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묘 18현 - 조선 선비의 거울
신봉승 지음 / 청아출판사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 종로구 명륜동에는 조선시대 당시 최고의 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이 자리하고 있는데, 바로 그곳에 ‘문묘’가 있다. 조선시대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의 제사와 유학교육을 담당하던 곳이었던 문묘는 교육을 위한 공간인 명륜당과 제사를 위한 공간인 대성전으로 나뉘는데 특히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한 그의 제자와 우리나라 명현 18인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문묘 18현>은 바로 그 성균관의 문묘, 대성전에 배향된 18명의 명현에 관해 이야기한다. 신라의 명현인 최치원과 설총, 고려의 석학 안향과 정몽주, 그리고 조선시대의 명현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 김인후, 성혼, 이이, 조헌, 송시열, 송준길, 김장생, 김집, 박세채. 해동 18현으로 추앙되는 18명의 명현들. 학창시절 수업을 통해 이름만으로도 그의 업적과 일생이 어떠하였는지 선명하게 떠오르는 이가 있는가하면 낯선 이도 있다. 그런데 나의 눈길을 끄는 것은 ‘사약으로 죽어 천 년을 산다’는 표지의 문구였다. 그동안 난 ‘사약’이 역모 같은 대역죄인에게 내려지는 처벌의 하나로 알고 있었는데 사약으로 죽어 오히려 천 년을 산다니. 그들이 어떤 인물이었는지, 그의 삶이 갑자기 더 궁금해졌다.




기존의 유학과는 달리 우주와 인간의 근본적인 문제를 탐구하는데 주력한 성리학은 고려말에 전래되었는데 조선 왕조 건국 후 시대의 이념으로 성리학이 자리잡게 된다. 이렇게 조선의 성리학은 인간의 심성을 연구하여 혼란한 시대에 나라의 기강을 바로 세우고 가정을 평안히 하는데 주력했는데 당시 외래사상인 성리학을 조선에 맞는 성리학으로 확립할 수 있었던 것은 책에서 소개되고 있는 명현들에 의해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생동안 경건하고 겸허한 자세로 올곧은 행동을 하며 옳지 않은 일에는 자신의 목숨을 내어놓더라도 왕에게 직언 올리기를 서슴지 않았던 이들. 조선을 사대부의 나라라 일컫는 이유는 거기에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문묘 18현, 조선 선비의 거울>은 18명의 명현들을 4장에 나누어 소개하고 있는데 자신이 배운 바를 몸소 실천에 옮기기를 한 치도 어긋남 없이 행했던 인물 김굉필을 시작으로 문묘에 오른 18명의 인물들의 출생과 배경을 비롯해 성장과정, 학문과 정계에 들고 난 후의 일들을 알려주는데 본문 곳곳에 그들이 임금에게 올린 상소문이 수록되어 있다. 길이가 긴 시를 보듯 아름답고 부드럽게 혹은 자식을 꾸짖듯 매섭고 간곡하게 써 내려간 상소문을 보면서 당시 그들의 심정을 헤아려보게 됐다. 이 글이, 직언으로 인해 어쩌면 자신의 목숨이 내놓아야 하는 사태가 올 수도 있다는 걸 모르지 않았을텐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올곧은 선비로서의 자세를 굽히지 않았다. 특히 이언적의 상세하고 긴 상소문은 현대의 우리에게도 전하는 바가 크다. 저자의 말대로 대통령에게 ‘밑줄을 그어가면서 읽어야 하고, 이해한 대목은 실천에 옮겨야만 나라의 형편이 편다’고 말해주고 싶을 정도였다. 




역사서적을 꾸준히 읽었다곤 하지만 아직도 우리의 역사에 대해 모르는 것이 많다. 다행히 책의 내용은 그다지 어렵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18명 명현들의 삶과 사상을 모두 이해하지는 못했다. 소개해야할 인물에 비해 책의 분량이 적은 게 아닐까 싶었다. 책을 읽고 나서 궁금해졌다. 이 18명의 명현들의 얘기에 당시 임금들이 모두 귀를 기울였다면 어떻게 됐을까. 지금의 우리는 얼마나 달라졌을까. 지금의 우리에겐 이렇게 국가의 최고 권력자에게 강건하고 강직한 직언을 올릴 수 있는 인물, 올곧은 삶을 최고의 명예로 여기는 이가 얼마나 있을까...조선의 역사를 통해 오늘의 우리 시대를 돌아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