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작년인가 경주 황리단길을 갔다가 그곳 서점에서 <82년생 김지영>을 구입했었다. 故 노회찬의원(아..ㅜ) 이 현재 영부인에게 선물했다 하고 베스트셀러로 워낙 유명하기도 한 책이다. 사실, 나는 읽고 나서 큰 감흥이 없었다.
왜일까. 일단 작가의 역량이 문학적으로 매우 뛰어난 건 아니었던 것 같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 내용이 내게 크나큰 심정적 변화를 일으킬 정도로 드라마틱하지 않다는 게 컸지 않나 싶다. 내용이 그냥 그래서가 아니라, 이 시대 여성들, 82년생이건 뭐건간에, 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두번쯤, 수없이 당해봤을 이야기이기 때문에 소설이 아니라 다큐 같은 느낌이었다고나 할까.
이 책이 인기가 많아지면서, 어쩌면 페미니즘에 대한 저항감도 줄어든 게 아닐가 싶기도 하고. 아니, 페미니즘, 혹은 이 땅의 여성들이 살아왔고 살아가야 할 방식들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된 것 같기도 하고. 그래서 이렇게 많이 팔렸다. 100만권, 밀리언 셀러. 정말 놀라운 숫자이다.
나는 기본적으로 페미니즘은 휴머니즘이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따라서 남성과 여성의 대립구도로 해석하는 것에는 늘 반대였다. 페미니즘 자체가 사회의 소수, 혹은 권력을 가지지 못한 일정 계층에게 저질러지는 사회적 억압과 권력 기반의 차별, 폭력 등에 대한 건전하면서도 치열한 저항감을 대변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상이 결국은 휴머니즘이 되어야 한다, 즉, 사람을 사람으로서 인정하고 그에 대한 합리적인 대우를 하게끔 되어야 한다라고 본다. 그러나 이런 기본 생각에도 불구하고 내가 페미니즘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공부하고자 하는 것은, 그렇게 휴머니즘 운운할 정도로 이 사회가 여성의 입장에서 편안하지 않다는 데에 있다. 아니, 많이 불편하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이 백만권이 넘게 팔렸다는 것에, 아낌없는 박수를 보낸다. 매우 일상적이며 만연되어 있는 다큐 같은 이야기라 할 지라도 소설화되어 우리에게 마음으로 다가올 때, 당하면서도 이게 뭐지 라고 했던 것들이 스물스물 마음 한 귀퉁이에서 올라오고 그것이 의식으로까지 발전되고 그래서 행동으로 항변할 수 있게 된다면, 그만한 소설의 순기능이 있을까 한다.