題德山溪亭

   曺植


請看千石鍾


非大扣無聲

爭似頭流山

天鳴猶不鳴

덕산의 시냇가 정자에 쓰다

천석 무게의 종을 보시게
크게 치지 않으면 소리가 없다네
허나
하늘이 울어도 울지 않는
두류산만 하겠는가

이 시는 남명(南冥) 선생이 공부하던 지리산 자락 산천재(山天齋)에 가면 입구에 붙어 있다. 정확한 제목은 제덕산계정(題德山溪亭)이라고 한다. 내가 꼭 10년 전에 그곳에 가서 서원에서 만난 선생님으로부터 이 시에 대한 설명을 처음으로 듣던 기억이 새롭다. 그 당시 방학 때 그 근처 서원에서 공부를 했는데 답사차 온 것이다. 그 후로는 작년 봄에 한 번 더 가 보았는데 문화재 보수를 한다며 주변이 상당히 달라져 있었다. 우선 길이 산천제에 너무 바싹 붙었고 앞의 공터도 많이 훼손된 기억이 난다. 문화재를 보호한다는 것은 그 문화재에 깃든 정신적인 유산을 잘 살리는 방향으로 가야 하는데, 당장 눈에 보이는 성과를 목표로 하다 보니 문화재 보호라는 말이 역설적으로 들리는 경우를 자주 목격한다.
  남명은 경(敬) 과 의(義) 를 숭상하고 실천 궁행한 유학자로 많은 인재를 배출하였는데 당시 경상 좌도에서 역시 제자를 기르며 성리학 연구에 몰두 하던 퇴계(退溪) 이황(李滉)과는 학풍을 사뭇 달리 하였다. 둘 다 1501년 생이니 기억하기도 좋은데, 당대의 양 거목이었던 셈이다.  남명의 실천궁행은 정인홍이나 곽재우 같은 걸출한 의병장이 그의 문하에서 많이 배출된 것으로도 단적으로 알 수 있다.
  너무 가볍게 산다 싶으면 이런 고인들이 생각나 잠시 반성을 하고 마음을 다잡으며 숨을 고르곤 한다.

이 시는 부동심(不動心)이랄까, 세상에 나아가지 않고 처사로 일관한 남명의 삶을 잘 보여주는 시라는 생각이 든다. 이런 시를 평소에 알고 있다가 덕산(德山)이라고 선생이 표현한 것처럼 혼후하고 장중한 지리산에 가거든 한 번 생각해 보면 더욱 뜻이 깊지 않을까 싶다.

오언 시는 대개 2/3으로 끊어지나 이 시의 둘 째 구는 3/2로 끊어서 크게 치지 않으면, 이렇게 해석해야 자연스러울 것이다.

세번 째 구절에 爭似라는 말이 좀 생소한데, 爭은 어찌,라는 뜻이고, 似는 ~와 같다. 그래서 합치면 어찌~만 하겠는가?, 라는 뜻으로 하사(何似)와 같은 뜻이 된다. 하사(何似)는 한시에 흔히 쓰이는 표현이지만 쟁사(爭似)는 평생 몇 번 못 만날 것 처럼 그리 흔치 않은 표현이다. 대개 ~爭似~ 형태로 쓰여, ~가 어찌 ~만 하겠는가? 이런 의미이다. 즉 억양을 넣어 강조하는 표현이 되는 셈이다.  이 시의 후반부는 직역하면, 어찌 두류산이 하늘이 울어도 울지 않는 것만 하겠는가, 이런 의미인데, 한문은 주어가 앞으로 나오는 습성이 있으므로 우리말 어순으로 배열하면 그것을 뒤집어 어찌 하늘이 울어도 울지 않는 두류산만 하겠는가, 라는 번역이 나오는 것이다.

