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대구를 다녀왔다. 오고 가는 길 기차 안에서 어떤 책을 읽을까 많이 망설이다가 이 책을 집어들었다. 에드 멕베인의 소설이 눈 앞에 어른거렸지만, 잠시 생각한 후 이 책으로 결정.

 

대구 갈 때는 새로 생긴 SRT 기차를 이용했다. 수서역에 가니 연결통로가 있어서 참 편리했고 게이트 통과하면 바로 기차가 보여 허겁지겁 서두를 필요도 없었다. 아직 처음이라 그런 지 사람이 버글거리지도 않았고 상점들도 깨끗하게 정비된 상태였다. 세상은 날이 갈수록 빨라지고 편리해져서, 대구까지 1시간 40분 걸려 도착했다. 그냥 잠깐 자다가 책읽다가 커피 한 잔 마시니 도착. 더 빨라진다고 하던데 이제 정말 우리나라 정도는 일일 생활권이 되나 보다 싶었다. 솔직히 경기도의 어느 도시에 통근하는 것도 그 정도 시간은 걸린다고 보면, 대구까지 출퇴근을 해도 거리적인 무게감만 제외하면 가능하지 않겠는가.

 

새벽부터 서두른 탓에 많이 졸리기도 했지만, 일단 책을 펼쳤다. 서문부터 인상적이었다. 아서 케스틀러가 1976년에 쓴 서문 마지막 글, "인종 청소를 위해 시체들을 녹여 비누로 만들었던 기시를 다룬 두꺼운 책들이 이제까지 수백 권 쓰였지만 그렇더라도 나는 이 얇은 책이 서가에서 영원히 차지할 자리를 찾아낼 것이라고 진심으로 믿는다." 그리고 장 도르메송이 1997년에 쓴 서문 마지막 글, "영국에서 살았던 유대계 독일인 화가가 쓴 몇 페이지의 글이 단테, 셰익스피어, 밀턴 또는 파스칼의 위대한 구성들과 공통적으로 지닌 특성은 이것이다. 최악의 것에 언제나 의지할 수는 없고, 저주받은 것들 가운데는 항상 정의가 있으며 그 정의는 마지막 순간에 하느님이 어둠 속에서 끌어 올린다는 것." ... 이 두 글만으로도 뭉클함으로 시작할 수 있었던 책이었다, 이 책, <동급생>.

 

이 작품은, 피곤함을 물리치고 오고 가는 길에 다 읽어낼 수 있게 하는 힘이 있었다. 그리 길지 않고 대단한 철학이나 소양이 묻어나는 것도 아니며 그 비참했던 시절의 참혹한 현실에 대해 구구절절 이야기하고 있지도 않은데, 책 마지막 장을 덮을 때는 그 어느 책보다 그 시절의 상황을 잘 이해할 수 있게 한 작품이라는 믿음이 생겼었다.

 

독일인 귀족 집안의 한 아이와 유대계 중산층 의사 집안 한 아이와의 우정. 그 시절은 아직 히틀러의 나치즘이 창궐하기 이전이었고 그냥 평온하고 빛나는 시절이었다. 슈투트가르트라는 곳은 독일인이든 유대인이든 모두의 고향이었고 터전이었으며 유대인 아이의 아버지는 심지어 독일 당국으로부터 수많은 훈장을 받은 사람이었다.

 

그는 1932년 2월에 내 삶으로 들어와서 다시는 떠나지 않았다. 그로부터 사반세기가 넘는, 9천 일이 넘는 세월이 지났다. 별다른 희망도 없이 그저 애쓰거나 일한다는 느낌으로 공허한 날이 가고 달이 가고 해가 았다. 그중 많은 나날들이 죽은 나무에 매달린 마른 잎들처럼 종작없고 따분했다. (p21)

 

이렇게 시작한다. 인상적인 첫 글이다. 두 아이, 독일인인 콘라딘과 유대인인 한스. 그 두 아이의 우정은 견고하고 아름다왔다. 같은 관심사를 가지고 서로를 나눌 수 있는 열여섯 살 두 남자아이의 교류.

 

<내가 그를 위해 기꺼이 죽을 수 있는 친구>라고 쓰기 전에 나는 잠시 망설였다. 그러나 30년이 지난 뒤에도 나는 이것이 결코 과장이 아니었으며 내가 친구를 위해 - 그야말로 기뻐하며 - 죽을 준비가 되어 있었다고 믿는다. 독일을 위해 죽는 것이 달콤하고 옳은 일이라고 당연하게 여겼듯, 나는 친구를 위해 죽는 것도 달콤하고 옳은 일이라는 데에 동의했을 터였다. 열여섯살에서 열여덟 살 사이에 있는 소년들은 때때로 천진무구함을 심신의 빛나는 순결함, 완전하고 이타적인 헌신을 향한 열정적인 충동과 결부시킨다. 그 단계는 짧은 기간 동안에만 지속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그 강렬함과 독특함 때문에 우리의 삶에서 가장 귀중한 경험 가운데 하나로 남는다. (p38-39)

 

 

이 아름다운 우정이, 역사의 소용돌이, 히틀러라는 존재와 인종에 대한 그릇된 결정론으로 어떻게 훼손되는 지, 작은 사건들로도 참 구체적인 느낌을 전달하고 있다.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던 문제들이 학교의 교실에서도 도드라지고, 세상의 변화를 예민하게 온몸으로 받아들이는 청소년들이 어떻게 반응하는가가 드러난다. 그 속에서 콘라딘과 한스의 우정 또한 위태위태해지고... 그 광기와 같은 소용돌이가 다 지나간 후, 그렇게 세월이 흘러 흘러 마지막에 확인된 진실은... 이 책을 소개할 때 책의 마지막 문구에서 전율을 느낄 거라 했었는데.. 실제 그러했다. 나 또한 몇 번이나 돌이켜 읽어야 했던 구절이었다.

 

프레드 울만이라는 이 책을 쓴 저자는, 화가였다고 하나 이 책 한 권으로 정말 잊을 수 없는 작가로서의 자리를, 적어도 내게는 작가로서의 자리를 매김한다. 비참하고 어지러웠던 시절을 그렇게 비참하고 어지럽게 얘기하지 않고도 그 심정의 깊이가 더없이 깊숙이 다가오게 하는 글이다. 아름답고 빛나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