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브 키터리지>를 읽은 사람이라면, 그 작가의 첫 장편소설이라는 이 책을 고르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뭐. 내가 이 책을 선택한 이유를 일반화시키고 있는 것일 지도 모르지만.
나쁘지 않았지만, 기대만큼 좋지는 않았다. 이저벨이라는 삼십대 초반 엄마와 에이미라는 이십대 사춘기 아이. 그 모녀의 이야기이고, 그 주변인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어쩌면 다 같이 성장해나가는 이야기일 지도 모르겠다. 속에 비밀이라는 것을 꽁꽁 채워둔 사람들이 결국 의지하게 되는 이야기일 수도 있고.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라는 작가가 어떤 것을 좋아하는 지는 분명히 알 수 있었다. <올리브 키터리지>에서 느꼈었던 그 따뜻함,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이야기, 슬프지만 견뎌내야 하는 인생.. 이런 것들이 아직은 미성숙된 상태로 녹아져 있다고나 할까. 아 그것보다는 오히려 노골적이어야 할 것 같다. <올리브 키터리지>에서 감명받았던 은근함은 없었다. 말하고자 하는 것을 그대로 애기하는 느낌이 더 진했고. 그래서 내가 이 책을 아주 흡족해하지 않는 지도 모르겠다. 또는... 작가의 정말 잘 쓴 글을 이미 읽어버린 후유증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 계속 나아갈 뿐이다. 사람들은 계속 나아간다. 수천 년 동안 그래왔다. 누군가 친절을 보이면 그것을 받아들여 최대한 깊숙이 스며들게 하고, 그러고도 남은 어둠의 골짜기는 혼자 간직하고 나아가며, 시간이 흐르면 그것도 언젠가 견딜 만해진다는 것을 안다 (p308)
책의 말미의 이 글. 이게 작가가 하고 싶었던 메세지리라. 도티와 베브와 이저벨이 친구가 되고 서로의 벽을 허물게 되는 순간, 에이미가 어른으로 거듭 나지는 순간, 이런 마음들이 느껴졌겠지. 외롭고, 힘들고, 남에게 말하지 못하는 내밀한 고민들을 가지고... 사람들은 살아간다. 누구랑 살고 누구의 엄마 아빠이고 누구의 친구이고... 라는 것과는 별개로, 산다는 건 때로 외롭고 가끔 힘겨워 쓰러질 듯 하고 도저히 내 속에서 뱉어내지 못하는 나만의 비밀스러운 무언가를 감추는 그 무엇이다. 어떤 것도 위안이 되지 않을 때, 그리고 사람에게서 받은 상처가 크다 못해 벌어지기 까지 해도, 역시 의지가 되는 것은 사람이다. 친절한 사람. 다 받아주는 친구. 인생을 조금 살다보니 이런 것들이 정말 가슴 깊숙이 절렬하게 느껴진다. 그게 사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것을. 그게 나와 사람을 사랑하는 유일한 길이라는 것을.
그래서, 아 이 책은 안 읽어도 되겠어요... 라고 손사래를 치지는 못하겠다. <올리브 키터리지>를 보지 않은 분이라면 (아니 아직도?) 이 책부터 읽고 <올리브 키터리지>는 꼭 읽으세요.. 라고 말하고 싶고 <올리브 키터리지>를 읽은 분이라면 (사실 이런 분이 대다수이겠지 않나 라고 내 맘대로 생각) 작가가 원하는 게 항상 일관적이었음을 알아낸다는 차원에서도 한번 읽어 보세요... 라고 말하게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