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풀한 실전 과학 토론 - 39가지 논제로 ‘과학 토론, 수행 평가’ 완전 정복! 특서 청소년 인문교양 13
남숙경.이승경 지음 / 특별한서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이 초등학생일 때 어린이날이 있는 5월 다음으로 4월을 좋아했다. 뭐든 조립하고 만들면서 놀기를 즐기던 녀석들은 학교에서 4월 과학의 달을 맞아 진행하는 행사를 손꼽아 기다렸다. 물대포 쏘기 대회, 글라이더 날리기 대회, 로봇경주대회, 로봇 배틀 같은 행사는 내겐 묻지도 않고 무조건 참가해야 한다던 아이. 현장에서 직접 조립하고 진행되는 행사의 특성상 그날의 컨디션이나 날씨에 따라 대회 성과가 좌우되니 부모는 애가 탈 수밖에 없는데 정작 아이들은 아예 신경도 쓰지 않았다. 중학생이 된 아이에게 친구들과 과학토론대회를 준비해보면 어떠냐고 했을 땐 아이는 단칼에 거절했다. 말을 잘 못 하는데 어떻게 토론대회에 나가냐는 거였다. 토론대회를 위해 미리 책을 읽고 준비해두면 어떠냐고 제안 했지만 결과는 똑같았다. “!” 한마디로 끝이었다.


 

토론은 찬성과 반대의 입장으로 나뉘는 주제에 대하여 각각 서로의 입장을 관철시키기 위하여 근거를 들어 자기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펼치는 말하기이다. 아이는 토론의 특성 중 말하기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사실 토론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해줄 확실한 근거를 준비하는 게 아닐까. 일상에서 토론할 기회를 자주 접하지 못한 아이에게 토론은 무조건 어렵고 복잡한 것이겠지만 그래도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어떤 것이든 새롭게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쳐버리는 건 아닌가 해서.

 


<파워풀한 실전 과학 토론>은 제목 그대로 토론, 그것도 주제가 과학인 토론에 대해 이야기한다. 책의 구성은 크게 과학 토론 개요서를 쓰는 방법을 알려주는 PART 1, 최근 4년 간 전국 학교에서 펼쳐진 토론 대회에서 출제된 논제를 묶어놓은 PART 2, 과학토론준비 과정을 점검해볼 수 있는수 있는 PART 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PART 2에는 [생명공학, 인공지능, 온난화/에너지, 생태/환경, 지구 과학/과학 기술]처럼 영역을 나눈 다음 구체적인 논제를 소개해놓았는데 눈에 띄는 대목은 개요서 작성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짚어놓은 거였다. ‘생각 열기 생각 확장하기 생각 채우기 생각 키우기 생각 정리하기 생각 적용하기 생각 구체화하기를 거친 다음 개요서 쓰기를 하라는 것이다.


 

사실 논리적인 언변을 겸비한 아주 일부의 사람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은 토론에 대해 높고 견고한 진입장벽을 느끼는데 그 이유가 어쩌면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풀어낼 자신이 없기 때문은 아닐까. 나 역시 마찬가지기에 충분히 이해가 되는 부분이지만 그럼에도 그것이 이유의 전부는 아니란 생각이 든다. 아마도 가장 큰 원인은 해당 주제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은 아닐까. 때문에 주제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있는 사항과 정보들을 꼼꼼하게 취합하다보면 자연스럽게 그에 대한 자신의 관점이 드러날 것이고. 자신의 생각을 다듬어가면서 개론서를 작성하다보면 토론에 대한 두려움을 조금이라도 털쳐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저자는 본문에 최근 4년간 전국의 여러 학교와 제단에서 진행한 과학토론에서 제시된 논제를 수록해놓았다. 그중에서 온난화와 에너지에 대한 논제는 꼭 짚어봐야할 부분이다. 기억하고 있는 이들도 있을거라 짐작되는데, 얼마전 대선후보의 첫 TV토론에서 이와 관련한 질문이 나왔다. "RE 100을 어떻게 대응"하겠느냐는 질문에 상대후보는 '그것이 무엇이냐, 모르겠다. 가르쳐달라'고 도리어 질문자에게 되물어보는 촌극이 빚어졌다. RE 100, '리뉴어블에너지 100%'를 뜻한다. 석탄이나 천연가스 같은 화석연료 대신 태양광과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로 전기를 만들어서 이산화탄소 같은 온실가스 발생을 줄임으로써 기후위기에 대응하자는 것이다. 이에 세계적인 다국적기업은 참여를 선언했고 그 중엔 이미 RE 100을 달성한 나라도 나온 상황, 근데 우리나라는 어떤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현저히 부족한 수준인데 거기에 탄소국경조정으로 인해 해외에 물건을 수출을 하려면 패널티 같은 관세를 내야 한단다. 그에 대한 준비는 어느 정도까지 진행되고 있는지 심히 우려가 되는 상황이다. 이에 저자도 태양광이나 풍력을 이용한 에너지와 신재생에너지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만 내용이 너무 부족하다는 느낌이 든다. 거기다 탈원전에 대해서 원전이 갖고 있는 위험성 보다 탈원전으로 인한 문제점을 더 비중있게 다루고 있는 점도 마음에 걸린다. 만에 하나 원전사고가 터졌을 때의 위험과 원자력업계 종사자의 실직을 동일선상에 두고 비교할 수 있는 것인지 강한 의문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