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1
미셸 투르니에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생각을 뒤집는다기 보다는 인습적인 사고를 벗어나도록 만든다는 게 더 맞는 얘기인 것 같다. 내가 처음 이 소설을 읽었을 때 받은 충격이 아직까지 생생할 정도로 난 이 책을 통해 내가 인지하는 방법이 과연 '내'가 인지하는 것일까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었더랬다.

우리가 어렸을 적에 접했던 로빈슨 크루소의 얘기는 어떠했는가. 로빈슨 크루소는 배가 난파되어 우연히 어느 무인도에 살게 되었고 거기서 꿋꿋이 자급자족할 수 있는 방법들을 터득해 갔고 살고자 하는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프라이데이라는 노예를 가지게 되었고 그 인간성마저 없어보이는 상대를 통해 외로움을 해소하였다...끊임없이 탈출하고자 했던 불굴의 의지는 마침내 지나가던 배를 발견하게끔 하였고 로빈슨 크루소는 드디어 극적으로 무인도에서 벗어나 문명의 세계로 돌아오게 되었다. 훗날 나이가 들어 다시 들른 무인도를 회한에 차 바라보는 로빈슨 크루소. 그는 영웅인 것이다. 백인 영웅.

그러나, 이 책은 그와는 완전히 다른 관점을 제시한다. 방드르디(프라이데이를 프랑스어로 바꾼 것)의 관점으로 로빈슨 크루소를 바라볼 때 얼마나 많은 부분들이 달라지던가 말이다. 방드르디는 비겁하고 째째하고 권위적인 백인 남자 로빈슨의 지배 아닌 지배를 당하면서 자신의 자의식을 키워나가고 그 환경에서 자신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그에 반해 로빈슨은 어느새 혼자 모든 것을 해결하고 왕인양 군림하는 그 처지에 점점 매몰되어 사회성은 망각되고 자신만의 세계에 빠져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결국 무인도에서 탈출할 수 있는 기회가 왔을 때 그것을 선뜻 잡은 사람은 로빈슨 크루소가 아니라 방드르디였다. 로빈슨 크루소는 미약한 자신의 처지와 두려움과 버릴 수 없는 제왕적 지위를 놓고 저울질하다가 무인도에 남는 것을 선택했고 그의 몸종이었던 방드르디는 새로운 세계에 과감히 발을 들여 놓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 얼마나 놀라운 결말인가 말이다. 같은 책을 두고 이렇게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 놀라왔고 관점을 달리했을 때 같은 상황, 같은 인물이라도 얼마나 많은 것들이 달라지는가를 뼈아프게 알 수 있게 한 소설이었다. 난 소설을 읽으면서 이렇게 놀라움을 느낀 적이 없었다.

미셀 투르니에는 이 작품이 처녀작이고 40살이 넘어 썼다. 그의 자유분방한 사고와 약간의 삐딱한 시선이 많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생각이, 내가 만든 것 같아도 수십년간 지탱해온 사회적 환경의 지대한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게 한다. 그래서...난 이 작가를 매우 좋아하게 되었고 그의 글들을 즐겨 읽는다.

꼭 한번 읽어볼 것을 권유한다. 두 사람의 인간관계 속에서도 세상에서 숱하게 벌어지는 권력관계가 적나라하게 벌어지고 세세한 심리 묘사가 독특하게 매력적으로 다가와 한번 들면 놓기 힘들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