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코스와 안토니오 할아버지
마르코스 지음, 박정훈 옮김 / 다빈치 / 2001년 4월
평점 :
절판


주로 추운 비가 내리는 한밤중, 아니면 새벽녘입니다. 안토니오 할아버지가 옥수수 잎을 말아 만든 담배에 불을 붙이고 마르코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때는. 멕시코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 부사령관인 마르코스는 선택을 해야 할 때, 산중에서 길을 잃었을 때, 언제까지 숨어 있어야 할지 몰라 두려울 때, 안토니오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듣고 해답을 얻습니다.

할아버지 이야기 속에서, 세상을 처음 만든 일곱 신 중에서 새까맣고 가장 못생긴 신은 인간을 위해 하늘의 해가 됩니다. 해가 되기 위해 땅에서 죽습니다. 가장 하얗고 아름다운 신은 이를 보고 부끄러워서, 땅에서 죽어 하늘의 달이 됩니다. 캄캄한 밤을 밝혀준 것은 진실한 인간들입니다. 너도나도 모두 별이 되니 밤하늘이 너무 밝아 땅에 사는 인간들이 쉴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땅에서 자라는 옥수수 빛깔 남녀들은 스스로 빛을 끕니다. 스스로, 빛을, 끕니다.

할아버지 이야기 속에서, 진실한 인간들은 세상을 처음 만든 일곱 신이 말 중에서 처음 만들어낸 세 단어-자유 민주주의 정의-를 이고서, 그 진실의 무게로 인해 고개를 숙이고서, 거울 위를 걸어갑니다. 결코 포기하지 않고 걸어갑니다. 어디로 떠나지도 않고 어딘가에 도착하지도 않는 무지개다리처럼. 자신의 등을, 자신의 처음을 마주볼 수 있을 때까지. 자신들의 존재와 길을 비추어주는 거울 위를. 그리하여 스스로 길이 됩니다.

할아버지 이야기 속에서, 비는 땅의 고통을 슬퍼하는 구름의 눈물입니다. 할아버지 이야기 속에서, 구름은 사람들을 위해 빛이 되고자 땅에서 죽어 하늘로 올라간 일곱 신이 남겨놓은 꿈입니다.

세상을 처음 만든 일곱 신과 아주 오래된 조상들은 이야기하고 또 이야기합니다. 서로 너무나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차이가 있는 다른 이들이 있다는 것이 아주 좋다”고, “자신을 알기 위해서 다른 이들에게 귀를 기울여야 하는 것이 아주 좋다”고 합니다.

이 책의 문체에 쉽게 빠져들게 되지는 않았습니다. 할아버지의 이야기 속에 빠르게 녹아들지는 못했습니다. 그런데 스물여섯 가지 이야기 하나하나, 읽다 보면 무언가, 별똥별 같은 것이 뚝, 철렁 마음속으로 떨어졌습니다. 철렁, 이라니. 내 속에 깊은 우물이라도 있었을까요. 220쪽밖에 안 되는 책, 한 편 한 편이 길어야 10쪽 남짓 되었지요. 가방에 갖고 다닌 지도 꽤 되고, 이주에는 책 읽을 시간이 없을 테니 오늘 다 읽어야 해, 하고 서둘러 책장을 넘기고 싶었지만, 이야기 하나마다 땅의 고통을 위해 구름이 떨어뜨린 눈물처럼 묵직하게 뚝, 떨어지는 그것 때문에, 한 편씩 읽을 때마다 책을 덮어야 했어요. 우물에 생긴 파문이 가라앉고 나서야 다음 이야기를 읽을 수 있었지요.

마르코스에게 이 이야기를 들려준 안토니오 할아버지는 누구일까요. 책 끄트머리에 있는 옮긴이의 말에 따르면 마야족 원주민인가 봅니다. 이 책 속에서 10년 전에 죽었다는 안토니오 할아버지는, 비가 내리는 밤이면 지금도 마르코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가 봐요.

1998년에 처음 발표되었고, 한국에선 2001년 다빈치 출판사에서 펴냈습니다. 서재주인들끼리 하는 이벤트에서 제가 처음 받은 책이에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숨은아이 2005-02-21 17: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을 알게 해주어서 고맙습니다. <(__)>
 



환월루기담(幻月樓奇譚). 말 그대로, 환상의 달이 보이는 기생집 환월루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기이한 이야기다. 환상극인 듯, 괴기물인 듯, 사실은 추리물인 것 같다. 그래서 괴담이 아니라 기담인가. 요사스런 기운이란 실은 산 사람의 욕망과 두려움이 산 사람의 말과 의식 속에서 부풀려진 것. 편마다 등장인물 간의 관계가 거의 끝까지 얽히고설키다가 갑자기 확 풀어지는 식이라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려웠다. 끝까지 본 다음 다시 읽으니, 그제서야 다 이해되더군.

