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태풍으로 휴교한 집에서 점심을 먹으려는 찰나, 아들이 원자력이 뭐냐고 물었다. 


원자력이라. 어디서부터 설명을 해야 하나. 

"있잖아, 이렇게 같이 살려면 싸우고 힘들고 그러잖아? "

아들은 에?하는 표정으로 보다가 피식 웃었다. 

"엄마랑 너랑도 싸우고 싫을 때가 있잖아. 원자들도 그렇거든. 같이 있으면 힘이 든다고. 같이 있으려면 어떤 힘이 꽉 잡아줘야 하는 거야. 그러니까, 그게 나눠지면 밖으로 그 힘이 나와. 그 힘을 쓰는 게 원자력이야."

"뭐가 같이 있는데?"

"양성자, 중성자, 전자?"


말해놓고 곰곰히 생각했더니, 핵분열에너지만 말해줬네, 싶어서 좀 후회가 되었다. 핵융합에너지도 있는데, 적당한 크기,라는 게 있고, 적당한 크기가 될 때까지 나뉘면서 밖으로 내놓는 에너지와 합치면서 밖으로 내놓는 에너지가 있는데 말이지. 아쉽네. 


남편한테 말했더니, 엄밀히 말해서 '원자력'이라는 말이 어디 있냐고 했다. 

남편은 핵력,은 있지만, 원자'력'은 없는 게 아니냐고 했다. 그래서 우선 싸웠다. 

말은 쓰면 있는 거야! 엄밀한 거 좋아하시네. 

수력,은 중력이라고 쓸거냐. 화력은 뭐라고 쓰실려고? 참 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왜 갑자기 아들은 그걸 물었을까? 

내가 환혼을 보고 있었나. 


엄마, 영혼이 뭐야? 


이런 질문에는 어떤 대답을 해야 할까.

나는 '동서양의 인간이해'(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85917)를 읽고 있는 중이고, 드라마 '환혼'을 열심으로 보고 있는 중이고 대답을 어찌 해야 하나 궁리한다. 


사람들은 사람이 죽으면 차이가 뭘까 궁리하다가 영혼이라는 걸 생각해냈어. 어제까지 알던 사람이 죽었다고 하면, 어제와 다름없는 몸이 눈 앞에 있는데, 어제와 달리 죽었다는데, 이 차이는 무얼까 설명하는 말로 '영혼'이란 걸 생각해낸 거야. 영혼이 있어서, 삶과 죽음이 갈린다고 설명하는 거야. 

아이는 벌써 저만치 설명을 듣지 않는데, 나는 대답을 찾으려 애쓰다가, 내가 하는 대답이 과연 합당한가 정말 그러한가 속으로 의심하면서 또 다른 의문들을 내 안에서 키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 초3 딸과 아빠의 대화가 이상했다. 

"반려자가 뭐야"

"아빠한테 엄마같이 인생을 같이 가는 사람이야"

뭐 이상할 게 없는 대화인데, 남편이 아이가 보고 있는 폰을 안경까지 밀어올리면서 보고, 

"그런데 그건 그게 아니라, 반반 나눈다, 할 때 반에 려,라고 쓰는 거야."

라고 까지 하는 거다. 

옆에서 듣기에는 아무 문제 없는 대화이기는 한데, 실상 초3 딸은 공포의 맞춤법 모음캡처화면( https://www.bobaedream.co.kr/view?code=strange&No=4344955 -이건 아니고 폰 화면 하나에 가득차는 신기한 거였는데 못 찾았다) 보면서 말하는 거라. 발여자를 보면서 발려자라고 읽으면서 묻는데, 듣는 나나 남편은 '발려자'를 듣고 '반려자'를 생각하는 거였다. 

안 되겠다, 싶어서 내가 이건 다 맞춤법 잘 못 쓴 거니까, 제대로 써 줄게, 하고 써주려고 폰을 가져왔다. 그런데, 딸래미가 하는 짓을 내가 하고 있었다. 

