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래비티
알폰소 쿠아론 감독, 조지 클루니 외 출연 / 워너브라더스 / 2014년 2월
평점 :
우주는 내 관심 대상이 아니었다. 달에 가는 것도 역시 내 관심사가 아니었고, 그러니까 그런 식의 일에 대해서라면 내 흥미를 전혀 끌지 못했다. 다만 어떤 사람들, 그러니까 나와는 다른 사람들은 우주에 관심을 갖기 때문에 우주에도 다녀오고 그러는가보다, 그래서 인류는 계속 앞으로 가는 모양이라고 생각했다. 언젠가 지구를 건너 저기 다른 행성으로 가는 일이 여행으로 가능해진다고 한다는 말이 들려와도 나는 그런가보다 했다. 나는 딱히 그런 곳에 가보고 싶은 마음도 없었다. 우주라니. 나는 우주 배경의 소설도 영화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내가 관심있는 곳은 지금 여기, 내가 사는 세상이고, 이 세상 속에서 살아가는 내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였다. 우주는 그야말로 내 관심 밖의 대상이다.
영화 《그래비티》에 대해 좋다는 얘기를 수천번도 넘게 들은것 같은데, 나는 볼 생각이 전혀 없었다. 우주에 혼자 남겨진 여자의 이야기라니, 여기에서 어디 무슨 재미가 있단거지? 나는 영화를 보지도 않고 수많은 사람들이 이 영화에 대한 극찬을 해도 전혀 흥미를 가지지 않았다. 우주에 혼자 남겨진 인간의 이야기가 딱히 재미있을 리 없잖아? 내 취향은 아닐 거야. 윌이 클래식 음악을 클라크에게 추천했을 때 그건 내 취향이 아니에요, 라고 듣지도 않고 선을 그었던 것처럼, 나 역시 보지도 않고 그래비티에 대해 선을 그었다. 우주에 혼자 남겨진 사람의 이야기라니. 별로 보고 싶지 않다. 아무리 사람들이 좋다고 해도 그게 나한테 까지 좋을 리 없어. 편견덩어리 내가 그렇게 생각했다.
그러다 정희진 선생님의 신간 《영화가 내 몸을 지나간 후》에서 그래비티를 다시 만났다. 정희진 선생님은 자신의 책에서 그래비티를 얘기하며 우주 쓰레기, 중국(아시아) 우주선 그리고 우울증에 대해 얘기했다. 그리고 그 우주에 혼자 남겨진 여자 '산드라 블럭'이 아이를 잃었다는 것도. 그러니까 내가 정희진의 책에서 파악하게 된 그래비티의 우주에 혼자 남겨진 인간에게는, 그 인간 고유의 사연이 있었다. 사연이라니까 감성팔이 같은데, 사정, 사정이 있었다. 그 사람 하나 그러나 그 사람에게만은 온전히 전부인 고유한 세계가 있었다. 당연하지, 그것이 있을 것이었다. 나는 우주에 혼자 남겨진 인간 에서 그 인간을 그저 평면적으로 어떤 개념적으로만 생각했다가 비로소 입체적 인물로 느끼기 시작한 것이었다. 나 같은 인간, 살아 숨쉬고, 자신만의 고유한 세계를 형성한 하나의 인간. 인간이 혼자 라고 지루할 리가. 그 하나의 인간이 안에 품고 있는 것은 얼마나 무궁무진한가!
일전에 나는 친구와 그런 대화를 나눴었다. 내가 연애중일 때였는데, '친구야, 나는 이 연애가 끝난다면 더이상 연애하지 않고 살거야, 그러지 않아도 돼, 충분히 했고, 이거면 됐다. 남은 시간들은 이 연애에서 발생했던 것들을 추억하고 곱씹으면서 평생을 살 수 있을 것 같아.' 라고. 다른 친구를 만났을 때도 나는 그랬다. '나는 지금 이 사람 정말 좋아하는데, 설사 지금 헤어져도 크게 다치지 않을 것 같아. 되게 충만했고 모든게 충족됐어, 더이상 아쉬움이 없어' 라고. 나는 정말 그랬다. 그 연애에서 발생한 일들만으로 내 남은 시간들을 추억하며 살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다못해 연애, 그 연애 하나만으로도 내게는 많은 것들이 쌓인 것이었다. 그런데 나라는 인간에게 연애만 일어났는가 하면, 그건 작고도 작은 일이었다. 나에게는 내 나름의 학교 생활과 직장 생활과 친구들과의 우정과 그리고 가족들 사이에서의 일들, 또 여행과 산책과 요가와 전시회 관람과 기타 등등 많은 것들이 와 부딪혔고 쌓여있었다. 거기에 나는 책을 읽고 영화도 보면서 또 쓰기도 하면서 나라는 사람을 형성해 가고 있었다. 내 안에는 내가 만든 고유한 그러나 충만하고도 풍부한 세계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런 인간이 혼자일 때, 그 공간이 좀비가 창궐한 시대거나 우주라고 해도 텅 비어있거나 지루할 리 없었다. 나라는 인간은 나 자체로 온전할 것이니까.
