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위화 지음, 백원담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가끔은 내가 행하는 모든 것이 무의미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읽은 책들이 꽂혀있는 책장 속의 책을 보면서도, 즐거울 것만 같은 여행계획을 짜다가도, 무던히 열심히 일을 하다가도 그런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그것은 일체의 실망감과도 다르고, 정처없는 무기력감과도 다르다. 미적분을 열심히 공부하던 수학 수업시간에 이거 배워서 어디다 쓰나?고 생각하는 것과 같은 뜸금없는 좌절감이랄까? 여기에 나만 그런가?라는 생각은 망망대해에 홀로 떠 있는 듯한 외로움으로까지 몰아붙인다.

인간의 근본적 외로움이라는 것은 희망하고 갈구했던 것들을 이루지 못해서 오는 실망감에서 보다는 그것을 향한 자신의 의지의 종말을 목도할 때 불쑥 튀어나온다. 무의미하던 인생이라는 카드의 패를 하나씩 뒤집어 놓는 것에 대해 불안하고 조심스러워지는 것이 이런 때가 아닌가 싶다. 그러나 무의미가 유의미가 되는 것도 카드 뒤집는 것만큼 단순한 일이다.

주인공 '복귀'는 노름판을 찾아와 집으로 가자며 무릎 꿇고 빌던 아내 '가진'을 두들겨 패 내쫒고 결국 대대로 물려 온 가산을 탕진하고서야, 아니 어쩌면 평소 불한당처럼 욕을 보였던 장인이 아내 '가진'마저 앗아갔을 때 비로소 무의미했던 삶이, 살아가야한다는 태생의 무게로 지워져 있음을 느꼈을지도 모른다. 아들 '유경'과 딸 '봉하'를 보낼 때도.

무엇이 의미가 있는가? 무엇으로 행복한가? 왜 살아가는가?

비록 사람따라 수 만 가지의 대답이 있겠으나, 부모의 힘으로 커가고 머리가 굵어 결혼하고 자식놓고 바쁘게 살아가다 하나씩 둘씩 가까운 인연들을 떠나보내는 것은 인간 대부분이 겪는 보편적 인생행로이며, 왜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대답의 보따리다.

위화의 <살아간다는 것 (活着)>은 중국혁명과 대약진운동, 문화대혁명을 관통하는 시기에 농민으로 몰락한 지주의 삶을 그린 소설이다. 그러나 이것은 너무나 도식적인 설명이고 내게는 사랑하는 이들을 떠나 보내고도 견디어 살아가야 하는 인간의 근본적 외로움 속에서 삶의 의미를 짚어준 눈물어린 슬픈 글이다. 이제까지 읽은 위화의 글이 그렇듯 인간의 삶이라는 긴 여정이 주인공이지 역사는 인간 삶의 변수일뿐이다. 그럼에도 글은 역사와 괴리되지 않고 개인의 삶의 질곡을 역사 속에서 투영하고 풍자하고 관조한다. 위화의 글에 빠져드는 이유이다.

글쓰는 과정에서 작가는 깨달았다고 한다. 사람은 살아간다는 것 자체를 위해 살아가는 것이지, 살아가는 것 이외의 어떤 것을 위해 살아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늙은 노인 복귀와 또 다른 복귀인 늙은 소처럼, 이미 태어나 짊어진 짐같은 인생을 어느날 불현듯 덤으로 더 살고있다고 느껴질 때, 그 때면 나도 이런 글 하나 쓸 수 있을까?

** 내가 읽은 책의 제목은 리뷰에서처럼 <살아간다는 것>이었으나, 리뷰를 올리는 시점에서는 절판이 되었고, 이 소설을 영화화한 <인생>을 소설의 제목으로까지 바뀌어 새로운 책이 출간되었나 봅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08-01-07 1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들의 이름이 '유경'이로군요. 흐음.

dalpan 2008-01-07 10:26   좋아요 0 | URL
다락님 땜에 아침부터 웃었습니다. 하하하.. 어찌그리 콕 찝어낸대요.

다락방 2008-01-07 13:55   좋아요 0 | URL
쉿!
이러다 다른사람들도 제가 무슨말 하는지 알면 어떡해요.
훗 :)

프레이야 2008-01-22 06: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살아간다는 것'으로 읽었어요.
짐 같은 인생을 덤으로 더 살고 있다고 느껴질 때, 와닿는 표현이에요.
늙은 촌부 복귀와 그의 소, 사람은 그렇게 '덤'과 동행하며 사나 봅니다.
굿모닝 달판 님^^

dalpan 2008-01-22 12:12   좋아요 0 | URL
이른 아침부터 오셨네요. 잘 지내시지요?
석양지는 나무그늘에 늙은 촌부와 늙은 소 한마리.
참 흔한 장면일듯한데 그게 그렇게 사연이 많더군요.
사람 인생이라는게 그래서 다 소중한가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