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강 격차 - 평등한 사회에서는 가난해도 병들지 않는다
마이클 마멋 지음, 김승진 옮김 / 동녘 / 2017년 9월
평점 :
이 책의 주제를 한 문장으로 말하면 ‘권력, 돈, 자원의 불평등이 피할 수 있는 건강 격차의 근본 원인이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 229쪽
신문(언론)의 리드는 기사의 첫 문장이다. 눈에 띄는 제목(핵심을 전달하는 단어와 사건의 요약이 아닌 자극적 황색 저널리즘의 낚시용 제목과 다른)과 부제에 이어지는 기사의 첫 문장은 삼각형으로 수박을 따보던 시절의 추억처럼, 탑-다운top down 방식으로 사건을 들여다보는 구조다. 역삼각형으로 디테일에 접근하는 방식이니 어디에서 멈춰도 기사의 핵심을 파악하는 데는 어려움이 없다.
책은 어떤가. 단 마이클 마멋은 건강 격차의 근본 원인이 권력, 돈, 자원의 불평등 때문이라는 한 마디를 던져 놓고 이 책을 시작하지는 않는다. 아니 어떤 책의 저자도 첫 문장에 목숨 거는 경우는 많지 않다. 소설이나 시의 경우는 조금 다르기도 하다. 우리가 기억하는 숱한 고전의 첫 문장을 사골처럼 우려먹으며 곱씹는 경우도 많지만 대개 한 권의 좋은 책은 유기체와 같이 부분의 합이 전체 볼륨을 넘어선다. 물론, 좋은 책과 나쁜 책의 기준도 각자 다르겠으나 일반적인 경우에 그렇다는 의미다.
책 첫머리에 붙은 의사의 추천사를 잠시 들여다보자. “건강의 문제가 단순히 의료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결정 요인의 문제라는 점을 일깨우는 책이기에 나이들수록 좁아져 가는 의과대학생들의 시각을 넓히는 광각렌즈 역할도 할 것”이라는 강영호의 추천의 말은 얼마나 나이브한가. 추천사에 시비 걸 생각은 아니지만 ‘나이들수록’이라니...의사라는 직업을 선택하는 학생과 학부모의 목적과 기대 혹은 현재 벌어지는 이기적 행태를 온 국민이 지켜보는 상황에서 그들이 가진 직업 윤리, 사회적 관점은 어렵지 않게 짐작 가능하지 않은가. 그래서 “건강은 의사들에게만 맡겨 두기에는 너무나 중요하다.”(43쪽)라는 저자의 일갈에 오랫동안 눈길이 머문다.
몸이 계급이다. 각자의 건강과 몸 상태가 직업, 소득, 교육 정도, 생활 환경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계급과 불평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굳이 통계를 통해 확인할 필요도 없다. 충분히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부자들이 건강하고 선진국이 오래 산다. 예를 들어, 2012년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전 세계 평균 기대수명 70세에 도달했다. 그러나 시에라리온(46세)과 일본(84세) 사이의 격차는 38년이다. 평균의 함정. 대한민국에서도 지역별, 소득별 격차는 굳이 확인하지 않아도 짐작할 수 있다. 건강 불평등은 결국 권력, 돈, 자원의 불평등을 증명한다.
인구, 교육, 취업, 주택, 연금, 노년 문제와 같은 맥락에서 개인의 선택과 노력 ‘탓’으로 돌리면 고민할 필요도 없다. 그렇다고 모든 게 구조적 모순이나 사회적 안전망과 복지로 해결 수도 없다는 걸 몰라서 이 책을 뒤적이는 독자도 없으리라. 그래서 저자는 근거 기반 낙관주의를 내세운다. 스스로 ‘낙관증, 선별적 청각장애증, 안구수분과다증’ 환자라고 주장하는 저자의 아재 개그는 심각한 내용을 중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상은 해석의 문제가 아니라 관점의 차이다. 소득 불평등과 건강 불평등의 원인을 해소하는 대신 격차를 공고히 하려는 정책과 이념들이 사회적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아닐까. 2008년 금융위기에 대처하는 아이슬란드와 아일랜드의 상반된 IMF 대처법에 관한 이야기가 이를 증명한다. 우리는 무엇을 바라보며 어디를 향해 걷고 있을까.
차례를 살펴보면 사회학 교과서와 다름없다. 공정, 평등, 교육, 노동, 노년, 지역공동체, 희망 같은 말들을 건강과 결합시켰을 뿐이다. 광범위한 주제와 근거 자료들로 인해 거대한 사회학적 보고서처럼 읽히지만 결국 공정한 사회(9장), 공정한 세계(10장), 희망을 조직하는 사회(11장)를 향한 기나긴 여정이다. 모임에 참석한 12명의 사회인의 관점도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사회계층적 경사면에 대한 원인, 상대적 박탈감, 여성 건강, 빈곤 지표에 대한 생각들이 조금씩 차이가 났다. 해법을 찾기 위해서는 문제를 인식하는 단계가 먼저다. 문제가 없으면 해결할 필요가 없을 테니까. 원인의 원인은 무엇인지에서 시작해서 의료 보험, 노인 빈곤, 의사 파업 등 우리가 사는 세상 이야기와 현실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야기가 오갔다. 3개월간 이어진 ‘몸/건강’에 관해 함께 걸으면서 나눈 이야기들은 또 어떻게 우리 몸에 그 흔적을 남겼을까. 그 과정에서 각자의 생각과 고민은 조금 풀리거나 증폭되거나 혼란스워질 것이다. 한 권의 책은 또 다른 책을 읽게 할 것이며 그 변화와 성장이 어제와 나와 조금 다른 나로 성장시키는 동력이 될 뿐이다.
저자는 지속가능한 발전에는 경제 ․ 사회 ․ 환경, 세 가지 균형이 필요하다는 말로 책을 마무리한다. 우리는 지속 가능한 건강과 지속 가능한 행복과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해 잘 살고 있을까. 잘 산다는 말의 의미가 서로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 그 다양한 차이가 또 다른 책으로 우리를 인도하는 게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