은 마젤란 호에서 우리의 주인공 조이는 어떤 역할을 맡게 될까? 궁금하지 않아? 난 아직 <노인의 전쟁> 시리즈를 읽지 않았지만 <조이 이야기>를 보고 나니 갑자기 궁금해졌어. <노인의 전쟁>으로 시작해서 <유령여단> <마지막 행성>으로 이어지는 이야기가 어떻게 대단원의 막을 내리게 될지...생각만해도 두근두근, 기대가 되네. 이번 가을은 SF소설에 빠져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