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그라데이션"이라고 하는 것을 우리말로 바림이라 한다는 건 알고 있었다.
gradation(영어 발음에 맞게 쓰자면 그레이데이션인데)은
그림이나 사진 따위의 색조를 한쪽은 진하게, 그 옆으로 갈수록 점점 옅게 하는 기법인데,
출판 디자인 분야에서도 자주 쓰이는 용어다.
일하다가 그라데이션이라는 말에 익숙해졌는데,
그런 기법은 전통 수묵화나 염색에도 널리 쓰이기 때문에
당연히 그것을 표현하는 우리말이 이미 있었음을 알고는
별 생각 없이 관용적인 표현을 받아들인 나 자신에 대해 충격을 받았다.
하긴 그뿐인가. 도비라, 하시라, 하리꼬미, 오시 등 이른바 출판 관계 "전문 용어"들이
다 그렇다. 그 말들은 이미 속표지, 기둥, 터잡기, 금긋기로 바꿔 쓸 수 있건만
(다만 하시라를 기둥이라고 바꿔 쓰는 건 곤란하다. 국립국어원에서
하시라를 기둥이라 순화했는데, 그게 건축에서도 쓰이는 말인 모양이다.
하지만 출판에서 하시라란 책의 쪽수를 매긴 숫자 부분 ― 흔히 그 숫자 옆에
책제목이나 장제목 따위를 나란히 인쇄한다 ― 을 말하는데,
"기둥"이란 말을 듣고 누가 그것인 줄 알까. 차라리 "쪽수란" 정도로 바꾸는 게 어떨지.)
일할 때 입에 붙은 대로 쉽게 도비라니 하시라니 하고 말해버린다.
이른바 "전문 용어"가 쉽사리 고쳐지지 않는 건,
그 말을 알고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에 대해
차별의식을 품고 있기 때문 아닐까.
처음 들으면 무슨 말인지 모를 말을 자유자재로 구사한다는 우월감 같은 거.
참나, 얼마나 자랑할 게 없으면 그런 걸로 우월감을 느끼나.
아무튼 "바림"이란 말은, 참 오묘하다. 그냥 들어도 대충 감이 오는 말 아닌가.
색을 점점 엷게 하는 것을 바림이라 하고,
"그림을 그리는 바탕에 물기를 먹여 눅눅하게 한 다음 색을 칠해
짙은 색으로부터 점점 연하게 퍼지"도록 하는 방법은 피우기라고 한단다.
연기가 피어오르듯 색이 점점 번져가는 것이다.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말 풀이사전]을 보고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