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복 세이초 월드
마쓰모토 세이초 지음, 김경남 옮김 / 모비딕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지난 해 말, 마쓰모토 세이초를 처음으로 만났다. 국내에서 ‘미미여사’라고 불리며 많은 팬을 확보하고 있는 미야베 미유키가 다른 미스터리 작가의 작품을 선별을 맡은 단편집이 있다 해서 눈길을 끌었는데 그 작가가 바로 마쓰모토 세이초였다. 궁금하던 차에 마침 출간된 <제로의 초점>을 읽었지만 기대가 커서인지 이 작품이 왜 사회파 추리소설의 거장이라는 마쓰모토 세이초의 대표작이라고 하는지 공감할 수가 없었다. 흡족할만한 첫 만남은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실망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더 궁금해졌다. 대체 어떤 글을, 이야기를 쓰는지 알고 싶었다.


그런 차에 최근 다시 한 권의 책을 만났다. 제목은 <잠복>, 마쓰모토 세이초 단편 미스터리 걸작선의 첫 번째 책으로 표제작인 ‘잠복’을 비롯해 ‘얼굴’ ‘귀축’ ‘투영’ ‘목소리’ ‘지방신문을 구독하는 여자’ ‘일 년 반만 기다려’ ‘카르네아데스의 널’ 이렇게 모두 여덟 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대부분의 추리소설이 사건의 해결을 위해 트릭이나 숨겨진 단서를 찾는데 많은 부분을 할애하는데 <잠복>은 달랐다. 사건이 왜 일어나게 됐는지 당시 상황이나 동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런 걸 사회파 추리소설의 대표적인 형식이라고 한다.


이를테면 가장 먼저 수록되어 있는 ‘얼굴’의 주인공. 그는 개성 있는 얼굴로 주목받기 시작한 연극배우인데 과거 자신이 저지른 범죄, 관계를 가진 술집 여종업원이 임신을 하자 살해했던 것을 떠올린다. 누구나 한 번만 보면 기억하는 개성적인 얼굴이 연기생활에 큰 발판이 되지만 족쇄가 된다는 걸. 이에 남자는 자신의 과거, 얼굴을 기억하고 있는 인물을 정리하는 수순을 밟기 시작한다. 표제작인 ‘잠복’에서는 강도 살인 사건의 범인이 옛 연인을 찾을 거라고 추측한 형사가 옛 연인의 집에서 잠복하면서 벌어지는 일, 감시당하는 인물의 상황과 일상을 이야기한다. 그런가하면 ‘귀축’은 전직 접대부인 첩의 세 아이를 학대하는 주인공의 아내와 아내에게 떠밀려 아이들을 한 명씩 버리는 우유부단한 남자의 이야기는 동화 ‘헨젤과 그레텔’이나 옛이야기 ‘장화 홍련’을 떠올리게 했다. ‘지방신문을 구독하는 여자’는 지방신문을 구독 신청한 여자가 뜬금없이 해지 통보를 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인데 글을 쓰는 작가들의 상상력과 추리력을 짐작해볼 수 있었다.


이렇게 저자는 작품 속에서 범인이 얼마나 악랄한 범죄를 저질렀으며 그것을 수사팀이 어떻게 추적하는지 강조하지 않는다. 그보다 오히려 사건을 범한 범인, 주인공이 처한 상황과 그가 어떤 심리상태인지를 전달하는데 주력한다. 지금까지 읽었던 추리소설이나 스릴러, 미스터리 소설과는 사뭇 다른 느낌이어서 ‘이게 무슨 미스터리야’라고 생각되기도 하지만 저자가 독자에게 전하고 싶었던 것이 인간의 복잡한 심리였다면 충분히 이해가 된다.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 속은 모르는 법이니까.


마쓰모토 세이초와의 두 번째 만남은 장편과 단편이라는 차이점이 있긴 했지만 일단 성공적이었다. 다만 이야기 곳곳에 술집 여종업원이나 외도에 대한 대목이 있어서 마음에 걸린다. 물론 출신의 비밀이나 불륜, 외도는 막장 드라마에서도 단골 메뉴이고 또 일간지에서 심심찮게 만날 수 있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쾌하진 않았다. 등장인물을 좀 더 다양하게 할 수도 있었을텐데...라는 생각도 들고.


여하튼 마쓰모토 세이초. 그는 좀 더 만나고 싶은, 알아낼 것이 많은 작가임은 분명하다. 앞으로 그의 작품이 계속 출간된다니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