2002년부터 2004년까지 1년에 한 편씩 연재하여, 이제 겨우 네 편을 묶어 한 권으로 나왔다니, 앞으로 환월루기담 2권을 보려면 3년은 기다려야 하나 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숨은아이 2005-02-21 19: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3년 뒤에는 나오겠지요, 녜... -_-;
 




의생쟁 쟁생란(疑生爭 爭生亂), 의심은 다툼을 낳고 다툼은 어지러움을 낳는다.

때로는 반드시 의심하여 꼭 다투어야 할 일도 있는 법이다. 시끄러워지는 것이 싫어 잘못 가도록 내버려 두어선 안 되는 일도 있다.

그런데 이 장을 사진으로 찍은 이유는 사실 글귀 때문이 아니고, 전각에서 爭 자를 두 번 표시한 방법이 재밌어서다.



疑生爭 爭生亂으로 爭 자를 두 번 잇따라 새겨야 하는데, 그냥 한 번만 새기고 글자 아래에 조그맣게 二 자 표시를 해놓았다.



후훗. 영어 섞어서 읽으면 "쟁(爭) 투(two)"다. 중국집에서 자장면 두 그릇 짬뽕 한 그릇 시킬 때 “짜 둘, 짬 하나!”라고 하거나 햄버거 가게에서 치즈버거 두 개랑 콜라 하나 시킬 때 “치즈 둘, 콜 하나요!”라고 하는 게 떠오른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인 2005-02-18 12: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푸하하하하하

기다림으로 2005-02-18 2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까..깜찍하잖아요>.<

내가없는 이 안 2005-02-19 02: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페이퍼방 아주 재미있어요. 님 소개해주신 책도 눈이 가지만 그것보단 페이퍼 하나씩 읽는 게 훨씬 머리에 쏙쏙 들어오니, 이것도 참 재주십니다. ^^

숨은아이 2005-02-19 12: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밌죠? ^^ 이안님, 오랜만이에요~!! 제가 재밌게 생각한 부분을 소개하면, 역시 님들께서도 재밌게 봐주시는 게지요. 호호.
 




애명지세망명객(愛名之世忘名客), 이름만을 사랑하는 세상에서 이름을 잊은 나그네.
가만, 망명객이라. “정치적 망명”이라 할 때의 “망명”은 어떻게 쓰더라?
찾아보니, 그 망명은 亡命이다. 성안당 한+국어대사전에서는 이렇게 설명한다.

망명(亡命) {명} 정치적인 이유로 남의 나라로 몸을 피함. (亡 : 없앨 망. 命 : 이름 명, 호적 명.) <참고 : ‘亡命’은 원래 죽을 죄를 지은 사람이 몸을 숨기어 멀리 도망하는 경우 그 이름을 호적에서 뽑아내었던 데서 유래된 말임.>

그러니깐 망명이란 호적에서 뽑아내어 그 사람을 서류상으로 죽이는 일이다. 참 무서운 말이구나. 이름을 잊었다는 忘名은 참 운치 있는 시적 표현인데, 이름을 지운다는 亡命은 문서상의 사형이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내가없는 이 안 2005-02-19 0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서 호적에서 파낸다는 말을 막판에 하는 듯싶어요, 드라마 같은 데서. ^^ 뽑아낸다, 파낸다, 예전에 님 얘기하신대로 도려낸다 만큼 섬뜩한 말인 듯해요.

숨은아이 2005-02-19 12: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 의미에서 "미망인"도 참 무서운 말이에요. 발음으로만 보면 "과부"보다 우아하게 들리는데, 뜻을 새기면...
 

"마주보며말하기"가 쓰는 원래 글이 있는 공간, daum의 칼럼이 블로그로 바뀌었습니다.
그냥, 혹시 직접 방문하시는 분이 있을까 봐.

바뀐 주소 : http://blog.daum.net/cyseok71.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숨은아이 2005-02-16 17: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 님, 아닙니다. 그게 누군데요? ^^

숨은아이 2005-02-16 18: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맙소사.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