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못 읽는 남자 - 실서증 없는 실독증
하워드 엥겔 지음, 배현 옮김 / 알마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알렉시아 사이니 아그라피아(Alexia sine agraphia) 

    즉, '실서증 없는 실독증'. 이렇게 풀어도 어렵다.
    그냥 확 까발려서 쉽게 말하자면, 글을 쓸 수는 있는데 읽을 수는 없는 상태란다.
    후두엽의 특정한 피질, 뇌의 시각 영역이 손상되어 읽는 능력이 상실되는 아주
    드물고 특이한 병이다.

    이 책의 작가, '하워드 앵겔'은 10여권의 탐정소설을 쓴 작가다.
    책에 대한 욕심이 많고 읽을 게 없으면 시리얼의 광고까지 읽을 정도로,
    1주일에 10권의 책을 읽는 독서광이다. '인쇄되어 있는 모든 것에
    중독되어 있는 환자'라고 스스로를 지칭할 정도로 그는 '읽기'와 '쓰기'가
    자신의 천직이자 삶의 모든 것이라던 남자.
    그저 독서를 좋아할 뿐인 일반인들도 어느 날 갑자기 저런 웃기지도 않는 병에
    걸리면 미칠 지경인데 글을 쓰는 작가인 그에게는 사형선고나 다름 없었다. 

    방금 전에 나도, 내가 쓴 윗글을 다시 읽으면서 어색한 문장 하나를 고쳐 썼다.
    그렇다.
    글쟁이에게는 꼭 필요한 부분, 자신이 쓴 글을 다시 읽고 교정 혹은 수정을 하는
    퇴고의 과정을 하워드는 할 수가 없게 된 것이다.
    이 무슨 짖굳은 신의 장난인가. 

    그가 어느 날 - 그러니까 저 이름도 긴 병과 만난 날 - 아침,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마당에 떨어진 신문을 주으러 나갔었다. 늘 보던 신문인 것은 알겠는데 왜 그런지
    글자의 뜻을 알 수가 없었다. 마치, 뜻 모르는 외국어를 보는 듯한 지독한 낯설음.
    눈 앞에 펼쳐진 활자가 알파벳인 것은 알겠는데 도대체 이게 무슨 단어들이며 무슨
    문장들이란 말인가. 친구들이 장난을 쳤나? 생전 본 적도 없는 어느 나라의 글자인가? 

    그는 단어를 읽을 수도 뜻도 알 수가 없었다. 심하게는 자신의 이름과 나이, 주소까지도
    기억나지 않았고 종종 주변 인물들을 기억해내는데 상당한 고생을 해야만 했다.
    그도 모르는 사이 그는 뇌졸증을 앓았다는 진단을 받는다. 다른 증세도 아니고 작가에게
    글을 읽지 못하는 병이라니. 실제로 그는 본문에서 독자에게 죄송하다고 서술했다.
    자신은 퇴고를 못하므로 글이 어색할지도 모르기에. 

    그는 약 3개월에 걸쳐 병원과 재활원 치료를 받으면서, '반드시 다시 읽어 보이겠다'라는
    악착 같은 고집과 열성으로 글자 스펠링의 한 자 한 자 읽어내려고 노력을 했다.
    나처럼 컴퓨터로 열심히 글을 써도, 그는 바로 직전에 자신이 쓴 글을 읽을 수가 없었다.
    친구들이 자신의 글을 읽어주면 그걸 듣고 내용을 기억해서 어렵사리 수정을 해나갔다.
    거기다 그는 선천적으로 왼손이 기형으로 태어나서 오른손 만으로 타자를 쳐야 한다.
    그가 어떻게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했는지.
    글을 읽을 줄 모르는 자가 어떤 각고의 노력으로 다시 이렇게 책으로 독자들을 만났는지의
    긴 여정을 보여준다. 동시에 '실서증 없는 실독증'을 앓게 된 뇌졸증 환자의 고통이 어떠
    한지도 생생히 보여준다.  

    솔직히, 나는 책의 앞,뒷면의 홍보글을 보고, 자신의 경험에 비춘 '책 못 읽는 남자'의 소설
    인 줄 알았다. 그래서 중간에 조금 실망은 했지만 그가 자신이 지금까지 썼던 탐정소설의
    주인공인 '베니 쿠퍼맨'을 내세워 저 병을 앓은 채 사건을 풀어가는 새 소설이 나왔다고
    하니 조금은 마음이 놓인다. 

    나는 읽는 내내 너무나 무서웠다.
    마치 그 책이(용기 내어 책을 낸 하워드에겐 미안하지만) 무슨 바이러스라도 되는 양 읽으면
    읽을수록 나도 그 병에 전염될까봐 전전긍긍하는 마음으로 두려운 기분을 끝까지 떨쳐낼 수
    없었다. 생각만 해도 끔찍했다. 혹시, 나도 저런 병에 걸리면 얼마나 큰 좌절을 느낄 것이며
    나의 유일한 행복인 독서를 못한다는 것은 소름 끼치도록 새까만 암흑에 떨어진 기분일 것이다.
    물론 책 읽어주는 사람을 고용하거나 오디오북을 이용해 시각이 아닌 청각을 통해 책을 읽을 수는
    있겠지만 그건 내가 원하는 것이 아니다. 하워드가 고집스럽게 다시 '눈'으로 읽기를 바랬듯이.
    눈을 통해 들어온 글자 개개들이 뇌에 전달되어 뜻을 찾고 의미를 부여하며 때로는 영상으로
    조합되면서 저장되는 그 경이로운 기분을 어떻게 버릴 수 있단 말인가.
    눈으로 맛보는 단어들의 - 이 세상엔 너무나 멋진 언어들이 많다! - 그 아름다운 형상을 뺏기다니.
    정말이다.
    저런 병을 피하기 위해 내가 좋아하는 담배를 끊으라면 당장 그 개비들의 허리를 동강낼 수도 있다.
    읽는 것 만큼 쓰는 것을(창작 활동을) 미치도록 좋아하는 나에게 형벌이 내린다면 저것만큼 끔찍한
    것이 또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나는 저 병이 무서웠다. 

    그래서 포기하지 않고 노력해서 작가의 길을 계속 걸어나가는 하워드 앵겔이 존경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