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도 한번 썼던 것 같지만,... 나는 우리나라 소설을 잘 읽지 않는다. 조금 예전 작가들, 박경리나 조정래 등의 선굵은 작품을 좋아하고 박완서와 같은 촘촘하면서도 다정한 글들을 좋아한다. 제일 질색인 것은, 나를 가르치려 드는 장광설이 들어갈 때인데... 아 그런 작가들은 너무 많다. 이 작품 괜챦네 하고 읽다 보면 어느새 주인공이 설교를 하고 있다. 작가가 말하고 싶은 것을 등장인물을 통해 '직접적으로' 얘기하는 걸 난 못 견뎌한다. 그래서 어느 순간부터 읽지 않게 되었다. 요즘 작가들 중에 특히 그런 사람들이 많아서 (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우리나라 사람이 쓴 글을 읽어야지 라는 내면의 호소가 강하게 울려퍼지기 전까지는 정말 안 쳐다본다. 편견일 수도 있다. 아니, 편견일 것이다. 아뭏든 내가 싫어하는 글은 그런 거다, 라는 걸 말하고 싶은 것일 뿐.

 

그 와중에 내가 챙겨 읽는 우리나라 소설가 중 대표적인 사람이 정유정이다. <7년의 밤>이나 <종의 기원>을 읽으면서 물론 어느 부분에는 장광설이 들어가기도 했지만, 이 정도의 글솜씨와 이 정도의 상상력이라면 읽을 만 한데 라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이번에 <진이, 지니>라는 신간이 나왔을 때 두번 생각하지 않고 바로 구입했고 출퇴근 길 읽을 책으로 낙점했다. 사실, 내용적으로는 많이 끌리진 않았다. 사람의 영혼이, 정신이 보노보라는 동물에게 들어갔다는 이야기.

 

 

 

보노보

피그미침팬지(Pygmy chimpanzee)라고도 한다. 몸길이 70∼82㎝, 몸무게 30∼40㎏이다. 1929년에 처음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침팬지의 한 아종이었으나 1933년 독립된 종으로 분류되었다. 다른 침팬지들에 비해 다리가 길고, 어깨와 가슴 폭이 좁으며, 머리털이 길고 양쪽으로 갈라진다. 얼굴은 검은 편으로 이마가 높으며, 귀가 작고, 입과 턱부분이 덜 튀어나왔다. 털은 검은색이며, 꼬리에는 검은색과 흰색의 반점이 있다.

 

 

환타지도 아니고, 이게 뭐얌... 라는 생각이 들긴 했지만, 정유정이라는 작가를 믿고 보기 시작했다. 오늘 다 읽었고.. 읽기를 잘 했다는 생각을 한다. 정유정이 전작들에 비해, 좀더 깊어졌다는 걸 느꼈고... 전작들에서 보였던 그 잔인할 정도의 치열함이 조금 누그러지고 인생에 대한 생각이 무르익어가고 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정한 그녀와 제인이 듀엣으로 선보인 '아하하하'는 날숨으로 목젖을 세게 쳐야 나오는 소리였다. 인간들 사이에선, 적어도 이 홀로세의 인류는 쓰지 않는 방식의 웃음소리였다. 모차르트는 즉각 이에 대한 해석을 내놨다. 하느님, 우린 행복해요. - p29

 

 

주인공 중 하나인 김민주가 이진이라는 사육사와 처음 만나는 장면이다. 소리에 민감한 민주는, 진이가 침팬지를 안고 보이는 소통방식에서 그들의 관계를 읽어낸다. '다정한' 그녀는 행복했고 그와 마주한 침팬지도 행복한 그 상태. 그리고 이것이 하나의 인연이 되어 민주와 진이는 생애 가장 치열했던 사흘을 함께 만들어내게 된다. 우연한 교통하고로 보노보 지니의 몸에 들어가게 된 이진이의 영혼과 정신을 눈치챈 민주는 다시 이진이의 몸으로 그 영혼을 돌려놓기 위한 행보에 참여하게 된다. 그 동안, 진이의 영혼은 지니의 몸에서 지니의 역사를 함께 보게 된다. 제 3자적인 입장이었다가 점점 동화되어 가는. 그러면서 먼먼 나라에서 한국에까지 팔려와 거쳤던 고초들을 이해하게 된다.

