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실 기담문학 고딕총서 7
이즈미 교카 지음, 심정명 옮김 / 생각의나무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처음 읽은 일본 소설이라면 [설국] 일 터인데, 아마도 그 때 나이는 열둘. 그때까지 읽은 다른 소설들과는 다른 느낌에 가슴이 미어지는 기분이 들었던 것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 이후로 15년간 잡다하게 많은 것들을 읽으면서 잊고 있었던 그 때의 기분이, 이 책 한 권에 그대로 돌아오는 것을 느꼈습니다. :] 말로만 듣던 [코야히지리高野聖]를 한국어로 처음 읽는다는 흥분 탓에 좀 자신을 잃어버리지 않았나 싶기도 했어요. 썩 눈에 익은 문장은 아닙니다만 번역에서 그 질감을 내버려둔 선택이 좋았다고 해야겠습니다. 원문도 (어지간히 막 하지 않는 한) 번역한다고 해서 그 성격이 많이 바뀌거나 아름다움이 사라질 종류의 문장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만 전체를 읽어본 것은 아니라 정확히는 모르겠군요. 수록되어 있는 매 편에서, [설국]은 아닙니다만 역시 가와바타의 소녀, 노천온천 위로 떠오르던 카오루의 어리고 매끈한 나신이, 혹은 그것이 상징하는 기억이나 감각이 떠올라 얼굴이 확확 달았습니다.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高野聖]는, 이야기 자체가 그 여주인공의 몸매와도 닮아 있었습니다. '이런 여자의 땀은 연분홍빛이 되어 흐르겠지'로 대표되는 종류의 매혹, 풍성하고 숨막힐 듯이 아름다운 관능으로 가득 찬 작품이었어요. 달아오른 더위와 마물이 사는 산, 이야기 초반에 등장하는 지명들은 저도 수박 겉핥기로나마 슬쩍 들러본 적 있는 곳들이라 그 고갯길의 여름 풍경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입가에 야릇한 웃음이 감돌 지경이었고요. 이즈미 쿄카의 시대와는 그럭저럭 세 자리수 단위의 차이가 나기는 하겠습니다만... 별 맥락 없이(나중에 약간의 연고가 밝혀지기는 합니다만) 그저 제 3자의 입으로 묘사되는 '아가씨'의 능력 이야기에는, 말이 아주 통하지 않는 것은 아니되 우리와 꼭 같다고는 할 수 없는 존재와의 소통이 담겨 있어서, 거기서 자연스럽게 [아라비안 나이트]의 마신과 같은 세계공통의 것들이 떠오르기도 하고 만화 [유리가면]에서 얼핏 본 홍천녀의 면면들이 떠오르기도 합니다. 거기에 적절히 긴장을 풀어 주는 자연스러운 유머가 섞여, 인간미마저 더해 주고요. 그러나 어쨌든 저런 유머로 숨 돌릴 틈을 주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관능적입니다. '소매를 치켜들면 비도 내리고 눈썹을 펴면 바람도 불지' 등의 서술이 담고 있는 심상은 실로 오싹할 정도예요.

 나머지 단편들은 저만큼 황홀하지는 않았습니다만 나름 모두 매력이 있었습니다. 표제작인 [외과실]은 비정상적이고 기괴한 상황에서 오는 긴장감과 그 이면의 부연 설명이 짜릿합니다. 저는 과연 이런 종류의 단편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어요. :] 실은 그 해명이란 것도 피상적이기 짝이 없어, 읽는 사람의 상상력을 미친 듯이 자극합니다. 단순히 초반 외과실의 기이한 분위기만을 언급하는 것보다는 이런 의미에서 이 소설이 자극적이라고 말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외과실] 뿐만 아니라 [눈썹 없는 혼령]도 [띠가 난 벌판]도, 섬세하게 분위기를 끌어올려 갑작스런 파국에서 거침없이 떨어져 내리는 점이 훌륭합니다. [高野聖]는 비교적 탐미(랄까 제 주위 식으로 말하자면 쾌락)외길에 가까운 것 같지만 이것들은, 결정적인 부분에서 한껏 탐미하기 위한 나머지 부분의 튜닝이 대단해요! 시대나 배경이 좀 낯설지라도 과히 적응하기가 어렵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여러 사람에게 영향을 주었을 작가이다 보니, 우리는 다른 미디어를 보는 동안 어떤 식으로든 이런 분위기에 익숙해져 있으니까요.