우주에서의 첫번째 임무를 맡게된 '라이언 스톤(산드라 블록)'은 폭파된 인공위성의 잔해 때문에 임무를 제대로 마치지도 못했고 함께 한 동료들은 대부분 잃는다. 그녀에게 남은 건 수다스럽고 밝은 동료 '맷 코왈스키(조지 클루니)' 뿐이었는데, 타고온 우주선도 망가지고 둘 다 살아 돌아가는 것조차 불가능해지고 만다. 맷은 임무 중 그녀에게 여러차례 말을 걸면서 '저 아래에서 네가 돌아오길 기다리고 있는 누군가가 있느냐' 라고 물었고 이에 라이언은 없다고 말한다. 딸아이가 있었는데 네 살 때 사고로 죽었다고. 맷은 둘다 살아 돌아갈 수 없다는 걸 파악한 순간 '너라도 살아 돌아가라'면 자신이 지구로 돌아가는 것을 포기한다. 그는 우주를 이 우주의 아름다움을, 우주에서 내려다보는 지구를 사랑했는데, 저 아래에서 자신을 기다려주는 사람도 있었는데, 그런데도 너라도 살아돌아가, 라며 그녀와 자신에게 얽혔던 끈을 풀어버리는 거다.
나는 이런 맷의 행동에서 이것이야 말로 '내적 동기' , '기여'로구나 생각했다.
얼마전 친구를 만났을 때 친구와 나는 함께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고 그 때 친구가 한 이야기 중에 내적 동기가 있었던 거다. 외적 동기는 외부의 동기로 무언가 성취하고자 하는 것이고 내적 동기는 기여하고 싶은 마음으로 성취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이를테면 '설거지 하면 만원 줄게' 는 외적 동기가 될 것이고, '설거지를 함으로써 이 집에 기여하고 싶다'고 행동하게 되는 것은 내적 동기에 의한 것이라는 거다. 친구는 이걸 내게 말하면서 자신이 보았던 영상을 소개해주었다. 공유해본다.
지나영 교수가 지적한 건 현재 우리의 교육이었다. 공부 열심히 하면 서울대 갈 수 있어, 서울대 가면 대기업 갈 수 있어, 대기업 가면 연봉 높을 수 있어, 하는 외적 동기들만이 지금의 젊은 사람들을 움직인다는 것. 그러나 그런 식으로는 그 사람이 더 행동하게 할 수 없다는 거였다. 기여하고 싶다는 내적 동기로 움직여야 하는데 자꾸 외적동기를 주기만 하면 내적동기가 다 사라져버린다고. 결국 사회에 나가서 외적 동기 없이는 행동하지 않는 사람이 된다는 거다.
나 역시 동의하는 바, 지나영 교수는 이 내적 동기가 충만하면, 그러니까 내가 뭔가를 알고 싶고 기여하고 싶어서 행동하기 시작하면 그 작은 기여가 좀 더 큰 기여가 되고 결국 다른 사람들을 위해 행동하고 싶어지며 그러다가 자기 초월로 넘어가게 된다고 얘기했다.
이 영상을 본 뒤에 내가 본 그래비티 에서 맷은 자기 초월의 상태였다는 생각이 들었다. 세상을 아름답게 보고 사는게 즐거운 사람인 맷이, 지구에 돌아가는 일을 라이언에게 양보한다. 라이언은 임무를 맡기 전 했던 비상 탈출 훈련에서 항상 실패했었다고 말하는데, 끊임없이 용기를 주는 것도 맷이다. 너 할 수 있다고, 너는 살아 돌아가야 한다고. 자기는 살아돌아가지 못할거면서도 다른 사람의 삶을 격려하고 응원해주는 맷은 그야말로 자기 초월의 상태가 아닌가.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어떻게.
자, 이제 라이언은 혼자 남았다. 기어코 우주정거장의 소유즈 탑승에 성공하지만 그마저도 오래 가지 못하고 그렇게 중국 우주정거장의 우주선에 탑승하게 된다. 자, 나는 이제부터가 경이로웠다.
