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인간의 도리를 말하다 푸르메 어록
김영두 엮음 / 푸르메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확히 언제인지 모르겠다. <고추장 작은 단지를 보내니>란 책에서 연암 박지원이 가족과 친구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연암의 진솔함을 엿볼 수 있었고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에서 조선 후기 최고의 학자인 다산 정약용의 편지글을 볼 수 있었는데 올곧은 학자 정약용이 아닌 오랜 유배생활로 인해 외로워하는 인간의 모습이 더욱 인상적으로 남았다. 조선 성리학의 대가인 퇴계 이황 역시 아들에게 편지를 썼다. 당신이 학자여서 아들의 공부를 염려하고 독서에 힘쓰라는 글과 앞으로 나아갈 줄 모르면 언젠가는 퇴보하여 쓸모없는 사람이 되고 말거라는 일침을 가하는 글에서 아버지로서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최근 다시 퇴계의 글을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왔다. [퇴계어록]을 현대의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풀어놓은 책 <퇴계, 인간의 도리를 말하다>이 그것이다. 책의 저자는 학봉 김성일로 퇴계 이황의 뛰어난 제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퇴계가 세상을 떠나자 다른 제자들과 함께 선생의 언행을 기록으로 남겼다고 하는데 그때 바탕이 된 글이 [퇴계선생언행록]이다.




책은 퇴계의 말씀과 행동들을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20개의 주제로 분류하여 재편집해 놓았다. 제일 먼저 성리학의 핵심적인 개념인 이(理)와 기(氣)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한다. 세상 만물을 형성하는 바탕이나 힘이 ‘기’이며 기를 바탕으로 세상 만물이 올바르게 나아갈 수 있도록 이끄는 것이 ‘이’라는 대목은 학창시절 수업시간에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었지만 여전히 헛갈렸다. 관리가 되었을 때도 벼슬길에 나아가는 도리보다 명분과 의리에 맞게 물러나는 도리가 더 중요하다는 것과 독서, 책읽기에 관한 말씀도 인상적이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단순히 책 속에 담긴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더 깊은 생각, 심성을 기르고 익힐 수 있어야 한다면서 낮에 읽은 것을 밤에 풀어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독서의 질보다 양에 집착했던 나의 책읽기에 일침을 가하는 말씀이었다. 이뿐 아니라 사람들이 서로 주고받는 선물도 의리에 맞느냐 맞지 않느냐에 따라 엄격히 구분하여 의리가 아닌 선물은 작은 물건도 받지 않으셨다 한다. 그리고 퇴계는 제자를 마치 친구처럼 대했는데 나이가 어리다하여 하대하지 않았다는 대목에서 퇴계의 소탈함을 느낄 수 있었는데 최근 제자를 폭행하는 등 물의를 일으킨 몇 명의 대학교수를 보면 퇴계 선생이 대체 어떤 말씀을 하실지...




퇴계의 주옥같은 말과 글을 만날 수 있을거라 기대했지만 생각보다 적은 글이 수록되어 있어서 아쉬웠다. 하지만 그 적은 글에서도 퇴계 선생의 인간됨은 오롯이 느낄 수 있었다. 매사에 곧이곧대로, 때론 너무 완고하고 지나치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그건 곧 그만큼 자신에게 엄격했다는 걸 알기에 더욱 존경스러웠다. 대다수의 고전이 그러하듯 옛 성현의 말은 커다란 감동을 불러오지는 않는다. 그저 조용하고도 낮은 음성으로 우리에게 앞으로 나아갈 방향과 길을 일러줄 뿐이다. 가까이 두고 생각날 때마다 한 번씩 꺼내보면서 마음에 새겨두고 싶은 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