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령들이 잠들지 않는 그곳에서
조나탕 베르베르 지음, 정혜용 옮김 / 열린책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니는 마술사다. 마술사였던 아버지가 쓴 책을 교본으로 삼아 언제나 몸에 지니면서 마술의 기술을 터득하고 연습하고 그리고 쇼를 한다. 아직 관객이 많지도 않고 무대라고 해봐야 시장에서 아이들을 불러모으는 게 전부이지만, 마술을 사랑한다. 그런 제니에게 탐정 '로버트'가 찾아와 자신의 일을 도와주기를 바란다. 종교로 자리잡은 심령학에 대한 비밀을 함께 파헤치자는 것. 폭스 자매들이 이끄는 강력한 심령학회 회원이 되어 영매를 만나 상담도 받고 그렇게 죽은 남편을 불러내달라고 하면서 그들의 사기 행각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조사해달라는 거다. 게다가 그렇게 이 탐정회사의 직원이 되면 수당도 크게 받는 터라, 그 돈이라면 생활비는 물론 마술 쇼도 더 해볼수 있고 게다가 심령이라니 호기심도 생겨 제안을 수락한다.


그러나 제니가 도대체 어떤 사기가 벌어지는지 눈을 씻고 찾아보려고 해도 눈에 띄지 않을 뿐더러 오히려 어쩌면 심령을 정말 만날 수 있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으로 이 심령을 본다는 세 자매에게 이끌린다. 가짜 신분을 만들어 죽은 남편을 만나게 해달라고 찾았건만, 엉뚱한 병사가 찾아와 말을 거는거다. 제니는 그 병사가 자신이 본 적 없던 자신의 아버지임을 알고 도대체 이런 일이 어떻게 일어난걸까 궁금해한다. 자매들과 개인적으로 친분을 쌓고 비밀을 알아보고자 하지만 결국 정체가 탄로나고, 이에 그녀는 세자매의 대장인 언니 리아를 찾아가 '나도 영매가 될게' 라고 한다. 그렇게 계약서를 쓰고 나서야 그들이 도대체 어떻게 심령과 만날 수 있었는지를 듣게 되고 충격을 받게 된다. 



처음 제니에게 일을 도와달라고 했던 탐정 로버트와 그리고 자매들에 얽힌 사연들이 차차 드러나면서 책은 결말을 향해 간다. 죽은 영혼을 불러내 대화를 한다니 말도 안된다고 생각했다가 어느 틈에 나도 제니처럼 '아니 잠깐만, 그런데 정말로?' 이렇게 되어버린다. 이야기는 흥미롭게 진행되고 게다가 영화 <사랑과 영혼GHOST>를 몇번이나 보았으므로 영혼과 대화하고 빙의되는 것도 머릿속에 너무 잘 그려졌다. 대수롭지 않았던 하나의 작은 일이 그러나 큰 일로 닥쳐오고 그 일들이 여기와 저기에서 얽혀있고 어릴 적의 죄책감이 시간이 오래 지난후에도 여전히 남아있고 하는 이야기들은 흥미롭고 재미있게 펼쳐진다. 읽으면서 영화화 되어도 아주 재미있을 것 같았는데, 이야기로도 재미있고 캐릭터로도 아주 매력있다. 솔직히 고백하자면 읽는 내내, 그들이 정말로 죽은 영혼과 대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기를 바라기도 했다. 이 넓은 지구 어딘가에 그런 사람이 좀 있다고 해도 괜찮을 것 같은 거다. 



얼마전에 '유키 하루오'의 《방주》라는 책을 읽으면서 상당히 불쾌하고 짜증이 났더랬다. 1993년의 남자 작가가 쓰는 글은 이런거란 말인가. 나는 젊은 남자 작가들에 대한 편견이 생겨버렸다. 자극적으로 이야기를 풀어내 팔리는 책을 쓸 순 있겠지만 그 책이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이렇게 윤리도 없고 철학도 없는 책을 써내다니. 필립 로스가 그리워지는 거다. 필립 로스는 안타깝게도 책 속에서 페미니스트를 비아냥 댈지언정, 글은 정말 기가 막히게 잘썼거등? 그리고 자기만의 철학이 있었다고! 그런데 젊은 남자 작가들은 늙은 남자 작가를 결코 따라잡을 수 없는거야? 막 이렇게 되었단 말이다. 화딱지가 났다. 그런데,


