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시간을 그리다 - 풍경과 함께 한 스케치 여행
이장희 글.그림 / 지식노마드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대학 졸업 후 직장 때문에 3년 조금 넘게 서울에서 지냈습니다. 눈 뜨고도 코 베어간다는 서울에 나 혼자 가겠노라 했다면 부모님께서 반대하셨겠지만 다행히 언니가 서울에 있었어요. 부모님과 떨어져 언니의 자취방에 얹혀살게 된 첫 날, 제일 먼저 한 일은...서울시의 전체와 중심가 부분을 상세하게 그려놓은 지도와 지하철 정액권을 구입하는 거였습니다. 그런 다음 언니는 절 데리고 대학로에 갔습니다. 거리의 분위기며 말투가 제가 살던 곳과 어딘지 모르게 낯설었지만 그곳을 가득 메운 젊음과 활기는 신선한 충격이었어요. 이후로 우리 자매는 경복궁을 비롯해 연인이 걸으면 헤어진다는 덕수궁 돌담길을 걸었고 졸린 눈을 부비며 새벽시장을 찾기도 했는데요. 그런 서울 나들이도 언니가 유학을 떠나면서 중단되고 말아서 얼마나 아쉬웠는지 모릅니다. 




그래선지 <서울의 시간을 그리다>가 출간되었을 때 눈이 번쩍 뜨이는 기분이 들었어요. 오래전 제가 서울에 머물 때와 지금의 모습은 얼마나 달라졌을까, 언니와 함께 다녔던 곳을 스케치 그림으로 만나면 어떤 기분일까. 느낌이 어떻게 다를까. 정말 가보고 싶었지만 끝내 찾지 못했던 그 곳도 책에 있을까...?




‘한반도 중앙부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수도’. ‘정치·경제·산업·사회·문화·교통의 중심지’. ‘아시아경기대회, 서울올림픽경기대회가 개최된 국제적인 대도시’. ‘경제발전과 함께 도시화가 진행되어 거대도시(Megalopolis)가 되고 있다’. 인터넷으로 ‘서울’을 검색했을 때 나오는 문구들입니다. 한마디로 서울은 모든 분야에  걸쳐 ‘최첨단으로 발달한 거대도시’라는 의미인데요. 저자는 좀 다른 시각으로 접근합니다. 서울의 화려하고 세련된 모습보다 서울의 역사를 간직한 곳, 때론 아픔과 슬픔마저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곳을 찾아 그곳의 모습을 그림으로 남겼습니다.




책은 서울, 하면 떠오르는 곳 ‘광화문’을 시작으로 ‘경복궁’ ‘명동’, ‘수진궁’ ‘효자동’ ‘광화문 광장’ ‘종로’ ‘청계천’ ‘우정총국’ ‘정동’ ‘혜화동’ ‘숭례문’ ‘경교장’ ‘딜쿠샤’ ‘인사동’에 이르기까지 모두 열 네 곳의 서울의 모습을 담고 있는데요. 각각의 장소마다 역사와 유래 같은 것들을 스케치 그림과 함께 보여줍니다. 이를테면 경복궁에서 각 건물의 이름과 목적, 의미를 설명한 다음엔 경복궁 내부의 여러 가지 모습들을 마치 스냅사진 찍는 것처럼 부분 부분의 그림을 그린 다음 설명글을 덧붙였는데요. 그 설명글이 정말 절묘합니다. 경복궁 근정전을 수호하는 서수들의 그림에 ‘이런 서수들의 피규어는 왜 나오지 않는 걸까. 모두 다 수집할 용의가 있는데 말이지!’라며 고개를 갸웃거리고 복원된 광화문을 보면서는 예전의 광화문이 자꾸 떠올라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합니다.




사는 곳이 지방이어서 서울에 대해 몰랐던 것들도 새롭게 알게 됐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우체국 중 하나가 우리나라, 그것도 서울에 있는데 개설되어 폐쇄까지, 실제 업무는 불과 20여 일이 안 되는 가장 짧은 기간이라는 '우정총국'을 비롯해서 국내 모빌딩의 디자인이 사실은 일본에 있는 건물의 복사판인데, 그런 건물이 전국에 깔려있다는 것, 1989년 독일이 통일되면서 철거된 베를린 장벽의 일부가 청계천에 설치되어 있으며 광복 이후 안두희에게 암살당하기 전까지 백범 김구 선생이 머물렀던 '경교장'이 그 보존상태에 있어서 너무 초라하다는 대목은 무척이나 안타까웠습니다.




그리고 본문에 미처 수록하지 못한 그림들을 책의 후반부에 모아서 ‘미처 다 담지 못한 풍경들’이라고 담아놓았는데요. 북촌의 어느 골목길에 떨어진 꽃잎이며 고궁의 갖가지 아름드리 문은 너무나 아름다웠습니다. 또 제일 마지막에 ‘바퀴, 바퀴, 바퀴’는 탈것(자동차)홀릭인 작은 아이가 어찌나 좋아하던지...버스며 트럭, 굴삭기들을 자꾸만 가위로 오려달라고 해서 말리느라 진땀을 뺐답니다.




제가 사는 곳의 박물관에서는 해마다 ‘문화제 그리기 대회’를 엽니다. 탑이든, 도자기든, 어떤 것이든 박물관에 전시된 문화재 중에서 자기가 그리고 싶은 것을 택해서 그 앞에 자리를 펴고(작은 공부상을 들고 오는 사람도 있어요) 몇 시간이고 그림을 그리는데요. 중요한 것은 그림을 잘 그리고 못 그리고가 아닌 것 같습니다. 한 장의 그림을 그리기 위해 하나의 문화재를 그렇게 오랫동안 집중해서 바라봤다는 것. 그런 자세, 과정들이 중요한 게 아닐까요? 그리고 바로 그런 경험을 통해 아이들은 문화재를 바라보는 시각이나 대하는 마음도 달라지겠지요. 오랫동안 바라본 대상일수록 사랑도 싹트는 법이니까 말입니다. 그러고보면 서울의 여러 곳을 수많은 그림으로 남기는 동안 저자는 분명 서울과 사랑에 빠졌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정말이지 호사스런 시간이었습니다. 미처 가보지 못했던, 그렇게나 가보고 싶었던 서울을 사진이 아닌 그림으로 만날 수 있는 기회. 그리 흔치 않거든요. 다만 본문의 글자가 너무 작아서 보기가 좀 어려웠어요. 편집상 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다면 책의 판형을 조금 크게 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그 외엔...즐거운 책읽기 시간이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