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파란여우 > 허풍선이 이치로씨, 나도 국민을 관두고 싶어요.
-
-
남쪽으로 튀어! 1 ㅣ 오늘의 일본문학 3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06년 7월
평점 :
오쿠다 히데오의 책표지는 그의 문체처럼 ‘딱’ 떨어진다. 이건 이거고 저건 저거다. 한 컷으로 보여주는 표지의 강렬한 시선은 국민연금을 의무적으로 납부하지 않기 위해서 기꺼이 국민을 포기하겠다는 우에하라 이치로의 도발, 그 자체다. 사실, 이 남자는 도발적이라기보다 위험하고 불안정한 인물이다. 태어날 때부터 ‘의무와 권리’장전에 등록되는 일을 지배층과 피지배층으로 국가/국민을 분리하는 발상부터 보라. 공무원을 두고 ‘체제에 빌붙어 사는 개’라고 단정하는 대목에서는 벌써 ‘빨간 조짐’이 보인다.
“나는 관청이 싫어”, “그렇다면 나는 국민을 관두겠어”, “학교에 다니기 싫으면 다니지 마라”, “콜라와 캔커피는 미국 제국주의의 산물이다” 아들의 담임이 가정방문을 하는 와중에 “학교 조회시간에 애국가 제창을 하기 싫으면 거부할 수도 있다”고 말하는 이 수상쩍은 아버지의 직업은 ‘프리 라이터’다. 글이라고는 쓰는지 안 쓰는지 거실에서 콧구멍만 쑤시며 늘어져서 사는 무위도식의 가장이 도대체 왜 툭하면 ‘국가’의 존폐에 관한 주제를 물고 늘어지는 건가. ‘베스트셀러’를 내서 가족을 편안하게 만들겠다는 허풍쟁이. 자신의 가정경제조차 책임지지 못하는 인물이 국가의 위악이 어쩌고 논할 자격이 있는가. 나는 책을 읽는 내내 발칙하게 끝나는 간결한 문체에 마치 내 허파에 팽팽한 풍선이 턱하니 빵빵하게 차지한 것처럼 기가 찼다. 주어의 생략과 성장통이라는 소재를 배경으로 삼은 성장소설의 특징은 ‘교훈’의 출연이다. 주인공 아이에게 서정적인 감성으로 성장통이 접근했다면 오쿠다 히데오가 만든 성장통은 부르주아의 낭만에 빠질 여력을 주지 않는다. 얼마나 빡빡하게 구는지, 가난한 가정환경을 잠깐 훑는 것처럼 보여 주더니 곧장 학원폭력으로 뻗어간다. 하급생의 농구공을 강제로 뺏는 중학생 깡패 가쓰는 힘의 우월감을 과시하는 협박과 공갈의 상징인 무단정치를 상징한다. 고사리 주먹은 커서 '국가의 주먹'이 된다.(정치깡패, 관용깡패는 어느 날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지지 않는다)
가쓰=국가의 폭력, 무력하게 농구공을 뺏기는 나약한 준=국가 권력의 횡포 앞에 무너지는 개인의 무기력이다. 이 대입은 이 책의 뛰어난 장점이며 동시에 오버한 부분이기도 하다. 여기에는 열두 살 아이의 복잡다단한 성장통이 국민으로 편입되기를 거부하는 ‘몰상식하고, 개똥같고, 수상쩍고, 난감한’ 아버지의 존재에 묻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소설의 성격은 성장소설이라고 하기에는 주제가 크고, 아니라고 하기에는 아이가 주인공이므로 난감하다. 너무 오래 학원폭력을 대입한다 싶은 부분에서는 적절한 새인물이 툭 튀어 나왔다. 아키라 아저씨의 설정은 기존의 문학관에서 단골 출연한 예다. 새삼스러울 것이 없지만 예상 가능한 결말을 남기고 아키라 아저씨의 역할은 잠시 정지되었다. 이쯤 되면 결말도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문사의 문화부 기자들이 쓴 미디어판의 평판은 한결같이 “대단히 흥미로운!”으로 귀결됨을 발견한다. 독자들, 특히 인간이 누릴 수 있는 단어를 모두 동원한 듯 한 장편에 길들여지지 않았거나, 작가 김훈의 지적처럼 ‘복잡하고 생각을 깊게 요하는 글을 거부하는, 또는 능력이 되지 않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세대들에게는 거의 핵폭발의 위력으로 평가 받고 있다. 속도전으로 몰입하는 빠른 진행이 일등공신이다. 아이들의 폭력과 국가의 폭력을 적절히 왕복하며 사용한 비유도 흥미로웠고, 그 중 가장 뛰어난 인물은 쿠바의 카스트로와 나란히 사진을 찍은 아버지의 정체다. 수상한 과거를 의심받던 엄마는 ‘역시나!’ 성공한 자본주의가문출신이다.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 전복을 꿈꾸는 혁명가 집단과 미나미 선생같은 중간 제도권자등 국민구성원의 총출동이다. 그래서일까. 소설은 내내 왕왕 시끄럽다. 도쿄 뒷골목가의 그 이층 다다미집엔 사건사고도 많지!
1권이 끝나가는 무렵에 서둘러 남쪽으로 짐가방을 꾸리는 가족의 모습에서 2권의 내용은 벌써 머릿속에서 찰칵댄다. 큰 그림으로 볼 때 오쿠다 히데오의 책은 새로울 것이 없다. 그럼에도 그의 책이 갖는 위험성은 그것의 목소리가 ‘국가’를 향해 내리꽂고 있다는데 있다. 거대권력을 경쾌발랄하게 쫘르륵 내려 휘갈기는 짧고 경쾌한 문체는 얄미움을 넘어서 귀엽다. 계층간의 분화를 구도화해서 보여주는 이 책을 두고 ‘만화’적 기법을 차용한 명랑만화라고 말한다면 무리일까. 왜 우리는 국가를 그토록 심각하고 심란한 발음으로 논해야 하는 건가. 고로 이 책은 '국가'라는 거대단어에 대한 문체의 전복이다. 국가주의를 종교로 삼는 일본에서 “개인 단위로 생각할 줄 아는 사람만이 참된 행복과 자유를 손에 넣는 거얏!”-(328쪽)라는 무정부주의자 우에하라 이치로씨의 남쪽 행에 나도 슬며시 합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