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험사회 (양장) - 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울리히 벡 지음, 홍성태 옮김 / 새물결 / 1999년 3월
평점 :
품절
올해 들어 나는 두 차례나 교통사고를 당했다. 첫번째는 가벼운 접촉사고여서, 수리비만 주고 해결을 했다. 두번째는 며칠전이었다. 앞에 가던 오토바이가 갑자기 차선을 변경하는 바람에 미처 피할 사이도 없이 부딪치고 말았다. 큰 사고였다. 지금도 나는 그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처음에는 나만 이런 일을 당하나보다 했는데, 이 정도의 교통사고는 사고축에도 끼지 못한다는 것을 알았다. 교통사고로 심하게 다치거나 심지어 죽는 사람들에 비하면 말이다.
그러고보면 우리는 일상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셈이다. 내 자신이 아무리 주의한다고 하더라도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닥쳐 있는 셈이다. 실제로 우리는 그 어느나라보다 위험의 빈도가 높다. 대구지하철방화, 삼풍백화점 붕괴, 성수대교 붕괴, 씨랜드화재 ... ... 생각나는대로 손꼽아 본 것이 이 정도이다.
울리히 백은 현대사회가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그 위험은 무차별적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제 위험의 빈도를 어떻게 나누는 것이냐고 커다란 과제가 된다고 주장한다. 문제는 그것이 계급편향성을 띤다는 것이다. 즉 잘사는 사람은 그만큼 위험에 처할 빈도가 낮은 반면, 그렇지 않는 사람은 더욱 많은 위험에 노출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그동안 일어난 대형사건을 보면 대부분 대중시설에서 발생했음을 알 수있다. 이는 힘없는 서민들이 가장 많이 피해를 보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험사회는 계급사회를 더욱 부추키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