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살아야 하는가 - 삶과 죽음이라는 문제 앞에 선 사상가 10인의 대답
미하엘 하우스켈러 지음, 김재경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사는가란 질문에 단박에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농담인지 진담인지 태어난 김에 그냥 산다” “죽지 못해 산다고 답하는 사람이 있긴 하지만 대부분 쉽게 말을 이어가지 못했다. 이에 비해 어떻게 살고 싶은가란 질문엔 저마다의 생각과 바램을 꺼내놓는다. 남한테 피해 주거나, 욕먹지 않고, 가족들 모두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고 싶다,는 공통적인 답변에 추가로 후회하지 않고, 미리 걱정하지 않는 삶을 살고 싶다고 털어놓는다. 비슷한 듯 맥이 닿아있는 두 질문에 대한 상반된 반응을 보면서 생각해보게 된다. 삶의 철학, 삶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에 대한 해답은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왜 살아야 하는가>삶과 죽음의 의미(The meaning of life and death)’라는 원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독일 철학자 미하엘 하우스켈러가 사상가와 작가 10명의 작품을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한 의미를 풀어보는 책이다.


 

삶과 죽음의 의미를 모색하기 위해 저자는 쇼펜하우어, 키르케고르, 허먼 멜빌, 도스토옙스키, 톨스토이, 니체, 윌리엄 제임스, 프루스트, 비트겐슈타인을 불러내었다. 이름만으로도 너무나 유명한 철학자와 작가들. 그들의 저작을 모두 읽지는 않았지만 사상에 대해서는 학창시절 배웠던 것이 어렴풋이 떠올랐다. 물론 그들의 철학이나 사상의 이해 정도와는 전혀 상관이 없지만. 세부적인 내용은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 구성은 흡사하다. 철학자와 작가의 주된 주장과 사상을 소개한 다음 그의 생애를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한 철학과 사상이 어떤 배경과 흐름을 갖게 되었는지 작품을 바탕으로 풀어내고 있다.


 

이 세계의 근본을 이루는 것은 부조리하고 맹목적인 의지라고 주장했던 쇼펜하우어는 삶을 고통과 고난 그 자체로 여겼다. 인간은 살면서 끊임없이 욕망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으로도 고통을 겪는다고 주장했다. 이런 내용을 칸트, 라이프니츠의 사상과 더불어 설명하고 있는데 쇼펜하우어의 저작을 읽지 않았기에 어려웠다. 그저 인간이 죽음을 두려워하는 것은 본성에 기인한다는 걸 기억하는 정도에 그쳤다.


 

도스토옙스키의 작품에는 자살과 죽음이 주된 소재로 등장ㅡ도스토옙스키의 걸작들에는 최소한 한 번 이상의 자살 혹은 자살 시도와 한 번 이상의 살인사건이 등장한다(143)ㅡ하는데 어떤 이유에서인지 의미를 찾아본다. 허무주의에 반박하기 위해 대안으로 작품 속에 불멸인 신의 존재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는 것이다. 도스토옙스키의 작품을 일부만 읽어서 내용 모두를 이해할 순 없었으나 일부 잘못된 부분이 눈에 띄었다. 158쪽 둘째 줄,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중 셋째인 이반은이라고 되어 있으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에서 셋째는 알로샤이고 이반은 둘째이다. 저자가 잘못 알고 있는 건 아닌가 싶다.

 

필사와 독서모임을 통해 <인생독본> <이반 일리치의 죽음> <전쟁과 평화>을 읽고 있어서 톨스토이의 부분이 기대가 됐다.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풍족한 삶을 살았던 톨스토이가 개혁자로서의 삶을 걸었던 게 인상적이었는데 저자는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에 죽음이라는 소재가 잘 드러나 있으며 그 작품을 통해 죽음에 대한 생각으로 절망하고 우울증에 빠지기도 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전쟁과 평화>의 베주호프(피예르)란 인물을 통해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으려고 몰두했다고 짚어주었다. 어쩐지 <전쟁과 평화>를 읽으면서 피예르가 톨스토이의 내면을 투영한 인물은 아닐까 생각했는데 역시! <이반 일리치의 죽음>을 읽고 나서 죽음을 앞둔 사람의 심리, 공포가 어떠할지 짐작해보곤 했는데 여기에 톨스토이의 죽음에 대한 공포, 두려움이 녹아들어 있었던 건 아니었을까.


 

책은 삶의 목적은 무엇일까?’란 질문으로 시작한다. 인간이라면 모두 죽을 수밖에 없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무언가를 이루려 하고 의미 있는 삶을 사는 것이 가능한지 의문을 갖는다. 삶과 죽음에 의미를 다루는 의문을 저자는 가장 답하기 어려운 궁극의 의문이라고. 그러면서 아들이 자신에게 건넸던 말을 전한다. [무엇이든 결국엔 죽으니까 삶의 목적은 죽음이라고. 하지만 죽음의 의미는 삶이라고. 죽음 없이는 삶도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이 말에 깜짝 놀랐다. 어린 아이에게서 이런 말이 나올 수 있다는 사실에. 철학자의 자식이어서 그 영향을 받은 것일까 생각했다. 하지만 이게 해답일까? 저자는 말한다. 이 책에서 궁극의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을 거라 기대하지 말라고. 그렇다면 어떻게 하란 말인가. 어쩌면 이 책은 저자가 깔아둔 ''일지도 모르겠다. 삶과 죽음의 의미, 삶과 죽음에 대한 해답의 언저리로 향하는 길을 저자가 안내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남겨진 것은 분명하다. 저자가 깔아둔 길을 걸으면서 보물찾기를 하듯 '왜 살아야 하는지' '삶의 의미와 목적은 무엇인지'에 대한 나만의 해답을 찾아야 하는 것. 쉽지 않겠지만 그래서 더 고심해볼 만한 가치가 있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