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노동 1호 미사일”이라면 뉴스에서 몇 번 들은 기억이 난다. 지금까지 북한이 자기네 미사일에 붙인 이름인 줄 알았다. 그런데 아, 기가 막히고 코가 막혀서.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에서 옮긴다.

노동 1호
본뜻 :
1990년 5월 말, 미국의 정찰위성이 북한이 개발한 탄도미사일을 발견했다. 이때 미군 당국이 그 미사일에 붙인 이름이 노동 1호였다. 우리 언론이 이것을 임의로 ‘勞動 1號’라고 한자 표기를 해서 보도하기 시작했다. 그러자 세계 각국의 영자 신문들이 이것을 영어로 바꾸어 ‘LABOUR 1호’라고 표기했다. 그러나 뒤에 알려진 바로는 ‘노동’은 ‘노동(勞動)’이 아니라 함경북도에 있는 노동(蘆洞)이라는 마을 이름이었다.
바뀐 뜻 : 노동(蘆洞)은 미군의 정찰위성이 찍은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장소의 지명에서 온 것으로서, ‘노동 1호’는 북한이 개발한 탄도미사일에 미군이 붙인 이름이다.

그러니까 ‘노동 1호’는 미군이 임의로 갖다 붙인 이름이고, 그 노동(蘆洞)을 “노동자 농민” 할 때의 노동(勞動)으로 기자들이 멋대로 생각해 버린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나도 그런 줄 알았다! 영어로는 Rodong이라고 하던데, 그게 고유명사라서 그런 줄 알았더니, 고유명사인 건 맞지만 처음엔 LABOUR로 쓰다 한 차례 소동을 겪고 나서 Rodong으로 바꾸었을 터이다. 한국 기자들! 웬 망신이래. 북한과 이른바 한미동맹, 미군의 군사 활동에 대한 나의 정보와 인식이 얼마나 단편적이고 단선적인지 깨달았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5-04-19 12: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나친 친미의 결과지요...

어룸 2005-04-19 12: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인민들의 노동의 댓가라서 노동이라고 지은줄 알았는데...^^:;;;; 아이, 부끄럽슴다~

조선인 2005-04-19 13: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나, 정말 황당한 일이네요. @.@

릴케 현상 2005-04-19 13: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chika 2005-04-19 1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그런거래요?

숨은아이 2005-04-19 14: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북한이 공개를 안 하니까 그걸 "발견"한 쪽에서 편의를 위해 이름을 지은 건 그러려니 하는데, 적어도 어떻게 된 이름인지는 알려주어야 하지 않겠어요? 그런데 지금까지 아무도 이런 걸 안 가르쳐주었어요. ㅠ.ㅜ

瑚璉 2005-04-19 14: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원래 미그 기 시리즈의 패곳이니 펄크럼이니 하는 코드명도 모두 미국에서 지어진 이름이지요. 그런데 노동 미사일의 노동이 그 노동이 아니라 저 노동이라는 것은 정말 예상밖인데요.

숨은아이 2005-04-19 14: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어려운 말이군요. 패곳, 코드명... --a 그러니깐 대포동 미사일도 미군 정찰위성이 북한의 대포동에서 포착한 미사일이겠지요?

瑚璉 2005-04-19 14: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번 사례로 볼 때 혹시 '대포가 많은 동네'의 약자가 대포동이 아닐까요(-.-;)?

숨은아이 2005-04-19 15: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정무진님, 쿠헐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