 위에 쓴 바와 같이, 내용은 무척 훌륭했습니다만 책의 구성에 대해서는 불만이 좀 있습니다. 저는 생각의나무의 '기담문학 고딕총서' 시리즈에 상당히 호의를 품고 있습니다만...이 책의 경우에는 도저히 찬성할 수 없네요. 표지는 물론이고 사이사이 끼어 있는 그림들이, 내용하고 아무런 상관이 없을 뿐더러 예쁘지도 않잖습니까. 도대체 왜 넣었는지 의도를 모르겠어요. (20080116)


댓글(7)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만두 2009-02-24 15: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 그림이 참 의문이었습니다.

eppie 2009-02-25 09:47   좋아요 0 | URL
지금까지 들은 가장 그럴싸한 이론은 "일본 문화에 매우 낯선 사람들을 위해서 분위기를 맛이라도 보라고, 혹은 기모노의 구조에 대해서 감이라도 잡으라고"였는데...이것조차도 서글퍼요. ;ㅁ; 진실은 저 멀리...

mooni 2009-02-25 0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설국을 열두살에...;; 상당히 조숙한 독자셨네요. ^^)
내용과 상관없고, 예쁘지도 않은 그림들... 편집의 맥거핀일까나요. ㅎㅎ 이 책은 제목이 영 재미없게 들려서 볼까말까 하던 책인데, 리뷰가 뽐뿌질을 해주는군요. ^^

eppie 2009-02-25 11:16   좋아요 0 | URL
웃, 방금 든 생각인데 역시 페이지 수를 불리기 위해서가 아닐까요.
하지만 좀 다른 선택도 있었을 텐데...차라리 선이 굵은 우키요에라든지요. 저 책의 그림들은 다들 관광상품용 일러스트 같아요. 거울 뒷면에 들어가고 라이터에 들어갈 거 같은...ㅜ.ㅠ

[설국]은 아마 그 시절에 보고 으아, 어른의 세계...하고 생각했기에 향후 10년간 가장 좋아하는 소설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 하긴 생각해 보면 제 인생 첫번째 소설은 [오리엔트 특급 살인] 이었죠. 여섯 살 때였고...범인 맞췄어요. -_-; 역시 어린애보다 어른이 속이기 쉬운 거예요!

라로 2009-02-27 13:36   좋아요 0 | URL
어머머, 전 6살은 아니었고 9살쯤 이었던듯~.
저도 범인 맞췃다요~~~.찡긋

이 책은 정말 제목이 그래요~.ㅎㅎㅎ
원작의 제목도 같은가요?????

eppie 2009-03-10 1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nabi님, 하이파이브라도. ^^;
[오리엔트 특급 살인] 말씀이시라면...진짜로 그런 제목이에요. [Murder on the Orient Express]

라로 2009-03-14 22:34   좋아요 0 | URL
아니요,,,외과실이라는 책이요~.ㅎㅎㅎ
 
완역 생활의 발견 범우비평판세계문학선 15
임어당 지음, 김병철 옮김 / 범우사 / 1999년 4월
평점 :
품절


-고백컨대 저는 어린 시절 이 책의 9장의 일부로 추정되는 발췌문을 읽고서 이 책에 막연한 동경을 품고 있었다 해야겠습니다. 진짜로 읽게 되게까지는 정말로 아득한 시간이 걸렸는데, 머리 속을 픽션으로 채우느라 바빠 어지간히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면 수필을 일부러 찾아서 읽지 않는다는 암묵적인 룰 같은 것을 설정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제 와서 읽게 된 건 절반쯤은 무라카미 하루키도 읽어버린 터 딱히 가릴 게 있나 싶기 때문이요, 절반쯤은 [홍루몽] 병이 도져 또 읽고 싶은 기분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그 [홍루몽] 병이 가깝게는 이 [생활의 발견]으로, 멀게는 보르헤스의 [픽션들]로 저를 끌고 갔던 것인데, 저 두 가지를 읽고 나니 한층 보고 싶은 생각이 더해 곤란한 상황입니다.

