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꽂이의 저 많은 책들을 다 읽으셨습니까?” 라는 질문에 “다 읽은 책을 뭐 하러 꽂아 두냐?” 하고 응수했다는 움베르토 에코 씨의 아름다운 일화.
2. 자신의 화려한 서재를 촬영하러 온 방송국 카메라 앞에서 의연하게 “이것들은 책이라기보다, 아름다운 가구죠.” 라고 말했다는 조지 마이클 씨의 훈훈한 이야기.
3. “책을 읽으려고 사나, 노후 대비로 사는 거지.” 언젠가 은퇴하면 헌책방을 내겠다는 계획으로 (절대 핑계 아님) 책을 사 모으시는 치밀한 우리 팀장님.
분명히 그중 한 권도 제대로 안 읽을 줄 알면서도 꼭 5만원을 넘겨 주문하는 나. 죄책감은커녕 알뜰함을 스스로 칭찬해온 나로서는 아주 가끔, 이래도 되는 걸까, 하는 생각이 들 때마다 위의 세 이야기를 번갈아 떠올리며 ‘이정도야 뭐.’ 하고 불편함을 애써 외면해왔다. 그런데 아무래도 불편하다. 불편하다. 마음은 편안한데, 이젠 책상 쓰기가 불편해져버린 것이다. 털썩.
이대로는 도저히 안 되겠다 싶어서 책상을 정리했다. 겹을 이루어 서 있는 책들의 자리를 다시 잡아주느라 책의 숲을 파헤쳐 들어갈 때마다 내 얼굴에 점점 그늘이 지는 것이 느껴졌다. “이런 책을 내가 샀더랬지! 그랬지! 내가 샀지! 그러곤 모른척했지! 내가 그랬지! 내가 그랬지!” 하는 자책이 쿵쾅쿵쾅 심장을 두드린다.
그러다 가끔 내가 읽고 묻어둔(!) 책들이 보이면 왈칵 반갑다. 읽은 책을 보는 내 눈길엔 반가움을 넘어선 자랑스러움을 넘어선 감격을 넘어선 오만함이 뚝뚝 떨어진다. 반대로, 살 땐 ‘이런 책을 안 읽고 어떻게 살아왔단 말이냐. 그러고도 네가 글을 아는 고양이냐’ 하고 조급증을 내며 사들이고도 까맣게 잊었던 책들과 재회한 내 눈길은, 돈 꾸고 연락 끊은 친구를 사람 많은 길바닥에서 마주친 그것. 무안함을 넘어선 부끄러움을 넘어선 자책을 넘어선 울고 싶은 마음이다.
5월엔 더 이상 책을 사지 않으리.
‘사실 난 가구란 말인가’ 라고 신세한탄을 하고 있을 나의 책들아.
이달엔 더 이상 새 가구를 들이지 않고 너희를 읽어주겠다.
그동안, 내가 정말 잘못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