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추는 나의 베아트리체
안토리오 솔레르 지음, 김현철 옮김 / 노블마인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키스하는 연인의 에로틱(?)한 모습을 띠지로 두른 <춤추는 나의 베아트리체>를 처음 봤을 때 당연히 연인들의 사랑, ‘베아트리체’란 여인을 사랑하는 남자의 삶을 다룬 책이려니 했다. 하지만 예상은 빗나갔다. 어이없게도 ‘베아트리체’란 이름에서부터 어긋났다. ‘베아트리체’란 단테의 생애를 통해  사랑과 시혼(詩魂)의 원천이 되었던 여성으로 그 존재 여부에 대해 이상설(理想說), 상징설 같은 여러 가지 의견이 있다는데 단테의 <신곡>을 읽어보지 않았으니 알 수가 있나...그것도 모르고 난 ‘주인공의 등장이 왜 이렇게 늦는거야’라고 투덜댔으니...쥐구멍이라도 있다면 숨고 싶다. 이래서 고전은 꼭 읽어야 하나보다.




‘우리의 삶 한가운데 그 해 여름이 있었다’고 시작한 소설은 1970년대 바다가 보이는 스페인의 소도시를 배경으로 화자인 ‘나’가 당시 십대 후반이었던 주변 친구들의 일상과 우정, 사랑, 더 나아가 그들의 청춘을 돌아보고 추억하는 내용이다. 표지엔 단 네 명의 소년(?)이 그려져 있지만 책 속엔 훨씬 많은 사람이 등장한다. 




가장 중요한 인물이자 이야기의 중심축인 미겔리토는 신장 수술 때문에 병원에 입원했다가 옆 침대에 있던 환자가 죽고 난 후 그의 가족에게서 단테의 <신곡>을 건네받는다. 죽어간 남자에게 있어 그 책은 버팀목이었고 구원이었다. 미겔리토 역시 죽을 힘을 다해 그 책의 몇 구절을 외우고선 시인이 되겠다고 결심한다. 그리고 운명처럼 자신의 연인, 베아트리체 룰리를 만나 사랑에 빠지게 된다. 하지만 룰리가 유혹에 흔들리면서 그들의 사랑은 오래 지속되지 못한다. 마치 아름다운 불꽃이 화르륵 타오르는 순간 끝이 예고되어 있는 것처럼.




바람벽 파코는 머리숱이 적은데다 내세울만한 외모도 아니다. 다만 집이 부유하여 그의 아버지는 자동차에 늘 젊은 여자들을 잔뜩 태우고 다니면서 사랑을 나누는데 파코 일행은 그 자동차 안을 여기저기 뒤져서 나오는 여자들의 음모를 수집한다. 멧돼지란 별명으로 불리는 아마데오 눈니에겐 빼어난 미모의 고모가 있다. 섹시한 미국 여배우 ‘라나 터너’가 되길 꿈꾸는 그녀는 동네 사내 아이들에게 만인의 연인으로 군림한다. 그리고 부모에게 물려받은 온몸에 뒤덮힌 털이 고민거리인 아벨리노 모리타야와 카르타고 투구 아가씨, 라피, 뚱땡이, 살덩이...그들이 서로 만나 어울리면서 성에 눈떠가고 고민하고 상처받으며 조금씩 성장해간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이 화자인 ‘나’의 시점을 따라 진행된다는 점이 다른 소설에 비해 특이했다. 1인칭 시점의 소설임에도 ‘나’의 존재가 거의 드러나지 않는 독특한 전개방식. 그래서 초반엔 스토리의 흐름을 잡아내기가 힘들었지만 조금 지나자 그들이 몇 명씩 무리지어 다니며 여러 일을 벌이는 행동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앞뒤의 내용을 서로 이어붙이고 연결지어서 보는 재미가 쏠쏠했다.




우리의 삶 한가운데 그 해 여름이 있었다...11쪽.




여름과 성장...이 둘은 정말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 든다. 청소년의 우정과 상처, 성장을 다룬 책을 보면 ‘여름’이 단골메뉴로 등장하다시피 한다. 계절적 배경이 여름이거나 제목에 ‘여름’이 들어가는 경우...상황은 조금 다르지만 말이다. 언뜻 생각나는 소설 중에 <열 네 살의 여름> <여름이 준 선물> <우리들의 여름>이 있다. 그 소설 속에서 아이들은 사춘기를 지나는 대부분의 아이들이 그렇듯 자신의 외모에 불평을 늘어놓기도 하고 ‘삶’이나 ‘인생이 무엇인지' 고민하기도 하고 한적한 시골에서 수시로 변하는 생생한 자연의 모습에 감탄하기도 한다.




하지만 나의 여름은 어땠을까 생각해보니 특별한 게 없다. 언니들처럼 거리에서 만나는 잘생긴 남학생 때문에 가슴을 두근대지도 않았고 학교의 총각선생님이 무작정 좋아서 꽃이나 선물을 한 적도 없고 좋아하는 연예인 따라 콘서트에 가거나 연예인 사진 같은 걸 사서 모으는 취미도 없었다. 친구와 늘 붙어 다녔거나 지금까지 연락이 자주 오가는 친구도 딱히 없다. 그나마 있던 친구들도 결혼하면서 먼 지방이나 외국으로 가버린 탓도 있지만...한마디로 밍숭밍숭 재미없는 아이였다.




스페인의 영국인 거리를 배경으로 사내 아이들의 우정과 사랑을 그린 소설 <춤추는 나의 베아트리체>. 거리상으로는 거의 지구 반바퀴를 돌아야할 정도로 거리가 먼 곳에서 벌어진 일인데도 왠지 그다지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았다. 여름이 가면 가을이 오고 겨울, 봄이 차례로 오듯이 아이도 어른이 되기 마련이라는 아주 당연한 삶의 법칙, 순리를 이 책을 읽으며 다시 생각할 수 있었다.




우리는 평생 수많은 사진을 찍어왔다. 그 사진들 중 어떤 것이 우리의 본모습을 보여주는 것인지 나는 모른다. 세월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은 마지막 사진 한 장이 우리가 진정 누구였는지 밝혀줄 것이다. 그래서 나는 안다. 미겔 다빌라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그 해 여름이 우리 삶의 본질을 보여주는 사진이라는 것을. - 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