사실 천석무게의 종만 해도 그 침묵의 깊이는 가늠하기 어려웁건만, 남명은 늘 지리산을 마주하며 호연지기를 길러서인지 천석 무게의 종과는 비교도 되지 않는 지리산의 장중미를 깊이 체화하려고 했나 보다. 선생의 깊은 학문 세계를 어찌 그 담장 안이나 엿볼 수 있을까만 이 시 한 수만으로도 넉넉하고도 듬직한 선생의 풍도가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夜雨寄北
      李相隱
君問歸期未有期
巴山夜雨漲秋池
何當共剪西窓燭
卻說巴山夜雨時

밤비에 북쪽으로 편지를 보내며

그대 돌아올 날을 묻지만 기약이 없는데
파산에 밤비 내려 가을 연 못 물이 붇는구나
언제쯤일까 함께 서창에서 촛 불 똥을 따면서
파산에 밤비 내리던 날을 이야기 할 때가

오래간 만에 밤을 꼬박 새면서 일을 해 보았다. 그 덕분에 밀린 번역을 대충 마무리 해 간다. 창밖에서 아침 기운이 밀려든다. 그러고 보니 어제 저녁부터 내리던 비도 밤을 새웠던가 보다. 역시 오래간 만에 시를 한 수 소개해 볼까, 하면서 책을 뒤적이다 보니 이 시가 대뜸 머리에 떠 올랐다. 전에 이 시가 참 좋아서 동료들에게도 소개하고 그랬었다.
 이 시의 배경은 추지(秋池)라는 말로 미루어 가을임을 알겠다. 이 시는 이상은이 사천(四川)에 있으면서 자신의 집이 있는 하내(河內)의 아내에게 보내는 형식으로 씌어진 시로 알려져 있는데, 그 그리움의 대상자를 친구라고 보는 설도 있다.
연못에 빗방울이 보슬보슬 떨어지는 풍경을 연상하노라면 화자가 느끼는 그리움의 정서도 그렇게 뭉글뭉글 피어 오르고, 젖어 들고 있음을 알 것이다. 이 시의 묘미는 아무래도, 그 그리움을 그리움에서 끝내지 않고 전구(轉句)에서 시상을 획 전환시켜 먼 훗날 우리가 다시 만나면 내가 그 때 파산(巴山)에서 그런 시절이 있었지, 하고 옛 말을 할 날이 있을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 그런 인생관에 있을 것이다. 차분하면서도 은은한, 희망이 있는...

 한 문 해석은 그리 어려운 부분은 없지만 전구의 당(當) 자가 마지막에 해석되어 ~때가 되다, 하는 시간의 지점을 나타내는 말로 쓰였다는 것과, 각(卻) 자를 도리어로 해석한다는 사실에 주의해서 전결(轉結) 두 구절을 함께 해석해야 한다. 한시(漢詩)가 대개 한 구절씩 해석이 되나 이처럼 두 구절을 동시에 걸어서 해석해야 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한 번 직역을 해 보면 이 렇게 된다.

  언제나(何) 함께(共) 서창 앞에서(西窓) 촛불 심지를(燭) 자르며(剪) /도리어(卻) 파산에서(巴山) 밤비 내리던(夜雨) 때를(時) 얘기하게(話) 될까(當). ᄒᄒᄒ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치를 참아내야 진정 대장부인 것을

題烏江亭


杜牧

勝敗兵家事不期


包羞忍恥是南兒


江東子弟多才俊


捲土重來未可知

오강정에 붙이다

승패는 병가의 일이라 예측할 수 없으니
수치를 참아내야 진정 대장부인 것을
강동의 자제들 중에는 재주 있는 인걸이 많으니
땅을 말 기세로 다시 옴을 알 수 없었을 텐데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의 힘을 지녔던 항우는 용력과 기절은 높았던 반면 우유부단하고 슬기로운 면이 부족하였다. 그래서 한 고조 유방과 천하를 놓고 각축을 벌이다 마침내 해하성에서 패하고 수백기로 포위를 뚫고 달아나다 오강(烏江)에 당도하게 된다. 이 때 오강 정장(亭長)이,
“강동이 비록 작다 하더라도 땅이 사방 천리이고 무리가 수십만이니 역시 왕노릇하실 수 있습니다.”
라고 하자,
“……내가 강동 자제 8000명과 강을 건너왔는데 이제 한 사람도 없다. 설령 강동의 부형들이 나를 왕으로 삼는다 하더라도 내가 무슨 면목으로 강동의 부형들을 뵙겠느냐.”
라는 말을 남기고는 스스로 목을 찔러 자살하고 만다.
항우는 자신이 유방에게 패한 것을 하늘의 뜻이라고 말하였으나, 한신이 떠나가게 하고 범증을 의심하는 등 자신의 인재들을 제대로 쓰지 못한 결과라고 보는 해석이 후세 사가나 문인들의 대체적인 평이다.

