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물과 사상 2016.4 - Vol.216
인물과사상 편집부 엮음 / 인물과사상사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신기주: <쇼생크 탈출>이라는 영화에서 주인공이 감옥에서 <피가로의 결혼>을 방송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수감자 중에 이 음악을 아는 자는 없죠. 그런데도 모두 음악의 아름다움을 느껴요. 배우지 않았어도 인간은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어요. 아름다움을 느끼는 건 인간의 권리고 그걸 막는 건 폭력이죠. 죄책감을 강요하는 것도 폭력이고요. (p.20)
발레와 오페라를 좋아한다는 은수미 의원의 말에 신기주가 저렇게 답하는데, 저 부분을 읽노라니 영화 <프리티 우먼>이 생각났다. 생애 처음 오페라 공연을 보던 그녀가 눈물을 흘리던 장면. 교양있다고 자부하는 사람들 틈바구니에서 홀로 눈물을 줄줄 흘리던 장면이 떠올랐다. 배우지 않았어도 인간은 아름다움을 느낀다, 라는 신기주의 말에 동의하는 이유다. 줄리아 로버츠는 그때, 아름다움을 느.꼈.다.
같은 이유로 영화 <타인의 삶>도 생각난다. 연극 배우와 감독의 삶을 감시하고 도청하던 비스토는(이름이 비스토 맞던가..), 어느날 감독의 피아노 연주에 진심으로 감동하고야 만다. 제대로 느끼고 제대로 감동하고 제대로 표현하는 사람들을 나는 언제나 사랑해왔다.
은수미: 저는 사람이 삭제되는 게 견디기 어려워요. 그게 제가 사람의 이야기에 집중하는 이유죠. 감옥에 가면 사람이 삭제돼요. 저는 601번으로 불렸어요. 번호가 사람을 대신하죠. 그 사람이 뭘 좋아하고 어떻게 살아왔는지는 지워져요. 그런데 지금 우리 사회가 감옥 같아요. 사람은 지워지고 연봉이 얼마고 집이 몇 평인 걸로만 기억되죠. 중원에 사는 사람들은 중원에 산다고 안 해요. 그냥 서울 산다고 해버리죠. 저는 그렇게 우리 지역이 삭제되는 걸 원하지 않아요. 그건 사람의 존엄함을 말살하는 거니까요. 중원은 개발의 역사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어요. 개발 이익을 자신이 갖지 못했던 것뿐이죠. 그런 역사가 주민들의 삶 속에 기록되어 있어요. 지금 저는 그런 이야기들을 듣고 다니고 있어요. (p.17)
은수미: 제가 <지젤>을 좋아해요. 발레와 오페라를 사랑하죠. 어머니는 제가 배 속에 있을 때 헨델의 <메시아>를 들었대요. 아버지가 보급 장교셨어요. 월남에도 보급 장교로 가셨죠. 달러를 꽂을 곳이 없을 정도였대요. 집안에 외국 물품이 넘쳐나고, 일제 산수이 오디오 세트가 있었죠. 어머니가 거기에 LP판을 틀어놓고 <메시아>를 들었던 거죠. 성장해서도 그런 문화를 좋아하는 취향은 변하지 않았어요. 그런데 현실에서는 격렬하게 운동을 하고 있는 거죠. 그게 저한텐 엄청난 갈등이었어요. 동지들한테는 이야기하지 않고 혼자 공연을 보러 가고 했어요. (p.19)
은수미: 사람들의 부글부글한 분노를 느꼈어요. 터뜨릴 대상이 필요한 거죠. 다들 안간힘을 쓰면서 견디고 있구나 싶었어요. 그분들의 마음을 얻어서 세상을 바꾸고 싶어요. (p.22)
은수미: 이렇게 말하면 보통 재수 없다고 생각해요. 그래도 사실인 걸요. 어렸을 때부터 유일하게 잘하는 게 공부였어요. 그래서 다시 공부를 시작했어요. 7년 동안 간이침대 펴놓고 미친 듯이 공부했어요. 한편으로는 아이를 갖고 가정을 이뤄서 우주 안에서 내 자리를 갖고 싶다는 생각을 했어요. 그래서 결혼을 했고 아이를 낳으려고 했는데 둘 다 안 된 거예요. 저도 자리를 잡고 싶었던 때가 있었던 거죠. (p.24)
신기주: 그런데 왜 정치에서 벗어나지 못했나요?
은수미: 세월호 사건 때문이었어요. 4월 16일의 그 무력감은 지금도 생생해요. 세월호 사건을 보면서 처음으로 아주 강력하게 세상을, 정치를 바꾸고 싶었어요. 당 내에서 문제 제기를 하고 뭔가 하자고 주장했죠. 결국 할 수 있던 건 11일 단식뿐이었어요. 제가 나선다고 당이 좋아해주는 것도 아니고 정치가 바뀌는 것도 아니고 세월호가 해결되는 것도 아니고 곡소리가 사라지는 것도 아니었죠. 몸이 아파서 단식하면 안 되는데, 단식이라도 안하면 정말 죽어버릴 것 같았어요. 그때 처음으로 국회의원직 그만두려고 생각하면서 고민이 시작되었죠. (p.25)
은수미: 사람들한테 물어보았더니 결론은 이랬어요. "의원직을 그만둘 용기가 있다면 재선에 도전하고 그만둬라. 네가 그렇게 세상을 바꾸고 싶다면 힘을 가져라." 세월호 때도 그랬고 메르스 때도 굉장히 고통스러웠어요. 그런 일이 우리 사회에서 일어난다는 게 너무 괴로웠어요. 그래서 아주 위험하지만, 힘을 가지고 정치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어요. (p.25)
신기주: 10시간 넘게 버틴 에너지가 어디에서 나오는지 궁금했어요. 이야기 나누다 보니 알겠네요. 그걸 버텨내는 게 은수미다운 은수미인 거죠.
은수미: 욕심이 없어서 가능했어요. 필리버스터가 연출이었다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요.
신기주: 그런다고 공천 못 받는다고 한 분이 있었죠.
은수미: 공천을 생각했더라면 못 버텼을 것 같아요. 의원 총회에서 필리버스터를 지지한 사람은 6명밖에 안 돼요. 나머지는 반은반대하고 반은 침묵했어요.
신기주: 현실적 판단이지 않습니까?
은수미: 그래서 반은 침묵하고, 반은 반대한 거죠. 찬성 6명 주에서 저만 유일하게 의원 총회에서 2번 발언했어요.
신기주: 그때 발언도 많이 회자되었죠.
은수미: 우리는 질 거다. 우리가 먼저 져야지 왜 국민더러 먼저 지라고 하느냐. 여기서 그냥 빠지지 말자. 도망가지 말자. 같이 무너져야 같이 일어설 수 있다.
신기주: 질 때 지더라도 싸우다 지자. (p.29-30)
은수미: 그걸 누가 듣겠어요. 허공에 대고 외치는 거죠. 저는 그저 시간을 벌어주면 된다고 생각했어요. 낮까지 버티면 그다음부터 다른 의원들이 잘할 거라고 생각했어요. 이걸 누가 들으면서 시간을 잴 거라고는 전혀 생각도 못 했어요.
신기주: 그런데 그걸 듣고 있는 사람들이 있었던 거죠.
은수미: 의원실에 돌아왔더니 다들 울고 있는 거예요. 지역 사무실에서도 사람들이 올라와서 울고 있고요. 노사모를 했던 부산 언니가 있는데 그 언니도 사무실로 올라와서 울고 있었어요. "이 지독한 것아." 이러면서요. (p.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