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리더십, 선비를 말하다
정옥자 지음 / 문이당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요즘 신문을 보면 참, 한숨부터 나옵니다. 명석한 두뇌를 지닌 데다 엘리트 교육까지 받으신 높은 양반(?)들이 하는 짓거리는 어찌 그리도 상스러운지. 한 나라의 현재를 책임지고 이끌어갈, 보다 밝은 미래를 향해 불철주야 고심해야할 그들이 어찌 그리도 막 나가는 행동을 일심는지. 일개 범인(凡人)에 불과한 내가 봐도 한심하기 그지없습니다. 이렇게 된 데에는 도대체 무엇이 문제일까요?




이에 서울대 규장각 관장과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던 저자 정옥자 교수는 현재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거, 우리의 역사를 돌아보고 그 속에서 교훈을 찾아봐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지금 우리 사회에서 진정한 리더십이 존재하는지 돌아보라며 의문을 던지는데요. 그런 그가 <한국의 리더십 선비를 말하다>라는 책을 통해 우리에게 제시하고 있는 것은 바로 ‘조선시대의 선비’, 그들의 삶과 일상에서 진정한 리더십을 일깨우라는 것입니다.




<한국의 리더십 선비를 말하다>는 저자가 그동안 발표했던 글들을 한데 모아서 엮은 책인데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1장 ‘화이부동(和而不同)을 꿈꾸며’에서 저자는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학창시절 4.19와 5.16을 겪으면서 학생의 신분으로 바라본 민주화 운동, 그로인한 갈등이 어떠했는지 그리고 그때의 일이 이후 자신에게 있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돌아보면서 역사학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개혁과 권력병, 기업 문화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펼치는데요. 2부 ‘참을 수 없는 역사의 가벼움’에서는 좀 더 강한 어조로 우리가 어떤 문제를 지니고 있고 어떤 난관에 봉착해있는지 하나하나 짚어보고 있습니다. 우리가 지나간 과거라고 일축해버렸던 것, 역사와 전통에 담긴 의미와 그 속에서 지금 우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보라고 제시하는데요. 그것이 바로 ‘선비’입니다. ‘학식 있고 행동과 예절이 바르며 의리와 원칙을 지키고 관직과 재물을 탐내지 않는 고결한 인품을 지닌’ 선비정신이야말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핵심이라는 거지요. 그리고 3장 ‘왜 지금 ‘정조학’인가’에서 저자는 먼저 우리의 근현대사를 돌아보면서 그 백 년의 역사를 통해 무엇을 일궈낼 수 있었는지 말합니다. 그리고 우리의 정치를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당파싸움, 조선이 멸망한 원인은 이 바로 당쟁이었다는 것이 바로 식민사관에 의해 철저히 왜곡된 것이라면서 ‘당쟁’에 대해 제대로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일깨워줍니다. 또 탐관오리의 반대어인 ‘청백리’가 오늘날에는 사라졌다면서 조선 선비 정신의 산물이자 핵심인 ‘청백리’를 일깨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올해 우리 나이로 70이 되었다는 저자의 글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숨 돌릴 틈 없이 바쁘게 돌아가는 현대의 삶 속에서 우리가 잊고 있는 것, 잃어버린 것이 무엇인지, 무엇을 일깨우고 되찾아야 하는지 생각해보게 됩니다. 역사는 흘러가는 강물처럼 지나버리면 그만인, 그저 그런 것이 아니란 걸 다시 한 번 느낍니다. 언젠가 다가올 머지않은 미래에 나 역시 저자처럼 역사라는 거울 앞에 서게 되겠지요. 그때 거울 속에서 어떤 모습을 맞닥뜨리게 될지...그 모습을 만들어가는 것은 바로 ‘오늘의 나’라는 걸 새삼 깨닫게 됩니다. 기대했던 ‘정조학’에 대해 많은 만나지 못해 아쉬웠지만 역사에 대한 생각을 바로세우는 계기가 된 책읽기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