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음악의 거장들 - 그 천년의 소리를 듣다 : 한국 음악 명인열전
송지원 지음 / 태학사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사람이 나이가 들어서 바뀌는 걸까? 시간이 사람을 변하게 하는 걸까? 예전의 나와 지금의 내가 다름을, 달라졌음을 느낄 때 종종 이런 생각을 합니다. 먹거리와 생활방식, 일상의 기호에 이르기까지 달라진 지금 나의 모습, 이런 변화의 요인은 대체 무얼까.


국악, 우리의 전통음악을 예전에는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아니 오히려 피해 다녔다고 해야 할까요? 학창시절 어쩌다 늦은 밤 텔레비전 앞에 앉아 뭔가 재미난 걸 찾다가 채널이 국악프로그램에 머물면 얼른 돌려버리기 일쑤였습니다. 이렇게 지겹고 고리타분한 걸 대체 누가 본다고. 찾는 사람이 있기는 한가? 했지요. 그러다 나이를 들어선지 시간이 흘러선지 제 귀에 우리 음악이 들어오기 시작했는데요. 그때가 서른 고개를 넘었을 때였습니다. 조용하면서도 변화무쌍한 일렁임이 있고 묵직하면서도 솜털처럼 가벼운 국악의 매력에 난생처음 빠져들었는데요. 삼십 대에 두 아이를 배 속에 길러내면서 줄곧 들었던 음악도 바로 우리 음악이었습니다.


그럼에도 긴 호흡의 국악을 너끈히 감상하기엔 제 소양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걸 느끼고 있던 차여서 <한국 음악의 거장들>이 무척 반가웠습니다. 국악의 전문적이고 자세한 지식보다 우선 우리의 소리, 우리의 음악을 평생 지켜왔던 이들의 삶,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보는 게 더 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했거든요.


책은 ‘1장. 거문고와 가야금의 거장’ ‘2장. 시대를 울린 음악의 명인’ ‘3장. 노래에 취한 가객’ ‘4장. 장악원의 음악 관리’ ‘5장. 이론가와 작곡가’ ‘6장. 후원자와 감식가’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삿된 마음을 금하고 자신을 이기는 방법으로 거문고를 연주했다는 조선후기의 문인 오희상을 통해 당시 우리 선조들은 거문고를 연주하면서 마음을 조용히 가다듬었다고 전하는데요. 거문고를 연주함에 있어 어떤 자세로 임해야 하는지(오능), 거문고를 연주하면 안되는 상황(오불탄)에 이르기까지 그것은 단순히 악기를 연주하는 차원이 아니라 도(道)에 이르는 경지라고 해도 될 정도였습니다. 빼어난 연주자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는데요. [악학궤범]의 저자인 성현의 거문고 스승인 이마지의 연주는 얼마나 빼어났는지 사람들은 그의 거문고 연주 속에서 기쁨과 슬픔, 분노, 즐거움, 인생을 느낄 수 있었다고 하고. 거문고 소리가 실로 애절하고 절절했다는 이금사와 그를 직접 만나지는 못했지만 누구보다 이금사의 연주를 그리워했던 성해응의 사연, [현의 노래]을 통해서도 알려졌던 우륵의 가야금, 소현세자를 따라 조선에 들어왔다가 귀화하여 장악원에서 비파를 가르치기도 했다는 명의 악공 굴씨, 깊은 숲에 울려 퍼지는 대금 소리가 흡사 신선이 숲과 같았다는 억량, 아쟁 연주로 귀신까지 울렸다는 김운란 등 우리 역사에 빼어난 연주자가 정말 많다는 걸 알 수 있었는데요. 관악기도 현악기도 아닌 악기, 흐느끼듯 구슬피 우는 소리를 내는 악기 해금의 명인 유우춘은 자신의 음악세계를 이해해주는 이들 앞에서만 연주하다가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연주하기를 접었다는 대목은 제가 한창 해금 소리에 빠져있어서인지 무척 안타깝게 다가왔습니다.


올여름은 유독 더웠습니다. 깊은 밤이 되어도 한낮의 뜨거운 열기기 가시지 않아 잠들기조차 힘겨웠는데요. 그럴 때면 우리 음악을 듣곤 했습니다. 그리고 이 책을 읽었는데요. 쉬운 문장과 길지 않은 글을 낮은 소리로 읽어보니 그 속에 왠지 높고 낮은 리듬이 느껴지더군요. 열어둔 창문으로 들어온 바람이 간간히 풍경을 울리는 가운데 나지막한 우리 음악과 책 읽는 소리가 조화롭게 이어지고 어느샌가 아이는 곤히 잠들곤 했는데요. 그 모습이 참 고요하고 편안해 보였습니다. 그래서 좋았습니다. 이전에 출간된 <옛 음악인 이야기, 마음은 입을 잊고, 입은 소리를 잊고>는 어떨까 궁금해집니다. 그 책도 소리내어 읽고 싶은 마음, 가득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