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어디 가?
장 루이 푸르니에 지음, 강미란 옮김 / 열림원 / 2009년 2월
장바구니담기


나는 예쁜 아기 선발대회를 이해할 수 없었다. 아직도 그런 것이, 왜 예쁜 아기를 가진 부모를 축하하고 상을 주는지 정말 모르겠다. 그렇다면 왜 장애아를 가진 부모를 벌하고, 또 그들에게 벌금을 물게 하지 않는가? 마치 그들의 잘못인 듯 말이다.-83-84쪽

뭔가 흔적을 남겼다는 기분이 들 때가 있다. 하지만 그 흔적이라는 것은 깨끗하게 닦아놓은 바닥에 흙 묻은 발로 남겨놓은 발자국 같은 것이다. 그래서 혼이 나는 그런 흔적이다.
토마를 바라보거나 멀리 간 마튜를 생각할 때면, 과연 아이들을 만들어낸 것이 잘한 일인가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아마 아이들에게 물어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아이들이 느꼈던 작은 기쁨, 스누피 인형, 따뜼한 목욕물, 고양이의 부드러운 몸짓, 햇살, 공, 마트 산책, 타인의 미소, 장난감 자동차, 감자튀김‥‥‥
이 모든 것이 있어 아이들의 삶도 살아볼 만한 것이었다면‥‥‥하고 바라본다. -169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진 2013-01-08 14: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평론가의 말투를 흉내내보자면, 예쁜 아기 선발대회가 얼마나 폭력적일 수 있는지를 명확히 느끼게 해주는 밑줄이군요. 정말, 공감되요. 예쁜 아이한테 상주면 못난 아이는 벌금받고... 이것도 하나의 편견이자 배척이라고 느낍니다. 뭐 저는 ... 그런거 받을 외모가 아니라 이러...는 걸까요 ㅋㅋㅋ

다락방 2013-01-08 16:48   좋아요 0 | URL
예쁜 아기가 예쁘다는 것은 그 아기의 큰 장점이긴 하죠. 예쁘다면 매력적으로 어필하기도 쉽구요, 여러가지로 생활하기에 편할거에요. 그런데 그런 장점을 줬다고 해서 그 부모에게 '상'을 준다면, 상대적으로 예쁘게 태어나지 못한 아기들의 부모 또 장애아의 부모는 '상 탈만한 부모'가 못되는 셈이잖아요.

이 책의 저자는 아들 둘 딸 하나인데 두 아들이 모두 장애아에요. 그래서인지, 저 문장이 유독 아프더라구요. 잔인하게 느껴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