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보다 좀 지루한 책이다 싶었다. 뭔가 르뽀 형식의 글이랄까. 정신과 의사의 시점으로 쭈욱 그려지는 이야기들이, 어째 더디고 답답하게 느껴졌다. 여기에 무슨 대단한 비밀이 있겠는 지, 정신과 의사가 자기 아들을 지키기 위해 하는 행동들이 짜증나기까지 했다. 그래도 꾸욱 참고 읽었던 건, 뭔가 있으니 다들 재미있게 읽었겠지 라는 생각 때문이었다.
다 읽고 난 감상은... 나쁘지 않았다는 것이다. 마지막 장을 덮을 때가 되어야 모든 내용들이 다 연결되어 진다. 물론 그 마무리가 좀 급한 감도 없지 않으나. 그렇게 모든 것들을 짠 설명하며 끝내니 좀 어리둥절하기도 하나. 그럼에도 갈수록 재미와 흥미가 더해졌었고 마무리도 예상 밖이었다. 정신과 의사가 왜 그래야 했는 지 왜 중간중간 별로 연관없어 보이는 사람들의 얘기를 장황하게 늘어놓았는 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
기억의 재생산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늘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 인간의 기억이란 무엇인가. 내가 기억하고 있는 것이 과연 '참'인가. 만약 가슴아픈 기억을 뇌에서 지워낼 수 있다면 내 인생은 좀더 편해질 수 있을까. 기억이라는 것은 뇌에서만 지워지면 다 없어질 수 있는 것일까... 무엇보다 이 책은 프로이드적 관점이라고나 할까. 지금의 내 행동의 근간은 어릴 때의 기억, 특히나 성적인 부분에서의 기억에 기안한다고 하는 관점을 고수하고 있다. 그 기억을 내 속에 두고 산다는 것은, 끊임없이 내 속에서 그것을 재생하는 것이고 누구에게 말하지 못한 채 속에 꽁꽁 넣어둠으로써 알게 모르게 상처가 되고 그 상처는... 지금의 내 생활에 많은 부분 관여하게 된다. 어느 순간 누군가에게 그 말을 하게 될 때, 그것은 나의 상처를 치유하는 경험이 될 수도 있으나 제대로 수습이 되지 않을 경우 더 큰 오해와 상처를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런 생각들을 확인할 수 있었던 작품이었다. 영화로 만든다는데 어떻게 만들 지 꽤 궁금하다.
몇 가지 점만 빼고, 이 소설은 해피엔딩이다. 내 기억에서 비롯되는 상처가 제대로 해소된다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그걸 고려한다면 많은 사람들이 제 자리를 찾아갈 수 있어서 책을 덮는 순간, 그렇게 힘들지 않을 수 있었다.
***
저녁은 먹기 싫고, 근데 배에선 꼬르륵 시계가 울리고... 그래서 엉금엉금 기어나가 (온종일 집에 딱정벌레마냥 붙어 있었다) 마트에서 맥주와 안주거리를 사왔다. 꼬깔콘, 오징어, 크리스피롤,.... 그리고 하이네켄, 아사히, 싱아. 엄마와 오랜만에 마루에 도란도란 앉아 삼시세끼를 보며 맥주를 함께 했다. 딸이 집에 있는데도, 저녁을 혼자 꾸역꾸역 먹고 있는 엄마를 발견하고는 아 주말에 힘들다고 방에만 쳐박혀 있어서는 안되겠다 싶어... 엄마. 맥주 한잔? 이라고 한 것. 고약한 딸래미는 방에서 그저 자고 책보고 혼자만의 시간을 즐기고... 그 동안 연세드신 어머니는 이른 저녁밥을 혼자 드시고. 마음아픈 풍경이다 싶어서 가슴이 뻐근해졌었다. 그렇게 둘이 맥주 두 캔을 주거니 받거니 하고 잔뜩 내놓은 안주를 함께 먹으며 .. 삼시세끼에 나오는 음식들에 와 맛있겠다 이얘기 저얘기 하며... 있으니 참 좋았다. 행복이란 게 별거인가. 추억이란 게 별거인가. 이렇게 건강하게 가족과 같이 맥주 한잔 하며 실없이 웃을 수 있는 지금이 행복이고 추억이지 뭔가. .. 좋은 토요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