《심령이 잠들지 않는 그곳에서》의 '조나탕 베르베르'는 달랐다. 이 1994년의 남자 작가는 무엇보다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고 자기만의 철학이 있는 사람이었으며 캐릭터도 생생하게 만들어낼 수 있었다. 시대의 흐름을 알고 그러나 역사도 공부했다. 자기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무슨 이야기인줄 분명히 알고 하는 이야기를 나는 읽고 있었다. 그러니까 '모든 젊은 남자 작가들이 다 그런건 아니'라고 한다면, 그 '아닌' 쪽에 있는 그런 작가였다. 그래서 기분이가 좋아졌다. 


일전에 '김영하'가 어떤 프로그램에서 우리가 책을 읽는 이유는 우리가 살면서 느꼈지만 제대로 표현해낼 수 없는 것들을 책에서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취지의 말을 한 적이 있다. 나는 이 조나탕 베르베르의 책에서 그걸 느꼈다. 음, 정확히는 그것과 같지는 않다. 왜냐하면 나는 이미 표현하고 있었던 문장이기 때문에. 내가 바로 이거지! 했던 구절은 이거였다.



「내가 탐정 일을 시작하기전에 알 수 있는 기회가 있었더라면 좋았을 뭔가를 당신에게 알려 줘도 되겠소? 핑커턴 지침서」에서 읽을 수 있었더라면 좋았겠지만, 불행히도 자비로 배워야만 했던 교훈이지. 모든말은 그 말을 믿는 사람만을 얽어맨다.」 - P228



나는 사람들이 각자가 믿는 것이 있고, 믿는다면 거기에는 힘이 실린다고 생각한다. 그건 바꿔 말하면, 그걸 믿는 사람들을 얽어매는 것이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지극히 개인적으로 나는 이 책의 결말이 좋았다. 다시 말하자면 그건 정말 읽는 독자인 내 몫의 만족감이었는데, 음, 그러니까 그런 거다. 내가 물잔에 새로운 물을 받고 싶다면 내 물잔을 비워야만 가능해진다는 것. 이건 누구나 다 아는 삶의 진리이지만 때로는 이렇게 이야기로 다시 만나야 하는 때가 온다. 새로운 물을 받아야 하는데 물잔이 가득 차서 받고 있지 못했고 나는 그러나 이미 가득찬 물잔에 만족하고 있었으므로 새로운 물을 받을 시도를 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 책을 다 읽고 책장을 덮으면서 이제 내 물잔을 비워내야 한다고, 그리고 새로운 물을 받아내야 한다고 다짐하게 되었다. 책을 다 읽고 나니 자정을 넘겨있었고 자려고 불을 끄고 침대에 누웠다가, 그 물잔을 비워내는 일을 미룰게 뭐람, 하고 다시 불을 켜고 일어나, 침대 헤드에 오래 머물렀던 어떤 사진을 치웠다. 



「가장 힘든 일, 그건 놓아 버리는 거예요.」 마거릿이 말했다. -P.603


「가장 힘든 일, 그건 놓아 버리는 거예요.」 마거릿이말했다.
제니는 불길 위로 책을 갖다 댔고, 돌이킬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될 선택을 다그치는 열기가 곧 팔뚝을 휘감아옴을 느꼈다. 그녀의 손이 떨렸고, 제니는 자신이 앞으로 나아가기를 원한다면 유일한 해결책은 이 책을불길에 던지는 것임을 알면서도, 아버지의 마지막 유품에 매달려 보려고 애를 썼다. 제니는 자기 자신만의길을 개척하는 유일한 방법이 남들이 다 갔던 길을 따라가기를 그만두는 것임을 깨닫고, 드디어 결심을 굳혔다. - P603

제니는 자신의 몸이 가벼워진 것 같은 야릇한 느낌을 받았다. 그녀는 자신의 손을 응시했고, 그 손을, 벽난로의 오렌지 빛에 물든 장밋빛 손가락을, 처음으로발견한 듯했다. 그녀의 등에는 이제 아무것도 없었다.
세상의 무게가 마침내 그녀의 어깨에서부터 떨어져 나간것 같았다. - P60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23-03-27 10:5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음식 사진을 치웠군요.

다락방 2023-03-27 10:56   좋아요 1 | URL
그건.. 아닙니다. 음식 사진은 결코 치울 수 없지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