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계이야기 - 은밀하고 매력적인 나만의 시계바이블
정희경 지음 / 그책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미키마우스! 아직도 선명하게 기억납니다. 제가 초등학교 입학할 때 아버지께서 입학선물로 시계를 주셨는데요. 거기에 바로 미키마우스가 있었어요. 미키마우스의 두 팔이 시침과 분침으로 된 시계를 받고 얼마나 기분이 좋았던지. 하루에도 여러 수십 번을 들여다봤습니다. 덕분에 제 또래에 비해 시계 보는 법도 빨리 배웠지요. 하지만 몇 년이 지나서 반짝반짝 윤이 나던 시계의 광택이 사라지고 흠집이 나면서 시계에 대한 애정이 조금씩 식기 시작했는데요. 계기는 4년 후 남동생이 입학선물로 받은 전자시계였습니다. 시침과 분침을 뚫어져라 쳐다보지 않아도 척 보면 알 수 있는 시계. 어린 제 눈에도 정말 편리해 보이더군요. 그걸 남동생에게 건네면서 아버지께서 하신 말씀이 있습니다. “시간 계산할 줄 아냐? 20시는 몇 시?” 무슨 말인지 몰라 어물거리는 남동생 옆에서 제가 대뜸 대답했습니다. “8시! 저녁 8시에요.” 그리고 이런 말도 했지요. “아버지, 얘는 아직 시계 볼 줄 모르는데 그거 제가 하면 안돼요?” 아버지의 대답은.... 네, 노!였습니다. 그 후 미키마우스 시계는 2년을 더 제 손목에 머물렀답니다. 초등학교 졸업할 때까지.
<시계이야기>의 첫인상은 ‘정말 단순하다’였습니다. 간단하게 표현된 시계 그림의 위에 거두절미하고 쓰여진 제목 ‘시계이야기’. 간단함을 넘어서 심플함이 돋보였습니다. 시계에 대해 대체 어떤 얘기를 하려나? 궁금했습니다.
오우, 그런데 책장을 넘기자마자 제 눈은 휘둥그레~~. 심플한 표지와는 정반대로 크고 작은 컬러 사진과 그림에 깜짝 놀랐습니다. 시계가 정교하다는 건 알았지만 이렇게 화려했나? 싶을 정도로 화려하고 아름다운 시계가 연이어 나타났습니다. 본문의 내용은 뒤로 하고 사진과 그림만 처음부터 끝까지 살펴봤으니까요.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시계에 관한 다섯 개의 이야기를 전해줍니다. 첫 번째 ‘흥미진진한 시계탐험을 시작하다’에서는 시계에 관한 기본적인 설명을 합니다. 시계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시계의 부분 명칭이나 용어에 대해 알려주는데요. 단순하게 시간을 알려주던 시계가 점차 여러 가지 기능을 갖게 되는 과정도 알 수 있었습니다. 두 번째 ‘역사와 전통과 함께 가다’에서는 오랜 역사를 지닌 시계 제작자들에 대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저로서는 감히 꿈도 못 꾸는 고가의 한정품 시계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세 번째 ‘시계의 근대화에 앞장서다’에서는 시계의 새로운 시도를 보여준 제작사들을 이야기하는데요. ‘오메가’라든가 ‘세이코’처럼 많이 알려진 회사를 비롯해서 ‘브라이틀링’이나 ‘코럼’처럼 처음 만나는 제작사도 많았습니다. 특히 제랄드 젠타 & 다니엘 로스의 시계는 시계가 아닌 예술품을 감상하는 기분. ‘정말 아름답다’는 말이 절로 나오더군요. 네 번째 ‘색다른 관점에서 시계를 보다’에서 시계는 더욱 정교해지고 화려하게 탈바꿈합니다. 갖가지 화려한 보석으로 돌고래는 물론 깊은 바다 속, 나비, 공작, 견우와 직녀를 연상케 하는 연인에 이르기까지 시계의 변신은 무한하다는 걸 확연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새롭고 강력한 생각과 기술로 따라잡다’에서는 기계식 시계를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합니다. 새롭고 특이한 형태의 시계나 어찌 보면 복잡하고 전위적으로 보이는 시계도 있었는데요. 마지막 스페셜로 우리나라의 시계 제작 브랜드도 소개하고 있어 인상적이었습니다.
책장을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 옛날 일이 생각났습니다. 처음 내 손목에 자리 잡은 미키마우스 시계를 내가 어떻게 했더라? 친정의 어딘가에 있으면 정말 좋을텐데 혹시나 버린 건 아닐까? 어린 마음에 괜히 아버지에게 억지를 부렸다는 생각에 후회도 되고 아쉽기도 하고 그랬습니다. 시계의 모든 것이 수록되어 있는 <시계이야기>를 통해 이 세상 모든 시계와 특별한 만남을 가졌습니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