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에 유익한 음식을 다양하게 먹고, 주당 일하는 시간도 상대적으로 짧으며, 전염병도 드물었으니, 이를 두고 많은 전문가는 농경 이전 수렵채집 사회를 ‘최초의 풍요사회‘라고 불렀다. 하지만 그렇다고 고대인의 삶을 이상적인 것으로 그리면 실수일 수 있다. 이들이 농업 및 산업 사회 사람 대다수보다 더 나은 삶을 영위하긴 했지만, 그럼에도 삶은 거칠고 힘든 것이었다. 고난과 결핍의 시기가 종종 닥쳤고, 어린이 사망률이 높았으며, 오늘날 같으면 사소했을 사고가 쉽게 사망선고로 이어질 수 있었다.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떠돌이 무리 내에서 두터운 교분을 향유했겠지만, 무리 내에서 적개심이나 비웃음을 받는 사람들은 끔찍한 고통을 겪었을 것이다.˝
˝인지혁명에 뒤이어 뒷담화이론이 등장한 덕분에 호모 사피엔스는 더 크고 안정된 무리를 형성할 수 있었다. 하지만 뒷담화에도 한계가 있었다. 과학적 연구 결과 뒷담화로 결속할 수 있는 집단의 ‘자연적‘ 규모는 약 150명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150명이 넘는 사람들과 친밀하게 알고 지내며 효과적으로 뒷담화를 나눌 수 있는 있는 보통 사람은 거의 없다.
심지어 오늘날에도 인간으로 이뤄진 조직의 결정적 임계치는 이 마법의 숫자 근처 어딘가에 있다. 이 임계치 아래에서는 공동체, 사업체, 사회적 네트워크, 군대 등 모든 조직이 친밀한 관계와 소문 퍼트리기를 주된 기반으로 삼아서 유지될 수 있다. 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 공식 서열, 직함, 법전이 필요하지 않은 것이다.˝
-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인지혁명˝ 중
수백 명이 모여 가짜 뉴스를 퍼뜨리고 즐긴다는 박사모 단체 카톡방도 호모 사피엔스적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국가라는 공동체 의식, 애국심도 마찬가지. 그들이 보통 사람들이 아닌 건 사실이다.
나는 15명도 버겁다. 친밀에 열성을 쏟느니 책을 펼치겠다. 네트워크 속 유대 형성들은 실질적 생존의 문제보다 심리적 인정 욕구에 더 가깝다고 생각한다. 경쟁하고 무시하고.... 인간은 왜 이렇게 서글픈 감정 시스템이 많은가. 차라리 눈을 감고 멸종하자. 내 안의 네안데르탈인 독거 DNA여, 똑똑))
˝슬프고 우울한 표정에 납작한 코˝를 가진 호모 에렉투스가 아프리카에서 아시아에 도착했을 때 아마 더 슬프고 우울한 표정이었겠지. 요즘 한국 사람들은 6.25 즈음의 사람들 표정 같다.

(소요시간 :1시간, 재료, 연필, 파스텔, 색연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