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비 독살사건 - 여왕을 꿈꾸었던 비범한 여성들의 비극적인 이야기
윤정란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학창시절 <왕비열전>이란 책을 읽은 적이 있다. 조선왕조실록을 기초로 한 책인데 텔레비전에서 한명회가 등장하는 대하드라마를 본 걸 계기로 보고 읽었지만 빌렸던 책이라 아쉽게도 전권을 모두 읽지 못했다. 워낙 오래전이라 자세한 내용은 기억나지 않지만 왕을 중심으로 한 정실왕비와 후궁들이 정치에서 주도권을 잡으려는 이들의 권력투쟁에 휘말려 치열하고 파란만장한 삶을 살아가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조선왕비 독살사건(윤정란 저/다산초당)>을 처음 보고 가장 먼저 떠올린 건 바로 오래전에 읽었던 <왕비열전>과 <조선왕 독살사건(이덕일 저/다산초당)>이었다. 역대 조선의 왕 중에서 독살설에 휩싸인 인물들의 미스터리를 풀어놓은 책 <조선왕 독살사건>은 책을 구입하고도 개정판이 출간될 때까지 읽지 못해서 아쉬웠는데 이번에 왕이 아닌 왕비들을 먼저 알현하게 됐다.




저자는 본격적인 이야기를 풀어내기에 앞서 조선사회가 어떤 모습이었는지 알려준다. 안팎의 경계를 정해두고 넘나들지 못하도록 철저하게 막았으며 사찰에 가거나 무속을 신봉하는 것도 모두 금지된 채 오로지 아버지와 남편, 아들의 뜻을 따르고 복종하는 ‘삼종지도’를 강조했는데 이는 왕비도 마찬가지였다. 왕의 아내이자 세자의 어머니이기 이전에 권력의 정점에 서기 위한 투쟁에서 얼마나 이용가치가 있느냐를 중요시했다. 그 결과 때로 폐위가 되거나 사사되었던 왕비들. 정치적으로 독살당한 왕비들. 과연 누구일까.




책은 모두 일곱 명의 왕비에 대해 풀어내고 있다. 성종의 어머니이자 연산군의 할머니인 소혜왕후 한씨, 성종의 두 번째 왕비이자 연산군을 낳은 폐제헌왕후 윤씨, 선조의 왕비가 되어 적자인 영창대군을 낳았지만 광해군에 의해 아들과 자신의 삶을 송두리째 빼앗겨버린 인목왕후 김씨, 세자도 적자도 아니어서 명에게 인정받지 못했기에 유교를 무시하고 무속을 믿을 수밖에 없었던 광해군부인 유씨, 인조의 며느리였지만 왕권을 넘본다는 누명을 쓰고 사사됐던 소현세자빈 강씨, 천인으로 왕비의 자리에까지 올랐지만 그것이 올가미가 되어 목숨을 잃어야했던 희빈 장씨, 구한말 고종의 왕비로서 국제적인 외교 관계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했지만 일본 낭인들에 의해 암살당한 명성왕후 민씨. 이들은 모두 조선의 여자로서 최고의 자리인 왕비가 되었지만 그녀들의 삶은 화려함과는 거리가 멀었다. 나라를 다스리는 왕의 아내이자 국모로서의 능력이나 자질보다 어떤 정치적인 배경을 갖고 있느냐에 따라 왕비로 간택되기도 하고 폐서인이나 사사가 됐다. 언제 어디서 누구의 칼날이 자신을 위협할지 모르는 상황 속에서 얇은 살얼음판 위를 걷듯 아슬아슬한 나날들을 보내야했다.




권력 투쟁의 소용돌이 속에 휘말려 목숨을 잃은 일곱 명의 왕비 중에서 소현세자빈 강씨는 특히 안타까웠다. 전쟁에 패해 소현세자와 함께 볼모로 끌려간 청나라에서 새로운 세상에 눈을 뜨고 우물 안 개구리였던 조선을 개화시키려는 꿈을 키웠지만 남편을 잃은 것도 모자라 자신은 역적이란 누명을 쓰고 집안의 가족들마저 사사되거나 유배되고 말았다니! 광해군을 몰아내고 왕이 된 인조의 열등감과 후궁 조씨, 김자겸 세력의 욕망은 한 가문의 멸문이란 참혹한 결과를 가져오고야 말았다.




사대부의 나라였던 조선. 왕과 사대부들의 권력을 위해 남성들에 의해 쓰였던 역사기록을 바탕으로 저술한 책이어서 저자가 언급하는 일곱 명의 왕비에 대해 많은 걸 알 수는 없었다. 하지만 이것이 끝은 아니리라. 시간이 흐르고 역사가 이어지면서 그녀들의 삶이 새롭게 부각되고 인정받는 때가 꼭 올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