Lin Yutang (1895-1976)
photographed by Carl Van Vechten, 1939


 한국에 임어당林語堂이라는 표기로 더 잘 알려진 린위탕은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신학으로 대표되는 서양식 교육을 받았고 후에는 미국과 독일에서 유학생활을 한 사람입니다. 사물을 보는 그의 눈은 확실히 서양식에 가깝고 실제로 중국에서는 한동안 서양 잡것 취급을 받기도 했지요. 그의 [My Country and My People]이나 [생활의 발견]은, 중국으로 *돌아온* 린위탕이, 서양인의 눈으로 중국을 재발견하고 쓴 글입니다. 어린 시절 '중국 신파를 보는 것도 금지당했으며, 중국 악사의 노래를 듣는 것도 절대로 허용되지 않았'으며, '중국 민족의 전설이나 신화와도 완전히 차단되어 있었던' 그는 라프카디오 헌이 일본에 반했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중국과 사랑에 빠지고 맙니다. 그 자신의 표현을 빌리자면 '동방의 동화의 나라로 간 서양의 아이처럼', 기쁨에 들떠 동양으로 돌아왔던 것이고, 그가 받은 서양식 교육은-폼페이를 덮어 묻었던 베수비오 화산처럼-다시 발견될 때까지 중국의 문화를 덮어두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이 책의 내용은 보편적인 중국인의 머리 속보다는 린위탕 개인의 머리 속에 더 가까울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바꾸어 말해, 이렇게 생각하는 중국인이 그 당시라고 해서 그렇게 많지는 않았을 것 같다는 이야기입니다. 린위탕은 '중국인의 눈으로' 미국인의 느긋하지 못함을 비판하고 있지만 이야기가 깊어지면 나만의 세계로 흘러가기 일쑤입니다. YMCA의 서기와 야구 선수를 겸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은 단순히 당대의 역사적 사실일 수 있겠지요. 그러나 악수 이야기를 하면서 그 사실을 굳이 지적하고 마는 것이 바로 이 린위탕이라는 남자의 귀여움을 말해 주는 부분 되겠습니다. 
 

샹하이 게Chinese mitten crab
(사진 : J. Patrick Fischer )   

 이것은 오로지 개인적인 취향일 지도 모르겠으나, 린위탕은 정론에 가까운 것을 펴려고 할 때보다 취향에 가까운 것을 이건 좋고 이건 싫고 하며 손꼽아 옹알거릴 때가 훨씬 더 매력적입니다. 물론 그는 어디까지가 취향이고 어디까지가 사상인지 구분하기 힘들 정도의 풍류인입니다만... 이 책은 그런 사상과 그보다 조금 적은 취향과, 약간의 자기모순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장은 물론 앞에서도 말했듯이 제 9장 '생활의 즐거움' 으로, 이 챕터는 의자와 차와 담소와 담배와 향, 술과 주령을 거쳐 다량의 게(蟹) 이야기로 흘러들었다가 '중국인은 먹을 때가 진짜배기다' 라는 주장을 하고 양복의 해악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아무튼 앞에 열거한 것 중에는 무엇 하나 제가 탐하지 않는 것이 없어서, 대호다당(大好茶黨) 운운하는 이립옹의 말에 코웃음을 칠 수도 있는 지경인 것입니다.

 결국 원전이 어느 쪽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번역은 일본어판을 꽤 의존하고 있는 기분이 듭니다. 9장이 가장 마음에 듭니다만 10장 '자연의 즐거움'의 추부秋芙와 운芸에게 바치는 글의 인용문에서는 모처럼 콧등이 찡할 만큼 아름다운 것을 보았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저도 작가처럼 이 운이라는 여성이 중국문학에 등장하는 가장 아름다운 여성일 것만 같은 생각이 듭니다. 그 외에 이 책에서 얻은 것이라면 올발이라는 한자어인데 찾아봤더니 마르멜로 올에 마르멜로 발이라고 해서 좀 할 말을 잃었습니다.

Trivia
1. 아래는 린위탕이, 황산곡의 기준으로 서구 문인 중에서 가장 아름답다고 꼽은 '사상이 약동하는' 얼굴의 주인공입니다.

G. K. Chesterton (1874–1936)

과연.

2. 이런 중국인은 다 어디로 간 걸까요, 하고 탄식했더니 아는 분이 "문화혁명이 있었잖아요" 라고 답하시더군요. 슬퍼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