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에 연구실에 혼자 있으려니 적적함이 밀려든다. 아무리 바빠도 외로울 틈은 있다는 말이 떠 오른다. 이런 글을 사람들이 어떻게 보는지도 모르고 다만 내 멋에 겨워 글을 쓸 뿐이다.

제작년 봄이던가 지금 사는 집으로 이사를 왔더니 마당에 오래 묵은 벗나무가 있어 감상할 만했다. 딱히 부를 친구도 없고 해서 허드르진 벗꽃을 감상하며 나도 모르게 이 시를 소리내어 읊고 있었는데.. 이웃집 아주머니가 자기 집에 꽃잎이 많이 떨어지니 불편하다며 쓸어야 될 것이라고 했다. 나는 이 층에서 지금 내가 시를 음미하고 있다고 하니 고개를 갸웃거리며 한 참을 보다가 간다. 나는 잠시 깊은 탄식을 했다. 왜 주변에 강호의 묵객들이 득실대지 않고 아득바득한 생활인들하고 늘 부대껴야 하는가 하는 사뭇 우울하고 반성적인 감회에 젖어서...

飮酒

陶淵明

結廬在人境이나
而無車馬喧이라

問君何能爲오
心遠地自偏이라

採菊東籬下라가
悠然見南山하니

山氣日夕佳요
飛鳥相與還이라

此中有眞意하니
欲辯已忘言이라




집을 사람 많이 다니는 곳에 마련했으나
수레나 말의 시끄러운 소리가 들리지 않네

어쩌면 그럴 수 있지요?
마음이 멀어지면 사는 곳은 절로 외지는 법이죠

동쪽 울타리에서 국화꽃을 따다가
느긋이 남산을 바라보니

산기운은 저녁이라 더욱 아름답고
새는 짝지어 돌아오네

여기에 사는 참 맛이 있으니
대답할 말을 잊겠네


이것은 5언 고시인데.. 나는 전에 첫 두구가 이해가 안되어 토를 結廬在人境하니로 붙여서 수십번을 읽다가 아무래도 이상해서 자꾸 찾아보다가 일본 사람이 쓴 한문대계를 보고 확실하게 그 뜻을 알았다. 총기 있는 사람이면 금방 알 수도 있고 누구에게 배우면 쉽게 알 수도 있었을 것이다. 이럴 때면 기억이 좀 오래가겠지 하는 위안을 하곤 한다. 그것의 핵심은 市隱이라는 뜻으로 大隱은 市隱이라고 한다. 도연명이 쓴 귀거래사는 아주 운률감이 느껴지는 명문인데 ...이 시와 많이 통한다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雪裏寒梅雨後蘭은
看來容易摸寫難이라
早知不入時人眼이런들
寧把?脂脂畵牧丹을

* 결구의 3번째 글자는 육달월 변에 제비연한 연지 연자입니다.
寧은 차라리라는 부사.

눈 속에 핀 매화
비 온 뒤의 난초

보기는 쉬워도
그리기는 어려워라

일찌감치 시속 사람들
눈에 안 들 줄 알았던들

차라리 연지로
모란이나 그릴 것을

(참고)점필제 김종직이 과거에 응시하여 백룡부(白龍賦)를 지었으나 낙방하고 돌아가는 길에 이 시를 지었다. 이 시에서 看來는 요즘 백화와 같은 의미이고 결구의 把는 백화와 달리 잡다, 즉 가지다란 의미로 해석된다. 그리고 時人眼은 안목이 낮고 식견이 얕은 시속 사람들(고매하지 못한)의 눈썰미라는 의미로 파악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登관雀樓
                王之渙

白日依山盡이요,
黃河入海流라.
欲窮千里目하야
更上一層樓라.

詩人黃昏時分登樓遠眺, 看着日薄西山的壯觀景象, 想河歸大海的雄偉氣魄, 不禁神思飛馳, 道出"欲窮千里目, 更上一層樓"的千古名句. 詩的前二句一實一虛寫山川之壯麗景象, 境界開闊, 后兩句因景抒情, 哲理深遠. 全篇詩氣勢豪邁, 風格雄渾, 確不失爲反映盛唐氣象的代表作品.
                                        ------選自<<古詩詞賦觀止>>

관: 황새관.
*不禁神思飛馳: 마음이 내달리는 것을 금할 수 없다.  道出: 말해 내다.
 *不失爲: 간주할 수 있다.-- 확실히 성당기상을 반영하는 대표작품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백 두보가 활약하던 당시를 성당이라고 말한다. 초당-성당-중당-만당.

(번역)
해는 산으로 넘어가고
황하는 바다로 흘러가네.
천리 먼리 다 보고 싶어
다시 한 층을 올라 가네.
   

(사족)
바이르 이 산찐..
후앙허 뤼 하이리우....
위 치옹 치엔 리이 무..
껑 샹 이 처엉 로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元日            王安石

爆竹聲中一歲除에
春風送暖入屠蘇라
千門萬戶동동日에
總把新桃換舊符라

*  동동: 日+童

낱말 풀이:
 ㅇ 除:去也.
 ㅇ 屠蘇: 정월 1일에 역병을 막기 위해 마시는 술 이름.
 ㅇ 동동: 해가 떠서 점점 밝아지는 모습.
 ㅇ 新桃:  섣달 그믐 저녁에 복숭아 나무에 神茶, 鬱壘라는  악귀를 주관하는 신을 그려 귀신을 &#51922;는 풍습이 있었는데, 나중에는 종이에 글씨를 쓰서 붙이는 것으로 대체 하였다. 나중에 변화되어 春聯으로  바뀌었는데, 우리나라의 입춘방과 비슷하다. 그저께가 입춘이었으니 의미가 새롭다.

번역
  폭죽 터뜨리는 소리에 한해가 저무는데
  봄바람 따스함을 도소술에 실어 보내었네
  집집마다 해 떠오르는 아침
  묵은 복숭아 나무 부적을 새로 가네

 제 나름대로 한 번 해 본 것입니다.  잘못된 것이 있으시면 지적해 주시고 좋은 의견 있으시면 기탄없이 말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滾滾長江東逝水
浪花淘盡英雄하니
是非成敗轉頭空이라

靑山依舊在로되
幾度夕陽紅가

白髮魚樵江渚上에
慣看秋月春風이라

一壺濁酒喜相逢하야
古今多少事를
都付笑談中이라

                 ----選自 三國演義

거세게 굽이치며 동으로 흘러가는
저 장강 물결이여

물거품에 영웅들이 모두 씻겨갔네

옳고 그름 성공과 실패는
고개 돌려 생각해보면  모두 헛된 것

청산은 예나 다름없지만
몇 번이나 석양이 지나갔던가

백발 성성한 어부와 나무꾼은
강가에서

가을달과 봄바람을
그저 무심히 보고 느낄 뿐

한 병의 탁주로 반갑게 서로 만나

고금의 이런저런 일들을
모두 웃으며 얘기 하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