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으로 읽는 옛집 -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왜 건축에 중독되었는가?
함성호 지음, 유동영 사진 / 열림원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 전통건축 답사를 갔을 때의 일입니다. 도산서원의 현판 글씨가 왠지 어색해보여서 인솔하신 분께 여쭤봤는데요. “거기엔 사연이 있습니다.”라며 이런 얘길 하더군요. 당시 임금인 선조는 도산서원의 현판을 쓰기 위해 당대 최고의 명필로 알려진 한석봉을 불렀습니다. 하지만 그럴 경우 젊은 한석봉이 그것을 다른 연배 높은 이에게 양보하려들 것이 분명하기에 선조는 꾀를 냅니다. 한석봉에게 자신이 부르는데로 한 글자씩 받아쓰게 한 거지요. 선조는 부릅니다. 원(院), 서(書), 산(山)...여기까지 한석봉은 눈치 채지 못하고 있었는데요. 선조가 마지막 한 자, 도(陶)를 부를 때 한석봉은 그제야 자신이 도산서원(陶山書院)의 현판을 쓴다는 걸 알고 긴장한 나머지 글씨가 떨리게 되었다고 말입니다. 잠깐이었지만 그때의 짧은 얘기는 오래도록 기억에 남았는데요. 최근에 한 권의 책을 읽으면서 그날의 기억을 떠올리게 되었습니다. 바로 <철학으로 읽는 옛 집>입니다.


지금까지 우리의 옛집에 관한 책을 몇 권 읽었습니다. 언뜻 생각나는 책이 우리의 옛집의 우수함과 과학적 원리를 담은 책 <담장 속의 과학>을 비롯해 옛집의 역사를 살펴보는 <고택에서 빈둥거리다 길을 찾다>를 통해 우리 옛집에 깃든 조상의 지혜를 엿볼 수 있었는데요. 이번의 <철학으로 읽는 옛집>은 접근방법이 좀 다릅니다.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왜 건축에 중독되었는가?’란 부제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옛집의 마음, 정신세계, 철학에 대해 말합니다.


건축가이면서 시인이기도 한 저자는 우리의 옛집을 단순한 집으로 보지 않고 집이 놓인 위치와 주변 풍경, 형식을 살펴보는데요.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그 집 주인의 생각과 이야기라는 겁니다. 회재 이언적의 독락당을 비롯해 양동마을과 향단, 고선 윤선도, 퇴계 이황의 도산서당, 포석 김장생의 임이정, 윤증고택, 산천재 ...등 집 주인의 정신과 철학을 바탕으로 옛집에 얽힌 역사와 이야기를 전해줍니다. 이를테면 제일 먼저 소개된 ‘시로 지어진 건축, 독락당’에서 저자는 설계도가 바로 시(時)라고 하면서 회재 이언적이야말로 독특한 건축가라고 하면서 이언적이 독락당을 짓게 된 내력에 대해 전합니다. 젊은 시절 승승장구하던 그가 불혹의 나이가 되어 탄핵을 받아 물러나게 되었는데 그때 울분과 억울함을 가슴에 품은 이언적이 고향에 돌아와 지은 집이 바로 독락당이라고 하는데요. 세상의 주류에서 밀려나 외로움과 벗하며, 아니 고독을 즐기며 살고자 했던 이언적의 마음과 생각이 고스란히 집에 담겨있다고 합니다. 그런가하면 도산서당은 퇴계의 철학과 학문 그 자체라고 하는군요. 도산서당을 담으로 둘러쌓는 것에도 단순히 안과 밖의 경계를 짓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마치 정원의 나무를 심는 것과 같다는 표현을 씁니다. 한마디로 집을 짓되 자연과의 경계를 두지 않고 자연을 집으로 끌어들였다는 의미가 아닐까 싶습니다.


옛집을 알면 알수록 참 멋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야트막하게 둘러싼 담과 무심히 심어진듯 보이는 나무 한 그루에조차 옛사람들의 철학과 마음이 담겨있다니. 감탄이 저절로 나옵니다. 문득 옛집을 찾아보고 싶어집니다.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지어진 옛집에서 한가로이 시간을 즐기다오고 싶은 마음 간절합니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