 

 

아주 어릴 때 이후로, 나는 누군가에게 업혀본 적이 없다. 타인에게 기대본 경험 역시 없다. 육체적으로도, 심정적으로도. 기댄다는 행위 자체에 대한 거부감마저 있었다. 기댄다 하여 하늘이 무너지는 것도 아닌데. 기대는 일이 지식이나 기술을 필요로 하는 일도 아닌데. 그냥 이렇게 머리를 기울여 맞대면 되는 거였는데. - p225

 

 

그렇게 김민주와 이진이도 친구가 된다. 서로가 서로에 대해 아는 것은 하나 없지만, 김민주가 백수로 집에서 쫓겨나 노숙자 신세가 되기까지의 사정이나, 이진이가 아빠없이 태어나 엄마가 갖은 고생으로 키워졌고 그 엄마 또한 홀연히 돌아가셨다는 사정이나.. 알 수 없지만, 어느 새 그들은 하나로 이어진다.

 

 

"노래 하나 불러도 돼?"

노래라면 조금 전 램프에서 넌덜머리 나게 들었다. 민주의 노래라면 더욱 듣고 싶지 않았다. 그는 야상 주머니에서 이상한 안경을 꺼내 끼더니 목을 한 번 가다듬었다. 내가 거부 의사를 나타내기도 전에, 예의 현란한 노래 솜씨를 선보이기 시작했다.

 

생일 축하합니다.

생일 축하합니다.

 

나는 순간적으로 멍해졌다. 생일... 이라고.

 

나의 친구 진이의

생일 축하합니다.

 

그는 노래를 끝내고 짠, 하듯 나를 돌아보았다. 그의 눈에 토끼 얼굴 모양의 장난감 안경이 붙어 있었다. 안경테 양쪽 윗부분엔 귀 모양의 장식이 달려 있고, 귀와 귀 사이에 이런 문구가 붙어 있었다.

 

Happy Birthday.

 

그는 양쪽 손가락 두 개를 귀 옆으로 들어올려 토끼처럼 깐닥거렸다. - p348

 

 

이 장면이 내내 마음에 박힌다. 속은 진이이지만 겉은 지니인 보노보 앞에서 생일을 축하하는 민주의 모습. 그 짠함이, 그 다정함이 마음에 전해져 아릿해진다. 정여울의 후기에도 많은 말들이 있었지만, 사람과 사람을 잇는 건 무엇인지, 살아간다는 건 무엇인지에 대해서 설명하지 않아도 알게 해주는 작품이었다, 이 소설.

 

 

그녀는 내게 삶이 죽음의 반대말이 아님을 보여주었다. 삶은 유예된 죽음이라는 진실을 일깨웠다. 내게 허락된 잠깐의 시간이 지나면, 내가 존재하지 않는 영원의 시간이 온다는 걸 가르쳤다. 그때가 오기 전까지, 나는 살아야 할 것이다. 그것이 삶을 가진 자에게 내려진 운명의 명령이었다. - p367

 

 

 

이 대목에서 오래도록 머물렀다. 어쩌면 나에게도 이런 경험이 있었는 지도 모르겠다. 떠나가는 사람이 말로 하진 않아도 전해주던 이야기. 잊지 말아야 하는데 잊고 있었구나 라는 마음에 울컥한다... 정유정의 글은 매력적이고... 잡으면 끝까지 읽게 하는 힘이 있다. 책의 마지막 장을 넘기면서, 고맙다고 생각했다. 잊어버릴 뻔 한 걸 일깨워주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