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과 서커스 - 2,000년을 견뎌낸 로마 유산의 증언
나카가와 요시타카 지음, 임해성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해 6월부터 올해 5월초까지 거의 1년에 걸쳐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쇠망사>를 읽었다. 64200여 쪽에 이르는 <로마제국쇠망사>를 읽으면서 흥미로운 전개에 시간가는 줄도 모르던 때가 있는가하면 때론 슬럼프에 빠져 도무지 진도가 나가지 않던 날도 있었다. 나 혼자 읽었다면 아마 도중에 밀쳐두고 더 흥미진진하고 구미가 당기는 책으로 손을 뻗었을 것이다. 하지만 함께 하는 이들이 있어 흐트러지는 마음을 간신히 붙잡을 수 있었다. 강력하고 화려함에 영원한 제국으로 불리었던 나라, 로마가 게르만족 같은 이민족의 침입과 내부로부터의 적으로 인해 결국 분열되고 쇠퇴하여 멸망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안타깝고 착잡했다. 지구의 반대편에 위치한, 오래전에 사라진 나라의 역사이지만 지금의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생각이 들었다.

 

<빵과 서커스>가 출간됐을 때 그다지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그러다 우연히 서점에서 ‘2,000년을 견뎌낸 로마 유산의 증언이라는 부제가 눈길을 끌었다. 무엇보다 저자가 역사전공이 아니라 기계공학과 토목공학을 전공한 후 토목기술사로 활동했다는 이력을 보니 토목 건축의 관점에서 다시 살피는 로마 이야기라는 표지의 문구가 더욱 호기심을 자극했고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로마제국의 또 다른 면을 만날 수 있겠다는 기대감이 들었다.

 

제목인 빵과 서커스가 무슨 의미일까 궁금했는데 의문은 ‘1. 로마제국이 남긴 유산들에서 풀렸다, ‘건강한 정신은 건강한 신체에 깃든다는 유명한 말을 남긴 유웨날리스라는 로마의 시인이 번영한 나라의 나태한 시민들을 보고 이렇게 탄식했다고 한다. ‘시민들은 로마가 재정이 되면서 투표권이 사라지자 국정에 대한 관심을 잃었다. 과거에는 정치와 군사의 모든 영역에서 권위의 원천이었던 시민들이 이제는 오매불망 오직 두 가지만을 기다린다. 빵과 서커스를.’(24.) 배불리 먹이고 오락거리를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이 정치에 관심을 갖지 않게 했다는 대목을 보면서 예전 우리의 ‘3S’가 떠올랐다. 물론 로마와 우리나라가 같지는 않겠지만 말이다.

 

로마시민들이 타락했다고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학자마다 로마의 멸망시기를 다르게 주장하고 있지만) 로마제국이 바로 멸망한 것은 아니다. 저자는 자신의 전공분야인 토목, 건축에 초점을 맞춰서 로마가 제국으로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를 유적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한다. 이를테면 고대에는 민족 간에 침입이나 전쟁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에 그것을 막기 위해 성벽을 높이 두르고 수로를 정비했는데 로마의 성곽이나 상하수도는 어떠했는지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본문에 해당 지도와 사진을 수록해놓아서 막연하게 글로만 접하는 것보다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7시민의 교양편도 흥미로웠다. 로마가 제국이 될 수 있었던 것은 드넓은 영토 확장과 함께 다른 나라나 민족의 문화를 받아들이는데에 거부감이 없었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그 모든 것을 기록으로 남겨뒀으며 국가차원에서 학술 발전을 위해 대도서관을 세우게 했다. 게다가 이름난 공공 욕장에 로마 시민들이 교양을 쌓을 수 있도록 공공 욕장 도서관까지 설치했다고 하니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로마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들이 있다. 화려한 문화예술품, 웅장한 건축물, 피가 튀는 잔인한 검투장 그리고 쾌락에 빠져 흥청이는 시민들. 그 어떤 것도 하나만으로는 로마를 완전히 어떻다고 말할 수 없다. ‘길은 지나간 뒤에 생긴다고 했다. ‘남겨진유적들을 통해 우리는 지금은 사라진로마를 유추해볼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다. 로마의 또 다른 모습을 만나보고 싶은 이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