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잃어버린 사람들 - 뇌과학이 밝힌 인간 자아의 8가지 그림자
아닐 아난타스와미 지음, 변지영 옮김 / 더퀘스트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내가 아니게 되는 날이 올까 두려워.


내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바로 나 자신을 잃어버리는 것이다. 나의 이름을 잃어버리고 , 내가 좋아했던 것도, 내가 즐겼던 것도, 감동에 눈물을 흘렸던 책에 대한 감흥도, 무엇보다 사랑하는 가족의 얼굴과 이름과 추억마저 잃어버린다면? 나의 소소한 기억마저 잃어버려서 나의 가족들을 아프게 하고 슬프게 한다면? 모든 걸 잃어버린 나는 과연 일까, ‘가 아닌 걸까.


 

뭘 얼마나 잃어버렸더라도 는 그냥 변함없이 일 뿐이야. 간단하게 생각하고 그치기도 하지만 그럴 때마다 불쑥불쑥 솟아나는 의문이 있다. 그럼 도대체 는 무엇으로 라는 걸 증명할 수 있는 거지? ‘나를 잃어가는 병이란 치매.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이라고 하지만 노년층에만 발병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치매는 사람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이 되었다.

 


정면을 향한 얼굴의 절반이 마치 석고상처럼 표정 없이 창백하게 굳어 있는 모습에 자꾸만 신경이 쓰였다. [오페라의 유령]에 등장하는 사람처럼 가면의 절반만 얼굴에 쓴 것일까. 아니면 한 사람의 얼굴이, 삶이 이렇게 차갑게, 딱딱하게 굳어가는 것일까. 최근에 출간된 <나를 잃어버린 사람들> 표지를 보면서 의문이 들었다. 사람의 모습을 모자이크처럼 표현한 이유는 아마도 부제인 뇌과학이 밝힌 인간 자아의 8가지 그림자를 나타내기 위함은 아닐까 하고 생각해보니 <나를 잃어버린 사람들>이 담고 있을 이야기가 궁금해졌다.

 


책은 란 누구인가. ‘는 어떻게 인식되는가를 뇌과학적으로 풀어내기 위해 여덟 개의 장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1. 나는 죽었다고 말하는 남자]에서는 나의 존재를 인식하는 주체, 자아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자신의 뇌가 죽었다고 주장하는 환자의 경우를 통해 코타르증후군을 설명한다. 누군가에게 내 뇌가 죽었소라고 말할 수 있다면, 그 자체만으로도 뇌사상태라고 할 수 없을 것 같지만 뇌의 특정 영역이 손상을 입거나 대사활동이 없다면 그렇게 느낄 수도 있다고 한다.

 


라는 것은 무엇인가, 또는 누구인가? 바로 이 질문이 이 책 전체에 스며들어 있다. ‘가 누구든, 무엇이든 그것의 경험의 주체로서의 그 자신을 나타낸다. - 40.

 


[2. 나의 이야기를 모두 잃어버렸을 때]는 바로 알츠하이머로 인해 잃어버리는 기억을 다루고 있는데 평소 고민하던 부분이어서 특히 집중해서 읽었다. ‘라는 느낌을 갖거나 내가 어떤 사람인지생각할 때 앨범 속 사진을 찾듯 지난 기억을 뒤적이게 되는데 그런 것을 서사적 자아라고 한다. 그런데 그 과정에 경험의 주체가 되는 능력이 가장 중요한데 알츠하이머 말기에는 그런 것이 완전히 망가진다는 것이다.

 


알츠하이머병은 당신에게서 내가 누구인가하는 것을 빼앗아가죠. 인간에게 그보다 더 큰 공포가 있을까요? 이 병이 일단 삶에 들어오면 하루하루 살아오면서 축적한 모든 기억과 가치관, 이 세상과 가족, 사회와의 연결고리가 사라져요. ‘인간으로서 내가 누구인가를 사실상 규정하는 경계를 뜯어내버리죠. - 61



자폐증이 자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6. 자아의 걸음마가 멈췄을 때]도 인상적이었다. 책과 영화 같은 대중매체를 통해 자폐증을 접하면서도 어떤 것인지 알지 못했다. 그저 타인과 관계를 맺을 때 어려움을 느낀다는 정도로만 알았는데 그렇게 간단하지 않았다. 우선 나와 타인을 알아차리는 것에서 자아가 출발하는데 20개월 전후의 어린 아기들이 자신의 물건에 대해 내 거야!”라고 표현하는 것에서 잘 드러난다. 그 과정에서 암묵적 자아(I)와 명시적 자아(Me)가 형성되는데 어른의 표정이나 행동을 모방하면서 자아가 발달하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학습하게 되는데 자폐증이 있는 아이는 선천적으로 이 능력에 손상을 입었다는 것이다.

 


타인의 마음을 읽는 능력과 과거에 내 마음에 무엇이 있었는지를 알아차리는 능력 모두 세 살에서 다섯 살 사이에 발달한다는 사실은 흥미롭다. - 253쪽

 


동물의 신경계를 통합하는 중추가 되는 기관, . 성인 뇌의 경우 무게는 대략 1,300~1,400g, 체중의 약 2%에 불과하지만 그 속에는 약 1000억 개의 신경세포가 존재한다고 한다. 인간의 삶, 일상의 모든 순간은 뇌가 외부 자극을 어떻게 수용하고 반응하는지, 그때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에 달렸다고 해도 무방하지 않을까. 그만큼 뇌는 인간에게 중요한 기관이지만 21세기 첨단과학으로도 완전히 밝혀진 것은 아니라고 한다. 그 일부나마 <나를 잃어버린 사람들>을 통해 접할 수 있었다. 뇌과학에 대해 무지한 탓에, 쉽게 풀어놓았다고 생각을 하지만 그럼에도 본문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도 많았다. 뇌 부위를 알 수 있는 그림을 삽입했더라면 어땠을까 아쉬움이 남으면서도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우리는 울기 때문에 슬픔을 느끼고, 싸우기 때문에 화가 나며, 떨기 때문에 두려워하는 것이지, 그와 반대로 슬프거나 화가 나거나 두려워서 울거나 싸우거나 떠는 것이 아니다. - 2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