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옥균과 젊은 그들의 모험 - 조선 엘리트 파워
안승일 지음 / 연암서가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 아이에게 읽힐 위인전을 고르고 있을 때였다. 하도 여기저기 기웃거리고 다니니까 주변에선 그냥 유명출판사의 전집을 들여놓으라고 조언을 했지만 왠지 그러고 싶지 않았다. 위인의 삶이나 사상보다 업적만을 지나치게 추켜세운, 위인은 범인과 달리 태어날 때부터 무언가 달랐다는 식의 떡잎론으로 일관하는 위인전이 얼마나 많은가. 아이의 손에 그런 반쪽짜리 위인전을 쥐어주고 싶지 않았다. 선별된 목록을 바탕으로 서점에서 일일이 확인하다보니 시간이 생각보다 많이 소요됐지만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 여겼다. 그런 차에 의외의 인물을 만나게 됐는데 그가 바로 김옥균이다.


학창시절 수업시간을 통해 배운 지식에 의하면 ‘김옥균’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개화파’ ‘갑신정변’ ‘삼일천하’이다. 여기서 한 단계 더 들어가면 김옥균은 조선말 정치가이며 박규수의 영향으로 개화사상을 받아들였으며 일본의 문화와 제도를 살펴보고 귀국한 뒤 박영효, 홍영식과 함께 갑신정변을 일으켜 재정권을 손에 쥐지만 청의 간섭으로 3일 만에 실패(3일 천하)하여 박영효, 서재필과 함께 일본에 망명하였다는 것이 전부이다. 당시 김옥균에 대한 지식이라고는 실패한 개혁가. 정치가란 이미지가 전부였기에 솔직히 놀랍고 의외였다. 그런데 그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위인전에 속해있다니. 하지만 내가 알고 있는 것이 바로 내가 그렇게도 경계했던 반쪽자리 역사였다는 걸 알기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책은 ‘새 물결 새 바람, 그 이름 개화사상’, ‘역사의 전면에 나선 ‘젊은 그들’’, ‘‘3일 천하’로 끝난 허무한 꿈’, ‘참담한 망명 생활-그 ‘잃어버린 10년’’, ‘혜성처럼 떠오르다 운석처럼 떨어지다’, ‘망국의 길에서 다시 만난 ‘북촌’ 개화파들의 험난한 행로’ 이렇게 크게 여섯 개의 장으로 나뉘어 있다. 북촌에 자리한 박규수(박지원의 손자)의 집에 출입하는 인물(오경석, 유대치)에 대한 이야기로 개화의 의미(새로운 것을 개발하고 백성을 교화한다)를 보는 것으로 시작한 책은 개화사상의 선각자이자 핵심인물인 박규수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런 다음 조선 후기가 세도정치와 대원군의 쇄국정책으로 인해 얼마나 심각한 위기에 처했는지 당시의 상황과 조선의 고질적인 병폐인 신분제도를 폐지하여 인재를 골고루 등용하는 일대 혁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대두했다고 말한다. 김옥균 역시 낡은 생각이나 제도에서 벗어나 사회를 개혁하자는 생각으로 거사를 준비한다. 하지만 준비하는 과정이 순탄하지 않았다. 고종이 개화파의 생각과 주장에 공감을 보이면서도 막상 일을 진행함에 있어서는 우유부단한 모습을 보였던 것. 거사계획이 거듭 난관에 부딪히자 김옥균을 비롯한 젊은 개화파들은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다는데 의견을 모은다. 그리하여 1884년 12월 4일 우정국 개국 축하파티가 무르익어가는 순간. 거사를 일으키는데 그것이 바로 ‘갑신정변’이다. 그렇게 간신히 성사시킨 갑신정변이었지만 청의 간섭으로 인해 3일 만에 끝나고 마는데...


<김옥균과 젊은 그들의 모험>은 조선말 개화파의 핵심인물인 김옥균을 중심으로 당시 시대적 상황이 어떻게 그들의 삶과 사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급속한 발전으로 나라를 발전시키려 했던 개화파의 주장이 왜 실패하게 됐는지 그 원인을 하나하나 짚어준다. 조선말의 역사에 대해 아는 것이 많지 않지만 책을 읽는 내내 떠나지 않았던 생각은 ‘김옥균과 젊은 그들의 생각, 주장, 개혁안이 3일 천하로 끝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됐을까’하는 거였다. 틀림없이 우리나라가 지금과는 많이 다른 모습으로 변하지 않았을까...


어느 시대 어느 국가든 그 시대가 요구하는 시대정신이 있다. 국가. 사회 지도층이 그 정신을 솔선수범 실천에 옮길 때 그 나라 역사는 바로서고 발전할 것이다. - 7쪽.


저자는 서두에 이렇게 ‘시대정신’에 대해, 젊은 그들의 모험과 도전은 실패로 끝났지만 젊은 그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재평가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그것이 바로 이 <김옥균과 젊은 그들의 모험>의 의미이기 때문에. 하지만 시대정신만으로 얘기할 수 없는 것들도 분명 있지 않을까? 어느 시대의 역사이건 학자들의 주장이 저마다 다르듯이 조선말의 급변하는 상황과 갑신정변을 바라보는 시각 역시 마찬가지일 것이다. 당시의 역사에 대해 자세한 것을 알지 못하기에 무어라 단언할 수 없지만 김옥균을 비롯한 개화파 인물에 대한 논의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지길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