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돈으로 읽는 세계사 - 역사를 뒤흔든 25가지 경제사건들
강영운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25년 8월
평점 :
경제는 어렵다. 각종 용어에서부터 제도, 수치, 그래프 등 난해한 것들을 모두 모아놓은 분야가 경제인 것 같다. 가끔 무지를 벗어나려는 의도로 경제분야 책을 읽기도 하지만 그 효과는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 아~ 그렇군 고개를 끄덕이다가도 돌아서면 잊어버리기 일쑤였다. 이쯤되면 아예 포기해버릴까 싶다가도 어쩐지 오기가 생겼다. 설마 죽을 때까지 이러겠냐는 심정으로 또다시 기웃거리곤 한다.
얼마전 출간된 <돈으로 읽는 경제사>를 만났을 때도 그랬다. 인간의 욕망과 돈으로 세계사를 풀어냈다는 소개글에 호기심이 생겼다. 경제라는 말만 들어도 머리가 복잡해지고 어지럼증을 느끼는 이 증상이 이번에야말로 개선될 수 있을거란 묘한 기대감....
책은 ‘생존, 역설, 거물, 거품, 음식’ 다섯 개의 키워드를 통해 경제사를 이야기한다. 각 챕터마다 역사의 특정 사건이나 인물, 당시 제도를 소개하고 있는데 흥미로운 대목이 많았다. 하느님의 도시 예루살렘을 되찾겠다는 일념으로 순례를 떠난 기사단에 의해 최초의 입출금 시스템이 시작됐다는 것, 동로마가 약해지자 유럽의 베네치아가 무역도시로 부각되었고 최초로 공체를 발행하기도 했으며 [오늘날 은행을 뜻하는 영어 ‘뱅크bank’는 고대 이탈리아어에서 나무 탁자를 뜻하는 ‘방코banco’에서 (26쪽)] 비롯되었다는 것도 처음 알게 되었다. 15세기 스페인은 세계 최대 규모의 은 광산을 발견하면서 금은보화가 넘쳐났다. 은화가 ‘폭포수처럼 들어’왔지만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지 않았다. 끊임없는 전쟁 준비와 과시용 소비로 피폐해지고만다. 스페인에게 은화는 행운이자 불행의 시작인 셈이었다. [3부. 거물의 경제사]에서는 경제학에 거물로 통하는 인물들에 대해 소개하는데 21세기 세계 경제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인물, ‘거시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케인즈’와 ‘자유시장의 중요성을 외친 하이에크’를 다룬 대목도 인상적이었다.
어렵고 난해하게 여겨지는 경제 개념과 역사적 사건과 연결해서 쉬운 문장으로 설명해놓은 점, 각각의 주제마다 뒷부분에 마무리하는 의미에서 ‘네줄요약’으로 정리해놓은 점이 돋보였다. 다만 25개의 주제를 300여쪽의 분량에 풀어내다 보니 개념 설명이 충분하지 않거나 배경설명이 다소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이 책을 마중물 삼아 좀더 알고 싶은 부분은 저자가 소개해놓은 책을 참고로 찾아보면 되지 않을까 싶다.
경제란 무엇일까? 국부는 어떻게 채워질까? 자식에게 밥을 먹이겠다는 가난한 부모의 숭고함. 결혼해서 안정적인 가정을 꾸리겠다는 인생의 포부. 나라에 기대지 않고 살겠다는 시민의 자존감. 이 모든 것이 경제 혁신의 밀알이 되어 국부를 이룬다. - 121쪽.
경제사는 우리에게 한가지 해답을 보여준다. 발명보다 중요한 건 언제나 시장화라는 진실을. (중략) 기술이 부족해서가 아니었다. 더 큰 시장에 닿지 못해서였다. 더 많은 소비자의 마음을 훔치지 못해서였다. - 142쪽
오늘날에도 소득세는 국가를 움직이는 거대한 엔진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소득세가 총세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0퍼센트에 달한다. 윌리엄 피트의 유산이 결코 영국만의 것은 아니었던 셈이다. - 192쪽
오늘날 세계 금융시장에서 중요 개념으로 통하는 옵션이 이처럼 튤립에서 탄생했다. 2000년 닷컴 버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세상 모든 경제 위기마다 400년 전의 튤립 파동이 다시 소환된다. - 24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