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와 아메리카인 김영사 모던&클래식
존 스타인벡 지음, 안정효 옮김 / 김영사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고백한다. 얼마전까지 난 존 스타인벡의 작품을 그 어떤 것도 읽지 않았다. 그의 유명한 작품 <분노의 포도>와 <에덴의 동쪽>도 소설이 아닌 영화로 만났다. 하지만 영화를 본 것도 워낙 오래전의 일이라 <분노의 포도>는 어떤 내용이었는지조차 기억하지 못한다. <에덴의 동쪽>는 당시 은막의 반항아로 불리던 제임스 딘이 출연한 덕분에 그나마 대략적인 줄거리를 아는 정도에 불과하다. 해서 ‘노벨문학상 퓰리처상 수상자 스타인벡의 대표작’이라는 은빛 스티커가 반짝이는 책 <아메리카와 아메리카인>을 보고 덥석 달려들었다. ‘이제야 드디어!’라고 생각했다. 즉, 내 머릿속엔 이 책 <아메리카와 아메리카인>이 소설인 줄 알았던 것. 하지만 아니었다. 책을 손에 들고 꼼꼼히 살펴보니 그제야 눈에 띄었다. ‘존 스타인벡 문학의 결정체’라는 표지의 작은 글씨 아래에 ‘최고의 문명비평서!’라는 문구가... 오호, 이럴수가. 이걸 의도한 건 아니었어.


하지만 책장을 한 장씩 넘기면서 아주 잠깐이지만 머리를 싸안고 후회했던 나 자신이 왠지 부끄러웠다. 책의 번역을 맡은 이가 <하얀전쟁>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의 저자인 안정효라는 점에서. 본문에 앞서서 수록된 70여 페이지가 넘는 ‘해제’. 이 두 가지만으로도 이 책이 평범하지 않다는 걸 느낄 수 있었다. 존 스타인벡의 작품이 스승이자 교과서였다면서 밝힌 역자는 스타인벡의 삶과 작품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미쳤는지 꼼꼼하게 짚어주는데 스타인벡의 작품을 접하지 않았던 나로선 이 해제가 정말 반가웠다.


책은 ‘여럿에서 하나’, ‘모순과 꿈’, ‘국민의 정부’, ‘평등하게 태어나서’, ‘아메리카누스 인종’, ‘행복의 추구’, ‘아메리카인과 땅’, ‘아메리카인과 세계’, ‘아메리카인과 미래’ 아홉 개의 주제어로 나누어져 있다. 저자는 먼저 아메리카의 형성에 대해 ‘400년에 걸친 고된 노동과, 피 흘림과, 외로움과, 공포가 이 땅을 창조했다....그 과정에서 온갖 인종에 뿌리를 박고, 온갖 피부 빛깔로 얼룩지고, 겉으로 보기에는 인종상의 무정부 상태를 이루는 새로운 종족 아메리카인으로 태어났다.(87쪽)’고 말하면서 이주자들이 황무지를 개척하고 정착하는 과정에서 일어났던 아메리카 인디언과의 투쟁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이는 이후 계속될 내용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었다. 아메리카인이 정부, 특히 대통령에게 갖고 있는 이중성도 짚고 있는데 대통령을 사랑하고 위대하다고 생각하는 반면에 ‘직책에 대한 모든 대가로 우리들은 암살이라는 선물을 보탠다(144쪽)’는 대목은 놀라울 정도다. 그뿐이 아니다. ‘아메리카 드림’이라며 아메리카에서는 누구나 꿈을 이룰 수 있다고 모두가 평등하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다른 어떤 나라보다 인종차별이 극심하다는 것을 KKK단과 저자가 겪은 일화를 소개한다. 아메리카인들이 안고 있는 심각한 문제점과 그들의 미래에 대한 걱정까지 털어놓고 있다. 그리고 이런 말로 끝을 맺고 있다. 후기에 이런 말한다. ‘우리들은 때때로 실패했고, 길을 잘못 들었고, 기운을 차리려고 멈추었고, 배를 채웠으며 상처를 치유했지만, 우리는 한 번도, 단 한 번도 뒷걸음질을 친 적은 없었다. (292쪽)’


세상의 부조리함과 파괴를 일삼는 인간 문명을 비판하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대표적 작가로 알려진 존 스타인벡의 글을 읽으며 한편으론 이런 내용의 책이 출간될 수 있는 그들의 환경이 부러웠다. 하지만 제목에서부터 내용, 표지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아메리카’를 얘기하는 책을 보면서 때론 지금 우리의 현실을 보는 듯한 착각에 불편하기도 했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