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이 공부를 한다. 미리 한 학기씩 두 학기씩 앞서서 문제집을 풀고 내년에 겨우 중 2인데, 스톱워치를 책상에 올려놓고 시간을 재면서 공부를 한다. 방학을 하고는 밤 열두시까지도 잠도 안 자고, 아침에 깨지도 않고 점심무렵에나 깬다. 그러지 말라고 건강하고 좋은 습관을 가지는 게 중요하다고 자꾸 자꾸 말하는데, 내가 혹시 행동으로는 그러고 있지 않나 생각한다. 칭찬을 한 적도 야단을 친 적도 없는데, 그래서 그러는가도 생각한다. 학교에서는 시험도 성적표도 보내주지 않는데, 학원에서는 벼라별 말을 듣고 현대의 또래집단 학생이 된다. 과학공부를 앞서 하려니 지난 학원 방학 중에는 나에게 가져와서 뭘 물어본다. 원자핵에 양전하가 핵의 주위를 도는 전자에게 음전하가 있다는 설명을 하면서, 이해할 수 있을 만큼 단순화시켜서 가르치는 각 단계에 대해 의구심이 생긴다. 처음 핵과 전자에 대해 배울 때는 이렇게 배웠지. 그림으로 그릴 수 있는 것처럼, 양성자와 중성자와 전자의 모습들을, 이러면서 보았다. 그러다가, 태양을 중심으로 도는 행성처럼 묘사되던 핵과 전자가, 구름처럼 묘사되고, 결국은 알 수 없는 어떤 것이 되기까지 결국 이해하지 못 했던 현대물리의 어떤 순간까지가 떠올랐다. 그러면서, 저 가르침은 옳은가, 이런 생각도 했나 보다. 

지난 블랙독,에서 학생은 자신이 틀렸다는 시험 문제가 현대 물리의 관점에서 오답이 아니라고, 학교 내에서 문제제기 하는 대신 학교 밖에서 문제제기해서 결국 정정을 받는다. 교과과정을 통해서는 오답이고, 교과과정을 벗어나 학문적으로는 오답이 아닌 그 상황에 내가 딸의 과학 요약집을 보던 기억이 떠올랐다. 서양의 학문이 나아가는 방식과 동양의 학문이 나아가는 방식이 이렇게 다른 건가, 싶기도 했다. 내가 교사고, 그 다음을 알고 있는데, 이해하기 쉬우라고 단순화시켜 가르치는 것은 어떤 불편한 느낌을 주지는 않을까, 같은 생각도. 동양의 학문이 그래서 신기한 말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계속 읽도록 한다면, 서양의 학문이 온갖 것들로 쪼개놓은 온갖 학문을 초보적인 형상화부터 시작해서 점점 점점 기존의 관념을 부정하면서 나아간 게 아닐까도 생각한다. 서양의 학문을 배우는 방식의 지금 학교는, 그러니까 초등학교의 어떤 배움이 중학교에서 부정되고, 중학교의 어떤 배움이 고등학교에서 부정되고, 고등학교의 어떤 배움이 대학교에서 부정될 수 밖에 없는 게 아닐까, 라고도. 동양의 배움이 결국 알 수 없는 상태를 인정하게 되는 그래서 기이할 수밖에 없는 게 아닐까, 라고도 생각했다.

가르치는 것이 어렵구나, 배우는 것도 역시 어렵다. 점점 모르는 것이 늘어나는 그 각각의 단계에서 어떻게 배우고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