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의 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하루 만에 다 읽은 후 방금 책장을 탁 덮으면서 든 생각. 아니 내가 이 책을 왜 이제야 발견했지? 그리고 나서는, 이제 정유정의 책을 다 사봐야겠군... 이라는 생각으로 옮겨갔고, 마지막에는 '난 이제 정유정 팬이야' 라고 생각을 마무리지었다. 우리나라 소설가의 책을 읽고 팬이 되어야겠다고 생각한 게 언제? 꼬무작꼬무작... 있긴 있었나...

 

쫀득쫀득한 문체와 앞 뒤가 딱딱 맞아떨어지는 구성, 그리고 강렬한 흡인력. 또 뭘 말할 수 있을까. 유려한 단어를 구태여 골라 쓰지 않아서 화려한 느낌보다는 담백한 느낌. 우리나라 소설에서 흔히 보여지는 장광설이 없이 내용으로 승부하는 책. 또 또... 뭘 말할 수 있을까. 사람의 심연을 바닥까지 다 들여다보고 있는 듯한 통찰력.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간다는 것의 긍정적인 방향성을 구차하지 않게 제시하고 있는 스타일... 내가 이 작가의 다른 책을 뒤지는 것이, 하나 이상하지 않다.

 

마음 깊숙한 곳에 숨어 있는 죄책감. 그 크고 작음을 떠나 사람들은 그런 것들을 하나씩 가지고 있는 지도 모른다. 특히나 부모, 가족에 대한 애증의 느낌. 아이에게는 이런 것들이 가슴에 큰 구멍을 남기고 때로 헤어나지 못하는 우울함을 커서까지 끌고 가게 하기도 한다. 이 책의 주인공들은 하나같이 전부, 상처받은 사람들이다. 최현수가 그랬고 강은주가 그랬고 안승환이 그랬고 심지어 오영제도 그랬다. 그리고 그 모든 상처는 살아남은 사람, 최현수의 아들인 최서원에게로 응집된다.

 

어쩌다 벌어진 사건에는, 많은 원인들이 있었다. 그냥 그렇게 그날 잘못된 에너지들이 모여서 일어난 사건이었다. 아버지에게 학대받던 오서령이라는 아이가 그날 따라 엄마 흉내를 내며 엄마의 옷을 입고 화장을 짙게 하고 있지 않았다면, 오영제가 도망치는 딸아이를 일찍 발견만 했더라면, 강은주가 괜히 집보러 다녀오라고 최현수에게 시키지만 않았더라면, 최현수가 그날 따라 술을 그렇게 진탕 마시지 않았더라면, 안승환이 저수지에 들어가 수몰된 마을을 찍고 있지 않았더라면.... '그러지 않았더라면' 이라는 수많은 가정들이 그냥 다 '그래 버렸기' 때문에, 그것들이 맞닥뜨린 지점에서 아이가 희생된다. 그리고 그 잘못된 사건으로 말미암아 모두의 인생이 어그러지기 시작한다. 그걸 우연이라고만 치부하기에는 왜 이렇게 운명이라는 생각이 드는 것인지.

 

그렇게 세령호에서의 이 주는, 살인의 죄로 망가져 가는 한 남자와, 악착같이 돈을 벌어 어렸을 때의 꿈을 이루고 싶어하는 그의 아내와, 아버지를 사랑하고 믿지만 점점 마음이 멍들어가는 한 아이와  '내 것'에 대한 과도한 집착을 보이는 또 한 남자에게 가혹한 세월로 매김하게 된다. 결국 여자아이를 죽이고 아내를 죽였다는 죄명과 함께, 한 마을을 통째로 물 속에 가라앉게 만들었다는 괴물로서 '최현수'는 아들 최서원에게 돌이킬 수 있는 시커먼 구멍을 남기게 된다. 살인마의 아들은 견뎌낼 수 밖에 없었고 그걸 쳐다보는 세간의 시선이나 친척들의 눈길은 곱지 않았으며 어딜 가나 따라다니며 정착하지 못하게 방해하는 어떤 세력으로 인해 결국 '아저씨'에게 의탁하여 하루하루를 연명하며 살게 되고. 그리고 지난 세월, 그 속에 숨겨진 비밀들이 하나 둘씩 벗겨지는 드라마틱한 전개가 이어진다.

 

저 젊은 눈동자는 그때 무엇을 바라보며 미소 지었을까. (p512)

마지막 즈음에 이 대목에서 사실 눈물이 났음을 고백한다. 인생의 한치 앞을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그 때 그랬던 해맑은 미소의 청년은 44살에 할아버지의 몰골이 되어 교도소에서 쓸쓸한 최후를 맞게 된다고 누가 알 수 있었겠는가. 사는 것에 대한 회한이 불현듯 밀려와 이 대목을 두번 세번 읽게 된다.

 

대기화면에 깔린 사진을 들여다봤다. 안개낀 별채앞길. 불 켜진 가로등들, 측백나무 울타리 옆을 나란히 걷는 거구의 남자와 사내아이. 남자는 사내아이의 책가방을 들었고 사내아이는 남자의 바지뒷주머니에 손을 넣고 있었다. 아버지와 나였다. 열흘 전 아침, 아저씨가 찍었을 우리의 뒷모습이었다. (p8)

아들을 사랑했던 아버지. 그런 아버지를 좋아했던 아들. 참 아름다운 정경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일상을 '그럼에도 불구하고' 훼방하는 것은 사람의 마음 깊은 곳에 도사린, 공포, 불안, 죄책감... 이런 것이 아닐까. 떠났다고 다 털어 버렸다고 생각하면서도 어느 순간 거기에 휘말려 버린 스스로를 발견한다는 것은, 두려움을 넘어서 경악이다. 남겨진 아이는 정면으로 맞부딪히고 그래서 자기자신을 지켜나갈 수 있기를, 어쩌면 그 아이에게 말한다고는 하지만, 내게 말하는 듯한 느낌으로 빌어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