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령의 교과서 넘나들기 1 : 디지털편 - 디지털시대와 우리의 미래 이어령의 교과서 넘나들기 1
이동은 지음, 나연경 그림, 이어령 콘텐츠크리에이터, 손영운 기획 / 살림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만난 지인과 점심을 먹었습니다. 방학이라 아이들과 함께 만난 자리였는데요. 주문을 하고 음식을 기다리는 잠깐 사이에 아이들은 한군데로 모여들었습니다. 나이도 다르고 서로 잘 알지도 못하는 아이들인데 그새 친구가 됐나? 신기하더군요. 역시 아이들은 다르다고 생각하려는 찰라 제 눈에 띄는 게 있었습니다. 무리지어 몰려든 아이들의 중심에는 최신형 휴대폰과 게임기로 무장한 아이가 있었습니다. 한 아이의 손에 들려진 문제의 그것에 매료된 아이들을 보며 떠오른 생각. 그래. 너희들이 바로 디지털 네이티브였지!




‘십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 옛말이 무색할 정도로 현대는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작년과 올해가 다르고, 어제와 오늘이 다릅니다. 쌍둥이 간에도 세대차이가 있다고 할 정도니까 말입니다. 그런데 이 모든 변화를 이끌어온 중심, 핵심은 무엇일까요? 첨단과학의 발달? 이것도 맞겠지만...그보다는 ‘디지털’이 아닐까 싶습니다. 과학의 발달만으로는 현대, 우리 이 시대의 현상, 삶의 모습들을 모두 설명할 순 없을 것 같거든요. 그렇다면 디지털이란 무엇일까요? 디지털로 인해 우리의 삶은 얼마나 달라졌으며 앞으로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고 싶더군요.




<이어령의 교과서 넘나들기, 디지털편>에서 그 해답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몇 년 전 [디지로그]란 책을 통해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합쳐서 ‘디지로그’란 단어를 만들어낸 이어령이기에 이 책을 통해 기존의 시각을 더욱 새롭게 할 수 있으리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책은 모두 10개의 장으로 나뉘어져 있는데요. 1장 ‘디지털 시대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에서 저자는 ‘디지로그’라는 말의 생성과정을 비롯해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어떤 점에서 다른지, 한걸음 더 나아가 그 두 가지가 융합됨으로 인해 우리의 의식구조와 생활양식, 지식을 전달하고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 방식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변화가 일어났다고 합니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는지 하나하나 짚어줍니다.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이젠 어느 누구라도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검색, 수집, 재정립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는 겁니다. 또 디지털 기술의 등장으로 인해 앞으로 우리의 교육환경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엿볼 수 있었습니다. 그 일례로 2007년 영국의 한 연구소에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를 소개해놓았는데요. 짧은 내용이지만 인상적이었습니다. 획일화된 제도와 교육시스템을 벗어나 자율적이고 자발적인 교육, 누구나 선생님이 될 수 있고 배우는 즐거움을 평생 지속할 수 있는 미래의 학교, 어떤 모습일지 정말 기대가 됩니다.




현대는 인터넷의 대중화로 인해 정보가 그야말로 범람하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그 많은 정보 속에서 정확한 정보를 찾아 새롭게 융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하나의 사물을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생각해볼 수 있는 힘과 상상력을 기르는데 이 교과서 넘나들기 시리즈가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