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서 왕 궁전의 코네티컷 양키 ㅣ 세계문학의 숲 7
마크 트웨인 지음, 김영선 옮김 / 시공사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어린 시절 만났던 톰 소여와 허클베리 핀. 그 두 친구 덕분에 내 어린 시절이 무척 즐거웠다. 그 동화를 마크 트웨인이란 동화작가의 작품이란 것도 모른 채 그저 나와 다른 나라에 사는 아이들의 모습, 일상, 놀이가 마냥 신기하고 재미있었으며 부러운 시선을 보내곤 했다. 그리고 몇 년 전 다시 마크 트웨인을 만났는데 그의 동화나 문학작품이 아닌 유쾌한 일상의 모습들을 담은 책이었다. 유머나 넘치는 다정한 사람일거라는 예상을 깨고 버럭 화를 내거나 투덜대고 갖가지 소동을 일으키는 그의 모습에 쿡쿡 웃음을 터트렸던 기억이 난다.
얼마전 시공사에서 내놓은 시리즈 ‘세계문학의 숲’으로 출간된 <아서왕 궁전의 코네티컷 양키>는 내가 중년이 되어 처음 만나는 마크 트웨인의 문학작품이다. 탁월한 상상력과 유머, 날카로운 비판과 더불어 해학적이고 독설적이라는 작품설명에 궁금증이 일었다. 대체 어떤 이야길까. ‘아서왕 궁전’과 미국인을 얕잡아 이르는 말인 ‘양키’는 무슨 관계가 있는 걸까.
‘내가 지금부터 이야기하려는 기이한 낯선 사람을 우연히 만난 곳은 워릭 성이었다’로 시작한 책은 내게 낯선 느낌으로 다가왔다. 그도 그럴 것이 19세기 미국에서 살던 사람이 우연한 사고를 계기로 타임슬립을 하는데 그가 도착한 곳이 미국의 지난 과거나 다가올 미래가 아니라 6세기, 그것도 ‘영국’이라는 점이었다. 이야기의 배경이 난데없이 미국에서 영국으로 바뀌다니. 분명 무슨 이유가 있으리라 생각했다. 저자가 다름아닌 풍자와 해학의 대명사, 마크 트웨인이니까.
소설의 주인공은 행크 모건이란 이름의 전형적인 미국인이다. 온갖 무기와 기계를 만드는 기술자이자 공장의 수석 작업반장으로 일하던 그는 어느날 한 남자와 사소한 일로 다투다가 머리를 다치면서 정신을 잃고 만다. 그리고 잠시 후 정신을 차려보니 주변이 달라진 게 아닌가. 기계의 소음이 가득한 공장 안이 아니라 초록이 드넓게 펼쳐진 시골이라니. 게다가 바로 곁에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온통 무쇠로 된 갑옷과 투구를 쓰고 거기에 방패와 칼, 창을 든 남자가 있다니. 무언가 이상하다고 생각한 그는 남자에게 묻는다. 저 멀리 보이는 성을 가리키며 ‘브리지포트냐’고. 그런데 남자는 전혀 상상하지 못했던 말을 뱉는다. “카멜롯이요.” 정신병자 보호소나 정신병 환자들을 치료하는 곳으로 짐작했던 곳이 바로 아서왕이 지배하던 6세기 영국이라니. 거기다 자신이 포로 신세라니. 세상에, 얼마나 놀랐을까. 이후 행크는 엄청난 위험을 맞딱뜨리게 되는데....
타임슬립을 이야기하는 작품을 만날 때마다 궁금한 것이 있다. 그들이 당시의 사회, 역사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생각할 것도 없는 뻔한 의문이지만 그것을 작가는 얼마나 흥미있게 재미있게 만들었을까. 두근두근 기대가 된다. 이 책도 마찬가지였다. 저자가 다름아닌 마크 트웨인이니까. 도대체 주인공을 저토록 가혹한 환경에 떨어뜨린 이유는 뭘까. 행크는 자신에게 닥친 위기를 어떻게 헤쳐나오게 될까. 그는 과연 19세기 미국으로 다시 돌아올 수 있을까? 그의 모험에 주목해보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