이 시는 항우의 자살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회고한 작품인데 항우의 자살을 아쉬워하는 작자의 마음이 담겨 있다. 권토중래(捲土重來)라는 말은 두목의 이 시에서 유래하여 ‘실패한 뒤에 다시 역량을 회복한다.’는 의미로 후세에 널리 쓰이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蜀道後期    촉도를 지나느라  예전보다 늦게 도착해서                                                                  

                                                                         張說(장열)(667-730. 당 낙양인.)

客心爭日月             여행자의 마음은 늘 시간을 다투지

往來豫期程             오가는 데 미리 여정을 기약하건만

秋風不相待             아아 촉도는 험난해라  

                            가을 바람이 기다리지 않고서

先至洛陽城             나보다 먼저 낙양성에 도착하다니!

이 시는 시 내용으로만 보면 가을 바람이 나보다 먼저 낙양성에 도착했다, 즉 가을이 되어서야 내가 낙양에 도착했다는 어찌 보면 평법한 사실을 진술한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제목을 예의 주시하고 시를 다시 보면 3구에 많은 생략과 함축이 있음을 알게 된다. 바로 그곳에 이 시의 깊은 매력이 숨어 있다.

즉 이백(李白)이 촉도난(蜀道難)에서 '촉도는 너무도 험난하여 푸른 하늘에 오르는 것보다도 어렵다'(蜀道之難 難於上靑天)라고 한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섬서(陝西)에서 사천(四川)으로 들어가는 촉도는 아주 험난하다.  사실 이 시인은 아마도 사천에서 촉도를 지나 장안을 거쳐 낙양으로 들어가는 여정을 짤 때는 가을이 오기 전에는 충분히 낙양에 도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막상 촉도를 지나자니 너무도 험난하였고 이제 그 길을 지나 낙양에 들어서고 보니 벌써 가을이다. 

험난한 길을 무사히 지나 목적지까지 도착하였을 때 느끼는 가슴 저린 안도와 피곤하지만 야릇한 희열, 그리고 자꾸만 떠오르는 지나온 촉도에 대한 이런 저런 생각, 이런 것들이 아마도 이 시를 쓰게 하였을 것이고 당연히 이 시에는 그런 심상이 3구의 앞에 함축적으로 깊게 깔려 있다. 즐거운 혼자만의 상상일지도 모르지만 그 점을 읽어 내야 하지 않을까, 나는 이렇게 생각해 보았다. 그래서 3구의 번역도 보충을 가하여 해 보았다.

張說의 字가 說之 인 것으로 보아 說의 발음은 기쁘다인 '열'인 것으로 생각된다. 논어에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라고 하였으니. 이 때 說은 발음이 '열'이고  뜻은 '悅'이다.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의 자가 열경(悅卿)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간이 날 때마다 시를 읽고 음미하고 하다보니 가끔 글도 올리고 했는데... 이제 다시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여기까지 시를 올리게 되었다.

전에 써 둔 글 몇 편을 우선 집 지킴이로 모아 두었다. 당시는 그동안 좀 읽었고 이제 송시에 재미를 들이고 있는데 틈 나는대로 한 두 편씩 올려볼까 한다. 강호의 우수에 찬 騷人들과 눈밝은 평자들에게  삼가 질정을 부탁한다.

시는 짓는 것도 좋지만 잘 된 시를 발견하여 가슴 저미도록 음미하고 환호하는 것도 참 즐거운 일이다. 우리 시들에도 무한한 관심과 사랑이 있었고 앞으로도 그렇 것이지만 우선 여기서는 한시로 한정할까 한다. 우리현대시와 외국시는  다른 마당이 필요할 것 같다. 그리고 지금 나의 관심이 무엇보다도 옛날로 향해 있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