덮집회의,를 보면서 아무래도 모르겠어서 남편에게 물어볼려고 소리를 내면 그 때 겨우 알게된다. 괴자번호,를 보면서도, 순합공간을 보면서도 그랬다. 그러면 엄청 웃겨서 안 웃을 수가 없었다. 

겨우 겨우, 그 틀린 맞춤법의 바른 맞춤법을 뒤죽박죽 써서 줬다. 46개나 되는데, 딱 하나는 설명하기부끄러워서 안 써 줬다.

글자를 볼 때 머릿 속으로 어떻게 소리가 날 지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정말 소리가 나는 건 그렇게 들릴 수도 있겠다 싶은 지경이라, 놀라기도 했다. 

한글이 소리나는 대로 쓰는 소리글자라고 해도, 그 많은 말들은 한자에서 왔기 때문에 소리나는 대로 쓰면 이상해진다. 그러니까 소리는 가오캥이,라고 들려도, 머릿 속에서는 다시 가혹행위,로 정렬을 해야 의미를 알게 된다. 거침없이 하이킥의 윤호가 회자정리,를 알아보겠다고 무수히 많은 말들을 검색하는 그 순간(https://blog.naver.com/tvntea/222295409940) 같은 거지. 

이렇게 소리난다는 게 재밌고, 소리나는 데로 이렇게 적는다는 게 재밌고, 아이랑 이렇게 낄낄대면서 이야기한다는 게 재밌었다. 

한자어가 많고, 오래되서 이제는 안 쓰는 말-외양간, 오라, 같은 말들-, 영어도 있다. 잘못 들을 수도 잘못 쓸 수도 있는 말들인데, 이렇게 소리나고 소리나는 대로 이렇게도 쓸 수 있어서 웃겼다. 재미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들이 인터넷 검색(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11s1268b)을 가지고 와서는 이게 뭐냐고 묻는다. 그 그림은 원자를 단순화시켜 그린 그림이고, 핵을 중심으로 궤도를 따라 도는 전자를 그렸다. 주기율표는 뭔지, 원자는 뭔지, 분자는 뭔지 묻는다. 예전에 블랙독을 봤을 때 닥쳤던 그 딜레마가 내게 닥쳤다. (https://blog.aladin.co.kr/hahayo/11422180) 게다가 그 설명에는 전자의 배치를 전자구름모델로 P니 S니 하는 것까지 있었다. 

다들 선생질 하려고 든다고 그게 문제라고 맹자님도 써놨던데, 가르치려고 해도 뭘 알아야 가르치지, 싶은 순간이다. 그런데다가 너무 일찍 너무 많은 것들을 자꾸 자꾸 보는 아들은 주기율표는 뭔지, 이것들의 순서는 뭔지, 원자량은 뭔지 물어본다. 


봐라, 이건 다 상상이야. 알 수가 없어. 볼 수도 만질 수도 없어. 사람들은 다 잘게 잘게 쪼개면 뭐가 될까 생각했거든. 아주 잘게 쪼갠 가장 작은 단위를 원자라고 이름붙인 거야. 그런데 또 쪼갰어, 원자 안에 양성자와 중성자와 전자가 있다고 설명한 거야. 양성자와 중성자와 전자로 구성된 원자가 분자가 되고 다른 거랑 결합하고. 그런데, 이건 다 상상이야. 정말 그런지는 알 수가 없어. 어떤 현상이 일어나고 어떤 성격이 있다는 걸 설명하기 위해서 만든 말들이야. 정전기가 일어나는 걸 봐, 왜 그럴까 궁리하다가 찾아낸 설명인데, 잘 들어맞으니까 계속 쓰는 거야. 눈에 보이는 현상, 왜 정전기가 일어날까, 왜 촛불은 불면 꺼질까, 같은 질문들을 대답하기 위해 만든 설명이야. 그 설명이 잘 들어맞으니까 계속 사람들이 이렇게 설명하고 있는 거야. 원자량은 무게라고 말할 수도 있는데, 무게는 아니야. 