라이언은 삶에 큰 재미가 없었다. 딱히 살아야 할 이유도 없었다. 혼자서 딸아이를 키우고 있었지만 그 딸마저 잃은 상황이었다. 저 지구에서 네가 돌아오길 기다리는 사람이 있니? 라는 말에 아무도 떠올릴 수 없는 사람이었다. 우주에서의 임무는 실패했고 동료들은 죄다 잃었다. 그런 그녀가 지금 가장 하기 쉬운 선택은 '삶을 포기하기' 아니었을까. 삶을 포기하기는 쉬웠을 거다.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로 있으면 됐을 테니까. 실제로 그녀는 살기를 포기하려고 산소를 없애는 우주선 안의 버튼을 누르기까지 한다. 버튼 하나면 살아나가고자 하는 애씀으로부터 도망칠 수 있다. 자식을 잃은 고통으로부터도 벗어날 수 있다. 동료를 잃은 슬픔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 자신을 둘러싼 이 모든 외로움과 고통과 우울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그저 버튼 하나 누른 채로 눈 감고 있으면 되는 것이었다. 그렇게 삶을 포기하려던 그녀는 자신을 살리고자 했던, 격려했던, 응원했던 맷의 말들을 떠올린다. 나는 탈출 훈련에서 항상 실패했었는데, 하는 떠올림도 맷의 말들 앞에서는 부질 없는 것이었다. 할 수 있는 것, 별 것 아닌 것이 되었다. 그래서 그녀는 삶을 '포기하기' 대신 삶을 '지속하기', '계속 가기'를 선택한다. 삶을 지속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었다. 일단 그녀는 자신이 읽지 못하는 중국어로 쓰여진 많은 버튼들을 눌러 시도해야 했고, 배운 것들을 떠올려야 했고, 지구에 계속해서 통신을 시도해야 했다. 살기를 선택한 순간 그녀가 시도해야 할 것, 기억해야 할 것, 행동해야 할 것이 많아지는 것이었다. 살기를 선택하는 순간 지금 그녀 앞에 닥친 건 극도의 애씀 이었다. 그녀가 애를 써야만, 기어코 애를 써야만 사는 일이 가능해질 터였다.
나는 삶을 사랑하고 살기를 선택할 것이라고 늘 생각하는 사람이지만, 그러나 라이언이 닥친 상황앞에 어떤 선택을 할지는 나 역시 닥치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일이었다. 우주 미아가 되어버렸다, 통신은 두절되어 버렸다, 내가 조작해야 할 우주선은 읽을 수 없는 언어로 써있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다, 지구로 내려가봤자 나는 혼자다, 내가 계속 살아야 하는가, 내가 살기 위해 애써야 하는가를 스스로에게 자문하면서 내리는 결정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기'일 수 있을까. 그 선택은, 살고 싶은게 인간의 당연하고도 기본적인 본능이라 해도 쉽지 않을 터였다. 가만 있는 것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훨씬 쉽고 간단하잖아. 살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애씀이 필요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을 선택한다는 것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가.
나는 라이언이 기어코 살기를 선택해서 애를 쓰는 게 경이로웠다. 그녀가 시도를 하고 이제 도킹도 해제되고 어쨌든 이 작은 우주선이 움직이기 시도했을 때, 그녀 앞에 남은 결과는 두가지였다. 그녀의 시도가 성공해서 계속 살게 되든가 아니면 실패해서 살지 못하든가. 그녀는 이제 결과만 앞에 둔 상황에서 웃는다. 자신의 애씀을 후회하지 않는다. 애를 썼기 때문에 후회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그녀는 결국 두 발로 단단한 땅을 밟게 된다. 내내 둥둥 떠다니다가. 그렇게 둥둥 떠다니기 전에 밟아본 적 있던, 숱하게 밟았던 땅이지만, 그러나 지금 밟는 이 땅은 그전보다 훨씬 단단할 터였다. 아니, 그녀의 근육이 더 단단해진 것일테지. 나는 그녀가 기어코 애를 써서 살기를 선택했다는 것이 경이로웠다. 너무, 너무, 너무, 너무 좋았다.
전 인류가 바이러스로 사망해서 덩그러니 '로라' 혼자만 남았던 책, '케빈 브록마이어'의 《로라, 시티》가 떠올랐다. 로라, 시티 는 로라 혼자 남아 그동안 살았던 일들과 과거의 사람들을 계속해 기억해내는 거라면, 그래비티에서의 라이언은 앞으로의 삶을 위해 지금을 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