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1 - 원시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1
강종훈 외 지음,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 웅진지식하우스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아주 반가운 기사를 봤습니다. 내년부터 고등학생들은 한국사를 선택이 아닌 필수과목으로 배우게 됐다는데요. 이 기사를 보는 순간 “그렇지!”하며 손뼉을 치면서도 ‘지금 내가 왜 이렇게 좋아하지?’ ‘한국 사람이 한국사를 배우는 건 당연하지 않나? 왜 ‘필수’과목이란 조건까지 달아야 하는 거지?’ 의문이 들었는데요. 생각보다 답은 금방 나왔습니다. 바로 ‘한국사가 재미없다는 것’. 사실 그래요. 국사. 재미없지요. 제가 학창시절에도 그랬으니까요. 시대가 바뀌고 세대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것. 그것은 바로 역사, ‘국사가 재미없는 과목’이라는 겁니다. 정말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런데 이제 희망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제가 얼마전에 만난 책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덕분에 말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연구하고 보급하는 역사문제연구소가 기획한 이 책은 우선 집필진부터 눈에 띕니다. 저자가 한 명이 아니라 역사에 있어서 각 분야의 전문가라고 손꼽히는 교수들이 함께 했는데요. 1권에만 해도 전문분야가 각기 다른 네 명의 교수가 공동으로 작업했습니다. 이것만 봐도 이 책의 내용에 대한 신뢰도를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는 모두 다섯 권으로 되어 있는데요. 전 이번에 읽은 1권은 [원시시대에서 남북극시대까지]를 타이틀로 해서 한반도의 역사를 고대에서부터 어떻게 발전했는지 짚어보고 있습니다. 책은 ‘원시시대와 국가의 형성’ ‘여러 나라의 성장’ ‘삼국시대의 전개’ ‘남북극시대’ ‘고대의 사회와 문화’ 이렇게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전체적인 흐름만 보면 기존에 출간된 여러 역사 서적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이 책은 본문을 상단에 배치하는 편집방식에서부터 사진, 그림, 도표 같은 이미지 자료들을 보기 쉬우면서도 산만하지 않게 수록해놓았는데요. 유물과 유적에 있어서 가장 최신의 자료들까지 포함하여 소개하고 있어서 역사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 단순히 ‘신화’로만 여겨졌던 단군신화를 역사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사실 저도 그랬지만 환웅과 여자로 변한 곰이 단군을 낳았다는 이야기는 허무맹랑한 이야기일 뿐이라고 여겼는데요. 바로 그 단군신화가 상징하는 것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발전시키고 있어서 무엇보다 반가웠습니다. 우리 민족의 밑바탕, 뿌리가 굳건해지는 기분이랄까요? 특히 우리의 역사에서 통일신라와 발해가 함께 했던 때를 ‘남북극 시대’라고 지칭한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삼국을 통일한 통일신라와 고구려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해동성국’이라 일컫는 발해에 대해 역사를 인식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앞으로 더욱 깊은 연구가 이뤄졌으면 합니다.




며칠 전 큰아이가 시험을 치렀습니다. 5학년 사회 과목은 4학년과 다르게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데요. 지금까지 역사에 관한 책을 단계별로 읽었던 큰아이조차 버거워하는 점이 없잖아 있었습니다. 교과서에서 짧게 몇 줄로 끝나는 역사를, 그 기나긴 흐름을 이해하기가 어려웠던 거지요. 아마 예전의 저라면 “그냥 외워! 달달”이라고 말했을 겁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제가 역사에 관심이 있었던 탓에, 무엇보다 이 책이 있었기에(무엇보다 시험범위가 선시시대에서 발해까지였거든요.) 아이와 함께 공부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다음 주엔 신라의 유적을 돌아보고 체험할 수 있는 경주 답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 어디를 어떻게 돌아볼까...궁리중인데요. 그런 도중에도 불쑥불쑥 궁금증이 생깁니다. 초등학교에서 점수는 그저 숫자일 뿐 기대를 접자 몇 번이나 다짐했지만....그럼에도 궁금해요. 큰아이의 사회점수가....




그동안 역사는 지루하고 재미없게 생각했다면 아이에게 제대로 된 역사관을 심어주고 싶은 이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