내가 이런 식으로 설명하니까, 질문해놓고도 대답을 다 못 듣고 애들이 자꾸 도망간다. 질문해놓고 대답을 다 못 듣고 도망가면서 그러고 또 다음에 질문을 한다. 그것도 꽤나 까다로운 질문들을 빛이 입자냐 파동이냐를 설명하기 위해 하는 물리학 실험같은 걸 물어보니까. 자꾸 대답이 길어지지. 뭐, 대답이 길어지는 건 내가 쉽게 설명할 만큼 잘 알고 있지 못해서인 거라는 건 알고 있다. 


배움은 계단과 같아. 처음에 자연수를 배우고 음수를 배우는 것처럼 2에서 3을 뺄 수 없다가 빼는 것처럼, 낮은 계단에서는 안 되는 일이 다음에서는 되기도 해. 그런데, 낮은 계단을 오르지 않고 높은 데 있는 걸 알려고 하면 그건 너무 힘든 거야. 차근차근 서두르지 말고 배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제 초3 딸아이가 까다로운 질문들을 한다. 

거절과 거부가 뭐가 달라?라고 물었다. 

둘은 분명히 다른데, 설명하기 어렵네. 

출근길 차 안에서 설명하기 위해 노력해 본다. 

거부는 밀어내는 느낌이고, 거절은 딱 잘라내는 느낌인데. 이건, 뭐랄까, 거부는 나한테 의사를 물어본 게 아니야. 

나 너 좋아해 하는데, 난 싫어, 라고 하는 건 거부. 나 너 좋아해, 우리 사귈래,하고 묻는데, 싫어,라고 대답하는 건 거절이야. 여기서 차이는 대답에 있지 않다. 똑같은 싫어,지만, 질문인가 아닌가에 있다. 

여전히 차이를 아는 거 같지는 않아서, 그리고 내가 또 맞게 대답한지 모르겠어서, 인터넷으로 검색을 한다. 검색해서 이런 답을 봤는데(https://blog.naver.com/netbar/221761057871) 여기서는 둘 다 상대의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는 거지만, 끊을 절이 들어간 거절이 강한 거부라고 표현하더라. 거부는 자신의 상황을 들어 온건하게 의사를 밝히는 것으로 refuse, 거절은 자신의 판단을 표현하는 reject라면서 거절보다 거부가 온건한 태도처럼 묘사하고 있었다. 

그런가, 의심이 드는 채로 집에 와서 속뜻사전을 찾아보았다. 

거부와 거절의 거는 같은 한자(막을 거 拒)를 쓰고, 아닐 부(否)와 끊을 절(絶)을 쓴다. 

거부에는 동의하지 않음,이라고 설명한다. 다음 국어사전은 거부와 거절의 뜻이 같다.

거부 1. 동의하거나 받아들이지 않고 물리치다 

      2. 남의 요청이나 제안 따위를 받아들이지 않고 물리치다.

거절 받아들이지 않고 물리치다.


아이가 왜 그런 질문을 했는지 한 번쯤 물어볼 걸 그랬다. 

식탁 위에 신영복선생님의 글씨달력에 있는 4월의 글귀 때문이었다. 

독버섯이 식탁의 논리를 거부하고, 자신의 이유로 살아가야 한다,는 거다. 자신의 이유로 살아가는 게 자유라고 쓰여있는 걸 보고 거부와 거절을 물어본 거다. 

나는 역시 거부와 거절은, 똑같이 받아들이지 않는 것에 강도의 차이가 있는 게 아니라, 상대가 내 의사를 물었는가, 묻지 않았는가,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내 의사를 물었다면 거절할 어떤 사안을 내 의사를 묻지 않고 상대가 단정하였다면, 나는 거부해야 하는 거라는 거지. 

예를 들어, 나는 성역할을 거부할 수 있지 거절할 수는 없다. 


뉘앙스로 구분하는 그 많은 말들에 설명을 하려고 애쓰는 날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